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음악

문화적 전유 Cultural Appropriation

이오더매드문2024.07.17 00:15조회 수 804추천수 8댓글 27

물론 엘이 커뮤니티 규정 상

"정치"에 관한 얘기를  철저하게 엄금하지만

 

그래도 이건 대중음악과 꽤나 깊게 연관된 주제라서 한번 말해보겠습니다.

 

문제된다면 자삭하겠습니다.

 

 

일단 저는

"문화적 전유"

영어로

"Cultural Appropriation"이란 개념을 부정적으로 보고

반대하는 사람입니다.

 

물론 그런 사안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의 심정도 당연히 이해 갑니다.

 

당장에 한국도

여러 드라마 때문에 생긴 동북공정 논란 때문에

한국의 전통문화가 중국에게 뺏기는 것에 상당히 예민하기 때문이죠.

 

미국이나 유럽 같은 곳에서도

워낙에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곳이라서

이런 문화적 전유 이슈에 민감할 수밖에 없지요.

 

 

하지만 그럼에도 제가

문화적 전유 라는 개념에 부정적인 이유를 말해보겠습니다.

 

 

 

첫째 이유.

"대중음악"이란 것 자체가

그 시작부터 아주 다양한 음악문화가 섞여서 시작되었습니다.

 

흔히들 "블루스" "가스펠" 같은 흑인음악이

대중음악의 뿌리라고 하지요.

 

그게 뭐 오늘날 저지클럽/드럼앤베이스/하이퍼팝 같은 일렉 장르나

하다못해

슈게이징이나 블랙 메탈 같은 백인적인 장르로 뻗어나가기까지 했지요.

 

그런데 가스펠이나 블루스 같은 흑인장르도 사실 곰곰히 따져보면

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의 결합입니다.

 

유럽 북미에서 발전해온 여러 기독교음악과 클래식 적인 요소가

흑인노예들이 간직해온 아프리카 전통적인 요소와 섞여서

가스펠 같은 장르가 탄생했고

그리고 이건 블루스의 탄생이 되었고요.

 

백인들이 연주하는 컨트리 같은 장르는

백인들만의 전통적인 민요음악이

흑인들의 블루스 로큰롤 같은 음악과 섞여서 생긴 음악이지요.

더러는

북미 원주민(인디언)이나 다른 유색인종의 영향도 있었다고 말하더군요.

 

블루스 같은 장르 역시 어떤 면에선

백인들의 보드빌 문화에서 일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던데

이건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재즈는 물론 그 시작은 명백하게 흑인들이 일궈낸 음악입니다.

하지만 재즈가 발전될수록

글렌 굴드, 길 에반스 ,마일즈 데이비스, 레너드 번스타인

빌 에반스, 클로드 볼링 등등 그런 사람들 때문에

백인적인 클래식 같은 요소가 섞이거나

심지어 유럽이나 남미나 인도 동양 같은 요소를 섞거나

아프리카 전통 음악까지 섞거나

심지어 허비 행콕 등등 전자악기를 도입하여 퓨전 장르도 생겨났지요

하다못해 아방가르드적인 프리재즈 지랄음악도 생겨났고요.

 

락도 마찬가지입니다.

브라이언 이노,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 같은 뮤지션들은

초창기 일렉을 시도하면서도, 거기에다가 아프리카 전통 비트를 섞어서

대중음악의 역사에 영원히 남을 걸작들을 완성했습니다.

영국이나 독일에서도

캔터베리처럼 재즈와 락을 섞거나, 크라우트락처럼 온갖 장르를 다 섞거나...

 

일렉?

물론 초창기 전자음악의 경우는 흑인음악의 색채가 전혀 묻지 않던 시절이 있었죠.

웬디 카를로스, 페레이-킹슬리 같은 초창기 무그 신디사이저 음악가들은

흑인음악에서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일렉 음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말하는 존 케이지 같은 현대음악가도

아마도 흑인음악과는 거리가 있는 편이었지요.

그의 작품을 다 아는 건 아니지만, 흑인음악의 영향은 별로 없어보입니다.

 

물론 신디사이저나 드럼머신이나 여러 전자기술이

미국이나 디트로이트

아니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하우스, 디스코, 테크노 같은 장르로 진행될수록 흑인음악의 요소가 진해지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초창기 일렉은 흑인음악의 잔재가 전혀 없었습니다.

 

메탈의 경우는

메탈의 시작 자체가 흑인음악에서 멀어지려는 시도였습니다.

