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Jay-Z (Feat. Frank Ocean) - Oceans

title: 왕MHY2013.07.10 00:32추천수 23댓글 16

스압주의



[유투브 <"Oceans" - Jay-Z + Samsung + Magna Carta Holy Grail> 참고 및 RapGenius 발췌,

곡에 대한 Jay-Z의 설명]


In a video preview Jay explains the meaning behind the song.

유투브에 공개된 "Oceans"의 프리뷰 동영상에서 Jay-Z는 이 곡이 담고 있는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It sounds like a celebration of where we are now on some big yacht,

"이 곡은 마치 우리가 요트를 띄우고 그 안에서 벌이는 자축 파티를 노래하는 것처럼 들려.


throwing champagne in the water," he tells Rick Rubin.

샴페인을 바닷물에 부으면서 말이지." 그는 Rick Rubin에게 이처럼 말한다.


"But the undertow of the thing is that this is the same water

"하지만 우리가 샴페인을 붓는 그 수면 밑에 흐르는 물은 말이야,


that brought us here originally as slaves,

본디 노예였던 우리(흑인)를 이곳으로 데려와 준 물과 같은 물이라는 거야.


so it has this whole duality

그러니 이 바닷물은 어마한 이중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고,


and even how we re-write history,

우리가 어떻게 역사를 다시 쓰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야.


the stories we were told about the history of America."

우리가 미국의 역사에 대해 전해 들은 그 이야기들 말이야."


>>이 곡에 숨은 "이중적 의미(Duality)"를 지금부터 파헤쳐 봅시다


------------------------------------------------------------------


[Intro]

Blessings, blessings yeah

축복, 축복..



[Hook: Frank Ocean]

I see -

난 보고 있어 -


Elephant tusk on the bow of a sailing lady

-항해 중인 배의 뱃머리에 쌓인 코끼리 상아를 말이야

>>영어에서는 배를 여성화하여 표현합니다. 즉, a sailing lady는 항해 중인 배를 가리키는 것임.


Docked on the Ivory Coast

상아해안(코트디부아르)에 정박했네

>>코트디부아르에는 수많은 아프리카코끼리가 살고 있고, 상아 채집 때문에 아프리카코끼리가 끊임없이 살상당하고 있다고 함. 현재는 거의 멸종위기에 처했다고 합니다.


Mercedes in a row winding down the road

길을 따라 벤츠가 줄줄이 내려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Cephetola Mercedes”라는 종의 나비가 있다고 하는데, 이 나비는 보통 코트디부아르, 가나, 나이지리아 그리고 카메룬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Mercedes는 벤츠를 뜻하기도, 상아해안(코트디부아르)에 서식하는 나비를 뜻하기도 합니다(이중성).


I hope my black skin don't dirt this white Tuxedo

내 검은 피부가 이 하얀 턱시도를 더럽히지 않았으면 해-


Before the Basquait show and if so

-바스키아 전시회 이전에 말이야. 만약 그렇게 된다면-

>>Jean-Michel Basquiat, 미국의 낙서화가, 검은피카소(바스키아는 흑인)라고 불린다고 함.

>>다음은 바스키아의 작품 [Tuxedo]이다. 흑과 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음. Frank Ocean이 이전 가사에서 언급한 턱시도와 연관이 있겠습니다.


Well fuck it, fuck it

-음, x까라고 하지 뭐.


Because this water drown my family

왜냐하면 이 바닷물이 내 가족을 익사시켰거든


This water mixed my blood

이 바닷물이 나의 피를 섞어놓았거든


This water tells my story

이 바닷물은 나의 이야기를 하거든


This water knows it all

이 바닷물은 모든 걸 알고 있어


Go ahead and spill some champagne in the water

가서 바닷물에 샴페인을 붓도록 해


Go ahead and watch the sun blaze (the son blaze)

가서 타오르는 태양을 봐 (우리가 녹색 잎을 피우는 걸 봐)

>>이 가사에 나타나는 이중성은?

