[Verse 1]
If my man was fightin' some unholy war
내 남자가 지독한 싸움을 하고 있다면
I would be behind him
난 묵묵히 그의 뒤를 지킬 거야
Straight shook up beside him with strength
그조차 몰랐던 힘으로, 그의 곁을 위태롭게 지키며
He didn't know, it's you I'm fightin' for
그는 모르지, 내가 싸우는 건 당신 때문이란 걸
He can't lose with me in tow (With me in tow)
내가 곁에 있는 한 그는 무너지지 않아
I refuse to let him go (To let him go)
난 절대로 그를 포기 못 해
At his side and drunk on pride
그의 곁에서, 자부심에 취해 비틀거리며
We wait for the *blow
우리는 그 한 방이 오기만을 기다리지
*1. 전쟁의 비유에 따라, 적의 공격, 세상의 비난, 관계의 파국과 같은 '결정적 타격'을 의미
2. 코카인을 의미하는 속어로서, 다음 약물을 기다리는 '중독의 순간'을 암시
이전 라인의 '자부심에 취해(drunk on pride)'는 이 이중적 의미를 극대화하며, 그들의 도취감이 사랑 때문인지 약물 때문인지 모호하
게 만드는 파괴적인 현실을 보여준다.
[Verse 2]
*We put it in writin', but who you writin' for?
우린 서약서에 서명했지만, 대체 누굴 위한 맹세였을까?
*표면적으로는 에이미와 블레이크의 결혼 서약을 의미하지만, 연인이었던 블레이크의 반복적인 자살 시도와 맞물려, 그가 죽으면 자신
도 따라 죽겠다는 '자살 서약'을 암시한다.
Just us on kitchen floor
결국 부엌 바닥엔 우리 둘 뿐
Justice done, recitin', my stomach standin' still
내 유언장을 읽어주듯, 네가 담담히 내뱉는 말에
Like you're *readin' my will
정의는 실현됐고, 내 속은 멈춰버렸지
*헌신의 맹세를 하는 순간을 자신의 죽음 이후 모든 것을 넘기는 유언장 낭독처럼 느끼며, 이 사랑이 결국 자신을 파멸로 이끌 것이라
는 비극적 예감을 담고 있다.
He still stands in spite of what his *scars say (Scars say)
그의 상처가 모든 걸 말해주는데도 그는 여전히 서 있어
*블레이크의 자해 상처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것으로 보임
And I'll battle 'til this bitter finale (Bitter finale)
그리고 나 역시 이 지독한 끝을 볼 때까지 싸울 거야
Just me, my dignity
남은 건 오직 나, 내 마지막 자존심
And this guitar case, woah, woah
그리고 이 기타 케이스뿐
[Outro]
Yes, yes, my man's fightin' some unholy war
그래, 내 남자는 지금 그 지독한 싸움을 하고 있어
And I will stand beside you
난 끝까지 네 곁에 설 거야
But who you dyin' for?
하지만 넌 대체 누굴 위해 죽어가는 있는 건데?
B, *I would have died, too, I'd like to
B, 나도 함께 죽었을 텐데, 차라리 그러고 싶었어
*다큐멘터리 <에이미>에서 블레이크가 자해하자, 에이미 역시 똑같이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내며 "네가 하는 건 뭐든지 따라 할 거야"라
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의 자기 파괴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그들의 사랑의 방식이었다.
If my man was fightin' some unholy war
내 남자가 그 지독한 싸움을 하고 있었다면
Yeah, if my man was fightin'
그래, 내 남자가 싸우고 있었다면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