기존의 락에서 블루스적인 느낌을 철저히 없애고 질감에 집중하는 시도였지요.

하지만 메탈도 가만히 보면

얼터너티브 메탈, 훵크 메탈, 뉴메탈, 랩메탈 등등

다양한 장르에서 흑인음악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여러 메탈 하위 장르에 큰 영향을 준 하드코어 펑크 역시

백인음악과 흑인음악의  요소를 둘 다 가진 부분이 많고요.

건즈앤로지스 같은 메탈밴드도 흑인음악에서 큰 영향을 받았고요.

 

컨트리/포크 음악가 중에도

닉 드레이크, 조니 미첼, 밴 모리슨, 윌리 넬슨 같은 사람들처럼

포크와 재즈를 섞는 뮤지션들이 많았습니다.

 

 

다양한 문화와 음악 장르가 모조리 섞였기에

Bitches Brew 같은 명반이 나왔고

Hot Rats 같은 명반이 나왔고

Aja 같은 명반이 나왔고

Remain in Light 같은 명반이 나왔고

Rage Against The Machine 같은 명반이 나왔고

Maggot Brain이나 There's a Riot Goin on 같은 명반이 나왔고

Licensed to Ill이나 Paul's Boutiqe 같은 명반이 나왔습니다.

 

근데 우리는 Remain in Light를 엄연히 백인음악이라고 부르지요.

조니 미첼의 앨범들엔 아주 많은 흑인 뮤지션들이 참여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녀의 앨범들은 백인음악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대부분 그점에 딱히 불만이 없고요.

 

"문화적 전유"를 자꾸 꺼내면

Remain in Light 같은 명반이 나올 수 있었을까요?

오히려 정반대로

데이비드 번이나 브라이언 이노 같은 음악가들은

그 시절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그 개성과 장점을 인정하고

서양음악의 한계를 이기기 위해 다른 지역의 음악의 특성을 받아들이고

다양성을 추구하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다른 문화를 뺐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합하기 위해서 시대를 앞서나갔던 사람들이었어요.

 

이건 프로그레시브 락, 아트 팝, 포스트 펑크, 포스트락 등등 다양한 장르가 다 그랬고요.

 

 

 

 

물론 중국이 지금 그러는 것처럼

한국문화를 무조건 자기거라고 우기는 건

당연히 명백하게 잘못되었죠.

그건 날조와 거짓말이니까요.

 

 

하지만

브라이언 이노 , 데이비드 보위, 데이비드 번 같은 사람들

여러 퓨전요리를 시도하려는 유명셰프

흑인음악이나 동양음악 접목을 시도한 과거 클래식 작곡가들

다양한 나라의 문화에 대해 작품을 만드는 디즈니 픽사

아니면

광화문에서 한복을 입는 외국인 관광객들

그런 사람들이 정말로 다른 나라 문화를 뺐으려고 그런 행위를 하는 걸까요?

그건 명백히 아니지요.

오히려 그런 사람들 덕분에

더 많은 타국의 문화를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라 믿습니다.

 

 

겉으로만 판단하고

시작부터 무작정

"문화적 전유"라는 표현을 꺼내는 것은 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하다못해

케이팝이나 제이팝 역시 마찬가지로

​​상당 부분 흑인음악에서 아주 많은 영향을 받았고

당연히 수많은 백인음악에서도 직간접적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에요.

사실 따져보면 케이팝 역시 마찬가지로

한국음악 고유적인 장르적 정체성은 의외로 그닥 없다는 말입니다.

 

 

 

둘째 이유.

저는 "장르"는 그 자체론 아무것도 아니라고 믿습니다.

 

오늘날 흑인 예술가들이 느끼는

박탈감은 백번천번 이해가 갑니다.

 

힘든 상황을 이기기 위해서 시작된 음악

블루스 같은 음악은 이젠

백인들의 전유물로 변해버렸고

심지어 에릭 클랩튼 같은 블루스 뮤지션은 극우적인 언행을 일삼고 있고

 

재즈 같은 장르도

백인 재즈 뮤지션들이 더 많아진 것 같고

심지어 케니G 같은 음악이 훨씬 더 유명해졌고

 

힙합 같은 장르도

이젠 보수진영이 강한 남부에서도 유명한데

거기서는 키드 락이나 톰맥도날드 같은 보수성향 음악가들이

힙합을 트럼프 지지하는 음악으로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흑인들 입장에서는

"과연 이게 흑인음악의 본질인가"라고 현타 드는 감정이

백번천번 당연합니다.