1. 작열하는 태양에서 혹사당하는 흑인 노예의 모습

2. 성공을 축하하기 위해 요트를 띄우고 대마초를 피우는 그들의 모습


On the waves of The Ocean

1. 바다 물결 위에서 말이야

2. 내 음악을 통해서 말이야

>>The Ocean(Frank Ocean 자기 자신을 강조하여 나타낸 표현)이 만드는 the waves(sound waves :음파; 그의 음악)을 통해서


[Verse 1: Jay-Z]

Dope boy still smelling like cocaina

약팔이 소년에게서는 아직도 코카인 냄새가 나

>>과거 약팔이 경력이 있는 Jay-Z 자신에 대한 묘사. 코카인은 상급일수록 하얀색에 더욱 가까워진다. 이 라인은 자신이 과거에는 어떠한 방식으로 “흰색”과 관련이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White boat, white robe

흰색 보트, 흰색 로브

>>현재 그와 관련된 “흰색”은 코카인이 아닌,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모든 것.


Can he be more cleaner

그가 이보다 더 깔끔해(하얘)질 수 있을까


The oil spill that BP ain't clean up

BP도 치워낼 수 없는 시커먼 기름의 유출

>>2010년 4월 20일 멕시코 만에서 BP(British Petroleum)의 석유시추시설 사고 때문에 원유가 유출된 사건.

엄청난 양의 원유 유출과 피해 규모 탓에 현재까지도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BP는 유출된 원유를 계속해서 회수하고 있다.

>>Jay-Z는 바닷물에 유출된 원유에 비유하여 자신의 피부색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검은(흑인) 사상은 BP조차도 바다에서(이 곡에서 흑인의 뿌리로 묘사된) 깨끗하게 걷어낼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흰색의 보트, 흰색의 옷으로 자신이 지닌 부와 명예를 표현하면서도 자신의 이념은 여전히 검은색(흑인)임을 설명하고 있다. 즉, Jay-Z는 백(白)이면서도 흑(黑)인 이중성을 지닌 사람이다


I'm anti-Santa Maria

나는 안티 Santa Maria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는 산타마리아호(The Santa Maria)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 미대륙에 도착하였다.

>>미국 역사에 대한 부정. 이 이후로 흑인들이 노예로 미국에 발을 들이게 되었으니..


Only Christopher we acknowledge is Wallace

우리가 알고 있는 Christopher는 오직 "Christopher Wallace ; The Notorious B.I.G"뿐

>>미국 역사에 대한 부정, “콜럼버스 x까”. 더불어 Biggie 찬양


I don't even like Washingtons in my pocket

난 내 주머니 안에 있는 "Washingtons"조차 좋아하지 않아

>> $1짜리 지폐에 새겨진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다음의 내용은 네이버 백과사전 발췌. 왜 Jaz-Z가 조지 워싱턴을 좋아하지 않는지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조지 워싱턴은 노예를 소유한 남부의 농장주였다. 한때 워싱턴은 흑인은 무식하며 게으르고 경솔하고 기만적이며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믿었고 자신의 감독관으로 하여금 노예들을 때려도 좋다고 허용했다.

대통령으로 그는 1792년의 도망 노예법(Fugitive Slave Act)을 법으로 제정하는 데 서명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단호한 재정 정책과 국내 정책으로 국가 발전의 기틀을 잡다 (조지 워싱턴-미국의 기틀을 만든 불멸의 리더십, 2009.3.25, ㈜살림출판사)


Black card go hard when I'm shopping

검은색 카드(Black Amex)는 내가 쇼핑할 때면 흥분 상태로 돌입해


Boat dock in front of Hermes picking cotton

목화솜을 따는 헤르메스 신 앞에 보트를 정박해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 헤르메스. 혹은 프랑스의 명품브랜드 "에르메스"를 의미, cotton은 에르메스의 옷을 의미하게 됨


Silk and fleeces, lay on my Jesus

실크와 양털, 내 예수 목걸이 위에 살포시 얹어

>> Jesus가 갖는 이중성이란?

1. 자신의 부와 명예의 과시(비싼 예수 목걸이)

1. 자신의 선조의 한이 서린 객체(영국에서 미국으로 들어온 가장 첫 번째 노예선의 이름은 The Good Ship Jesus(Jesus of Lubeck)이다).