 

 

근데 전 개인적으로

"장르"는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믿습니다.

 

힙합은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컨셔스적인 힙합도 있고

폭력적인 갱스터적인 힙합도 있고

성적인 가사가 많은 더티 힙합도 있지요.

정치적인 가사 일절 없이 오로지 즐기기 위한 파티용 힙합도 있고요.

그것 모두 힙합의 본질입니다.

 

하지만 전 "힙합"이란 음악이

어떤 성스러운 정신이나 위대한 창립이념을 가진 음악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그냥 "장르"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고 봐요.

 

이건 블루스던지 재즈던지 다른 장르라도 마찬가지고요.

 

톰 맥도날드 벤 샤피로 같은

백인극우유명인사가 만드는 힙합음악도 결국엔 힙합이고

더 루츠 켄드릭 라마 같은

킬러 마이크 같은

흑인민권운동을 강하게 외치는 힙합음악도 역시 힙합이고

로린 힐 같은 페미니즘을 외치는 힙합도 당연히 힙합이고

블랙넛 같은 잼민들 불러모아대는 힙합음악도 결국엔 힙합이고요.

힙합은 단지 힙합입니다. 오직 그뿐.

 

 

 

쉽게 메탈을 예를 들자면

 

판테라 같은 거장급 메탈밴드도 백인우월주의 논란이 있고

초창기 블랙 메탈 이라면 말할 것도 없지요.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메탈"이란 장르를 정의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잖아요?

 

롭 헬포드처럼 퀴어 메탈가수도 있고

여성 메탈 밴드도 있고

리빙 컬러 같은 흑인메탈 뮤지션도 은근 많고

동양이나 아프리카에도 메탈밴드는 많습니다.

하다못해 크리스천 블랙메탈 밴드도 있을 지경입니다.

 

컨트리 역시

모건 월렌 같은 공화당 성향의 컨트리 음악가도 많고

더 칙스 테일러 스위프트 같은 민주당 성향의 컨트리 음악가도 당연히 많고

가스 브룩스처럼

보수 진보 중도 정치성향이 모조리 골고루 섞인 컨트리 음악가도 아주 많습니다.

그 모두 다 명백하게 컨트리라고 부를 수 있지요.

 

 

 

결론을 말하자면

저는 기본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지지하는 사람입니다.

아니 애당초 "문화"라는 개념 자체가

매우 시시하고 별거 없는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문화가 문화가 만나서 섞이고 그 경계가 흐려지는 것은

별로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저는 "문화"라는 것이

그 자체로는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라고 믿는 사람입니다.

 

근데 "문화적 전유"는

겉으로는 다문화주의를 지지한다고 말하면서

오히려 문화 간의 장벽을 더더욱 두껍게 만들고

오히려 문화 간의 괴리감을 만들고 더더욱 진영갈등을 조장시킨다고 믿습니다.

 

 

10~20년 뒤에 제 생각이 바뀔지도 모르지만

 

일단 현재로는 전 그렇게 믿습니다.

 

 

 

에미넴이나 비스티 보이즈 같은 백인힙합뮤지션이

흑인들을 탄압하는 사람들일까요? 당연히 아닐테지요.

 

인종간 장벽 문화간 장벽을 허무는 것은 정말로 좋은 일이지만

 

굳이 애꿎은 창작자 혹은 소비자를 탓하는 것은 건강하지 않다고 믿습니다.

 

비판하는 포커스가 한참 엇나갔다고 봐요.

신고
댓글 27
  • 7.17 02:48

    애초에 어디에서부터 문화적 전유인지 따지기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막상 기준을 물어보면 대답못할 사람 많을껄요

    특히 요즘같은 시대는 여러 문화가 뒤섞인 창작물이 오히려 압도적으로 많고요

    동북공정은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니 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해요

    근데 글쓰신걸 보니 음잘알이시군요

    나대지 말고 조용히 케이팝 역사나 공부하겠습니다

  • 7.17 02:53
    @칸이지

    그쵸. 사실 녹음 기술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백인 에디슨이었으니 ㅋㅋ

    문화가 섞이는 요즘 트렌드는 그냥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고 시대의 흐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봅니다.

    그 과정에서 좋은 음악과 좋은 메시지만 나오면 그만이라고 봐요.

    어쨌든 "힙합은 백인이 시작했다" "블루스 재즈는 백인이 시작했다" 같은 개소리 왜곡만 아니면

    뭐든 다 상관없다고 봅니다.

    그니까 결국 대중성 최고 멜론 최고

  • 7.17 08:09

    글 공감합니다

    포스트 발라드 기원 1일차

  • 7.17 12:29
    @수저

    비요크?

  • 7.17 13:11

    글 내용에 백 번이고 천 번이고 공감합니다.

     

    근데 블루스+컨트리=로큰롤인데 잘못 쓰심.

  • 7.17 13:18
    @사무스아란

    그쵸.

    로큰롤과 로커빌리는 서로 연관이 깊으니까요.

    근데 또 로큰롤이 역으로 컨트리에 영향을 준것도 많으니...

    어쨌든 흑음과 백음은 그만큼 서로의 영역에 교집합이 많다고 봅니다.

  • 7.17 14:35

    우리가 드레드 했다고 뭐라고 하는 흑인들을 보면 가끔씩 숨이 턱 막힙니다.

  • 7.17 14:39
    @끄응끄응끄응

    굳이 갈라치기 갈등을 조장하려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만

    사실 그런 헤어스타일은 수백년 전 아프리카 중동 뿐만이 아니라

    백인들이 많은 유럽 쪽에서도 존재했던 헤어스타일이에요.

    굳이 그걸 흑인의 전유물이라고 하기엔 논리비약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아 물론 그런 헤어스타일을 가지고 레게,힙합,알앤비 같은 장르를 부른다면, 그건 흑인적인 느낌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스타일 자체로는 반드시 흑인스타일은 아니죠

  • 7.17 14:49

    글씨 줮나크네요

  • 7.17 14:53
    @꿀꿀이

    그래야 읽기 쉬우니까용

  • 7.17 14:55

    문화적 전유라는 게 애초에 너무 애매한 개념인 것 같네요.

    예전에 박재범 DNA 리믹스였나에서 드레드 머리 가지고 전유라고 했을 때 이 개념을 처음 접했었는데, 그때는 X도 말도 안 되는 거 가지고 그랬으니 이게 전유라는 게 말이 되나 싶었는데, 나중에 차차 생각해보니 말이 될 때도 있긴 하더라고요.

    아예 문화적 전유라는 개념을 부정하는 편은 아니고 진짜 전유인 케이스도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문화라는 게 애초에 서로 섞이고 분리되고 들어가고 나가는 게 자연스러운 건데 너무 모든 걸 전유로 취급하면서 공격하는 것도 좋지 않은 것 같네요.

    가만 생각해보면 저는 전유 자체보다는 그냥 이해도가 없는 빡통들이 괜히 갖다쓰는 게 꼴뵈기 싫은 것 같기도... 남에 문화 쓰고 싶으면 좀 알고 썼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그게 서로의 문화에 대한 존중 아닐지...

  • 7.17 14:57
    @Pushedash

    그쵸. 전적으로 200% 동의합니다.

    브라이언 이노 토킹 헤즈 같은 사람들이 Remain in Light 같은 명반을 만든 이유도

    다른 타국의 음악문화를 100%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들의 락 문화에 완벽하게 섞어냈기 때문이죠.

  • 7.17 15:13

    매체의 발달로 문화 간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여러 문화적 요소들이 통합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거는 어떻게 보면 필연적인 흐름이라고는 생각합니다. 그 맥락에서 음악에서 이러한 흐름이 나타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고요.

     

    물론 문화적 전유에 대한 개념이나 경계가 다소 불분명하다는 건 저도 공감하지만 해당 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은 정작 차별받고 있는데 해당 문화가 좋아보인다고 가져가서 본인들 입맛대로 존중없이 가져가기만 하면 거기서 나오는 반발 또한 당연하다고 생각하네요. 막말로 니들은 아직도 우리한테 혐오 발언하며 차별하고 존중도 안하는데 우리 문화가 좋아보인다고 쏙 빼앗아가네? 기분이 안 좋을 수 밖에 없죠.

     

    당장 문화적 전유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가 오리엔탈리즘인데 팝스타들 중에서 아시아 문화가 매력적이라며 제대로 된 이해 없이 일본 중국 인도 의상들을 이것저것 짬뽕하는 경우도 허다하죠. 여기에 아시안들에 대한 혐오까지 덤이구요.

     

    물론 발전이나 문화 향유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런 것도 결국에는 새로운, 혹은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내기에, 발전의 한 축이라고 바라볼 수도 있기에 긍정적일 수도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이러한 흐름 속에서 윤리적인 논의들과 존중들이 뒷받침되는게 맞다 생각하네요.