Oh my God, I hope y'all don't get seasick(see-sick)

오 신이시여, 난 너희가 뱃멀미(보는 고통)를 겪지 않았으면 해

>>동음이의어인 see와 sea를 이용한 wordplay

>>[si: sik]이라고 발음되는 한 단어가 지니는 이중성이란?

1. seasick : 뱃멀미. 이 곡의 테마인 "바다"와 연관.

2. see-sick : 에르메스 옷과 같이 비싼 옷을 쉽게 사입을 수 있는 Jay-Z를 바라봐서(see) 질투심에 생기는 병

>>유투브에 올라온 이 곡의 프리뷰 동영상(본문의 맨 처음에 소개된)을 보면 Jay-Z가 이 “seasick(see-sick)”을 설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See me in shit you never saw

네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곳에 있는 나를 봐


If it wasn't for these pictures they wouldn't see me at all

만약 내가 사진을 찍힌 게 아니라면, 사람들은 내가 거기 있는 걸 보지도 못할걸

>>"내 위치가 너무 독보적이라 너희가 날 직접 보게 되는 일은 없을 거야"


Aww, whole world's in awe

Aww, 온 세상은 awe(awesome; 찬사)에 빠졌어


I crash through glass ceilings, I break through closed doors

난 유리 천장을 깨고 솟아올랐고, 닫힌 문을 부숴 돌파했어

>>유리 천장(glass ceiling)은 성별이나 인종 때문에 회사 내에서 일정 직급 이후로의 승진할 수 없어지는  현상을 가리킬 때 쓰는 단어. Jay-Z는 흑인이 미국에서 갖는 한계를 깨고 엄청난 부를 갖게 됨을 이야기하고 있음.


I'm on the ocean, I'm in heaven

난 바다 위에 있어, 천국에 있지

>>바다가 지니는 이중성이란?

1. 천국에 있는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게 하는 최고의 휴양 장소

2. 조상(흑인 노예)이 희생당한 곳이며, 그들의 혼이 안식하고 있는 천국


Yachting, Ocean 11

요트를 타고, 오션 일레븐

>>영화 “오션스 일레븐(Ocean’s 11)”의 내용처럼 한바탕 일을 벌여 큰 돈을 벌겠다는 의미인 듯.

>>”오션스 일레븐(1960년 작)”의 주인공 Danny Oceans를 연기한 Frank Sinatra에 대한 레퍼런스. 그는

동 앨범의 <Somewhereinamerica>에서도 Frank Sinatra에 대한 레퍼런스가 나온다. “Frank Sinatra on my Sonos. Loud as fuck, I did it my way...”



[Hook]


[Verse 2: Jay-Z]

Me and Ty Ty is like Pablo and Popeye

나와 Ty Ty는 마치 "파블로 에스코바와 뽀빠이"와 같아-

>>Ty Ty는 Jay-Z의 곡에서 수없이 등장한 그의 어린 시절 친구.

>>전설의 마약왕인 Pablo Escobar와 그의 오른팔이었던 살인청부업자 Popeye를 이용해 자신과 자신의 친구와의 관계를 묘사


Winding dirt roads on mopeds spilling opus

-우리는 모페드를 타고 오퍼스원 와인을 흘려가며 흙길을 달려

>>moped(모페드)는 소형 오토바이를 말하며, motor + pedal 에서 그 이름이 파생된 것임.

>>Pablo Escobar는 자신과 자신의 친구들이 이 모페드를 타고 콜롬비아를 누비는 내용(?)의 홈비디오를 촬영한 적이 있다고 한다.

>>Opus One은 미국의 Napa Valley, CA에 위치한 Opus One Winery에서 생산되는 고급 와인이다.(미국 명품 와인의 자존심!)

>>Jay-Z는 2006년에 발표한 그의 앨범 [Kingdom Come]에 수록된 <Show Me What You Got>에서도 Opus One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다. #JayZLovesOpusOne

“I’m just getting better with time. I’m like Opus One”(난 시간이 갈수록 더욱 발전해. 마치 오퍼스 원과 같지)


Welcome to the magnum opus

나의 대표작으로 어서 와

>>opus(예술가의 작품)라는 단어는 앞서 나온 Opus One과 이어진다. magnum opus는 한 예술가의 가장 뛰어난 작품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이중적 의미를 담은 “opus”라는 단어

1. 와인

2. 작품


The Magna Carta

>>앨범명 [Magna Carta... Holy Grail]

>>1215년 영국 왕 존이 귀족들의 강압에 따라 승인한 칙허장, “대헌장”이라 불리는 마그나 카르타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네이버 백과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90112&mobile&categoryId=200000285

>>”Magna Carta”는 magna(위대한) Carter(Jay-Z(Shawn Corey Carter)의 성)로 볼 수 있다.


The best-selling author Decoded

베스트 셀러 작가, "Decoded"

>>2010년에 출시된 그의 자서전 <Decoded>


On the holiday playing "Strange Fruit"

"Strange Fruit"을 틀어놓은 휴일

>>”Strange Fruit”은 재즈 역사에서 큰 획을 그은 미국의 흑인 재즈가수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의 곡

Abel Meeropol 이라는 고등학교 교사가 쓴 시를 가사로 하여 만든 곡으로, 백인들로부터 한 흑인이 린치를 당하여 죽은 뒤 나무에 매달려있는 광경을 시적으로 표현하여 인종 차별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 곡이다.

>>휴일(holiday)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는?

1. “Strange Fruit”을 부른 가수가 빌리 홀리데이이기 때문.

2. 이 앨범[Magna Carta... Holy Grail]의 발매일은 7월 4일로, Independence Day였다(공휴일).

>>Kanye West의 <Blood On The Leaves>(2013년에 발매된 [Yeezus]에 수록)에서 샘플링된 “Strange Fruit”은  Nina Simone이 부른 버전이라고 한다.


If I'mma make it to a billi I can't take the same route

1. 만약 내가 억만장자가 되려면, 난 똑같은 길을 걸을 수는 없지

2. 만약 내가 억만장자가 되면, 난 똑같은 “뿌리”를 취할 수 없지

>> [ru:t]라고 발음하는 단어(route, root)가 지닌 이중성이란?

[1] 2013년 현재 그의 재산은 약 $500,000,000 정도 된다고 한다(half a billion). 재산을 billion으로 불리려면 예전과 같이 약을 팔아 푼 돈을 버는 행위로는 어림도 없다.

[2] ”can’t take the same route(root)” : <Strange Fruit>의 가사 중 “Southern trees bear a strange fruit(남쪽의 나무들은 이상한 열매를 매달고 있어). Blood on the leaves and blood at the root(나뭇잎에 피가, 뿌리에 피가 맺혀있어)” 이라는 구절이 있다.

Jay-Z가 말한 “route”는 이 가사에 나오는 뿌리(root; route와 동음이의어)에 대한 레퍼런스라고 볼 수 있다. 즉, “내가 돈을 엄청나게 벌게 되면, 내가 흑인이라는 이유로 Strange Fruit에서 묘사된 것처럼 억울하게 죽는 일은 없을 거야”


Swoosh, that's the sound of the border

(스우시), 그건 국경에서 나는 소리

>>노예선을 타고 미국으로 건너온 흑인, 국경(바다)에서 나는 소리는 바로 바닷물이 해안으로 들어오는 소리


Swoosh, and that's the sound of a baller

(스우시), 그건 선수(성공한 놈)의 플레이에서 나는 소리

>>농구에서 골대로 공이 깔끔하게 들어가 “슉~”하고 나는 소리를 Swoosh라고 함. baller는 hood에서 가난하게 태어났지만, NBA에서 성공해서 엄청난 부를 누리게 된 농구 스타를 가리키는 단어이지만, 요새는 그냥 엄청나게 돈을 많이 번 놈을 통틀어 baller라고 한다.

>>또한 Swoosh는 나이키 로고의 이름이기도 하다.

>>Swoosh라는 소리가 지닌 이중성이란?

1. 노예로 팔려온 흑인의 아픔을 대변하는 소리

2. 흑인으로 태어나 미국에서 성공하는 소리


Muhammad Hovi my back against the rope,

나는 무하마드 호비, 내 등을 로프에 기대고 있어

>>무하마드 알리의 기술 “Rope-a-dope”을 의미. 일반적으로 복싱에서 선수가 로프에 기대게 되는 상황은 수세에 몰리는 상황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Rope-a-dope”기술은 선수 자신의 몸을 고의로 로프에 기대는 데에서 시작한다. 로프의 반동을 이용해 상대방의 펀치를 피하고 타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며, 결국에는 상대방이 지치게 되는 전략이다.

>>즉, 자신의 등을 로프에 기댄 모습은 이중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상황이다. 남들 눈에는 수세에 몰린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만의 필승 전략을 펼치는 중인 것이다.


The black Maybach, I'm back inside the boat

검은색 마이바흐, 나는 다시 보트로 돌아왔어

>>마이바흐의 설립자 Wilhelm Maybach는 세계 최초의 모터보트를 만들었다(Gottlieb Daimler와 공동작업).

>>boat가 지니는 이중성이란?

1. 흑인들을 수송해온 노예선. 자신들의 조상을 추모하고, 그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다는 의지.

2. Jay-Z가 축하 파티를 벌이고 있는 요트.


Shepard Fairey, they finally gave me some Hope

Shepard Fairey, 그들은 마침내 내게 희망(Hope)을 줬어

>>”Hope”는 Shepard Fairey(그래픽 디자이너, 그래피티 아티스트, 스케이트보더 그리고 의류브랜드 Obey의 창시자)가 그린 오바마의 2008년 대선용 포스터 작품 이름이다.

>>Shepard Fairey의 이름에서 shepherd(목동)와 ferry(운반선)라는 단어의 유추가 가능하다. 즉, Hope라는 포스터가 수많은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을 두고 투표를 할 수 있게 잘 이끌어 주었다는 뜻(목동, 운반선)으로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Can't believe they got a ni##a to vote

그들이 깜둥이가 투표할 수 있게 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아


Democrat, nope

내가 민주당을 지지해? 아니


I sold dope

난 약을 팔았어

>> 1986년, 레이건 대통령 행정부의 이란-콘트라 스캔들 참조(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76&docId=71198&mobile&categoryId=476 )

>>레이건 행정부는 니카라과의 공산정권에 대항하는 콘트라 반군을 비밀리에 불법 지원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코카인이 미국으로 반입되었다고 한다.

>>즉, 이 구절에서 Jay-Z는 공화당이었던 레이건 대통령 덕분에 약을 팔 수 있었으니, 자신은 차라리 공화당을 지지하겠다며 비꼬고 있는 것이다.


In troubled waters I had to learn how to float

거친 물결에서 살아남기 위해 떠다니는 법을 배워야만 했어


On the ocean, I'm in heaven

난 바다 위에 있어, 천국에 있지


Yachting, Ocean 11

요트를 타고, 오션 일레븐


[Hook]
신고
댓글 16
  • 7.10 01:33
    와 장난아니네
  • 7.10 03:32
    번역 정말 잘봤습니다!
  • title: 왕MHY글쓴이
    7.10 05:44
    @OneDozen
    감사합니다!!
  • 7.10 20:53
    번역너무좋습니다!감사합니다.
  • 7.12 04:04

    JAY Z is God

  • 7.12 13:09
    번역 잘 봤습니다.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유익하네여!
    제이지..감탄 ㅜㅡㅜ 감동 캬
  • 7.13 17:37
    swaggg
  • 7.14 12:38
    대단하네요 진짜...
  • 7.14 22:28
    역시 제이지 가사의 깊이란 ㄷㄷ

    번역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 7.20 23:32
    와..미첫네 !!!
  • 7.23 15:07
    쓰느라 정말 수고 많이하셨습니다! 잘봤어요!!!!
  • 7.23 15:13
    Black card go hard when I'm shopping

    검은색 카드(Black Amex)는 내가 쇼핑할 때면 흥분 상태로 돌입해★

    이부분은 카드를 카드 단말기에 자꾸 넣었다가 뺐다가 마찰을 일으키니까
    흥분 상태로 유추시킨게 아닐까요..?
  • title: 왕MHY글쓴이
    7.26 04:36
    @ed7551
    듣고보니 그렇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 10.10 19:19

    GOD MC J HOVA

  • 3.17 20:36

    해석 분량이 ㅎㄷㄷ 하네요.. 감사합니다

  • 5.25 14:41

    감사합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