  • 7.17 15:18
    @Midnights

    너무 지나치게 뻔한 결론으로 귀결되긴 하지만

    저는 예술과 그 예술을 만든 예술가는 철저하게 분리시키는 사람입니다.

    버줌이 인종차별자 쓰레기이긴 하지만 그의 앨범들은 블랙 메탈 역사에 남을 명반이지요.

    문화도 앞서 말한 것처럼 문화는 단지 문화일 뿐이라고 봅니다.

    물론 동양문화 즐길건 다 즐기면서 동양인 차별하는 양놈들은 저도 혐오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그 양놈들이 동양문화를 소비하는 것 그 자체로는 절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혐오차별은 나쁘지만 그게 창작문화/소비문화를 비판하는 것으로는 연결이 되면 안된다고 봅니다.

    무엇보다 저는 "문화"라는 것을 개인의 정체성과 결부시키고 싶은 생각도 별로 없고요.

    게다가 사실 저는 문화는 어떤 성스러운 개념이 아니라고 믿습니다. 애당초 문화에 "존중"이란 단어를 꺼낸단 것 자체가 제겐 이해가 안가요

    에릭 클랩튼은 인종차별적 극우적 언행을 뱉어댄 놈이란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어쨌든 그는 "블루스" 장르에서 불변의 위치에 있잖아요. 아이러니하긴 하지만.....

  • 7.17 15:34
    @이오더매드문

    관점의 차이 같네요. 저도 분리시켜야한다는 관점 자체는 그럴 수 있다 생각하지만 아닌 관점을 가진 사람들도 많기에 그들의 비판은 감수해야하는 영역이라 생각합니다. 더더욱 거기에서 피해받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의 반발 또한 당연히 감수하고 존중해야하고요.

     

    그게 문제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창작 행위에 해당 문제를 공유하지는 않겠죠. 그치만 반발과 비판은 감수해야하고 거기에 이해 안가는 입장을 보이면 그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은 것이기에 다소 적반하장의 태도라 생각합니다.

     

    문화를 개인 하나하나의 정체성에 귀결하기보다는.. 문화 자체가 해당 문화권에 속해있는 사람들이 향유하거나 창조하기에 그 사람들의 영향이 들어갈 수 밖에 없기에 연관 지을 수 밖에 없다 생각되네요. 개인보다는 집단의 개념으로 얘기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이를 걸부 짓는 것이구요.

  • 7.17 15:46
    @Midnights

    물론 제 의견에 동의안하고 반대하는 의견을 표하는건 100% 괜찮습니다. 당연히 법적으로 동의하지 않을 자기주장의 권리가 있고요.

     

    그렇지만 저는 그 사람들의 의견표현은 존중하고 감정도 이해하지만

    동의까지 하고픈 생각은 없습니다.

     

    십년뒤에 생각이 바뀔지는 몰라도 현재 제 관점으로는 전 제가 맞고 그분들이 틀리다고 생각하거든요.

     

    맞아요 문화는 집단적인 특성이 강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휘트니휴스턴이나 냇킹콜처럼

    흑인음악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나려는 흑인음악가들도 항상 있었습니다

    그 사람들도 한때는 흑인을 배신했다며 배신자 취급 받았으나

    현재로는 당당히 위대한 흑인음악가 리스트에 나오잖아요?

    그니까 제 말은, 결국 음악을 소비하거나 창작하는 것은 결국 철저히 "개인"입니다.

    그래서 남의 창작과 소비에 대해 왈구불구해선 안된다고 보는게 그게 제 관점입니다.

    설령 그게 에릭클랍튼 같은 극우성향이더라도요.

  • 7.17 15:24

    공감추 필력 지리네 글을 되게 잘 쓰시네요

  • 7.17 15:25
    @K드릭라마
  • 7.17 16:16

    눈이침침하네요3줄요약부탁드립니다

  • 7.17 16:18
    @김베이비킴

    블랙넛 사랑해요

  • 7.17 19:31

    민감한 사람들도 이해가지만 매드문님의 시점에서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문화는 그냥 문화일 뿐

  • 7.17 20:47
    @민니

    재즈도 점점 저물어가고 흑인백인 구분이 그닥 무의미한 시대가 온것처럼

    다른 장르문화도 그렇게 되리라 믿습니다

    이건 좋은것도 나쁜것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 7.17 21:36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심리와 선민의식이 문화적 전유를 들먹이는 것 같아요

  • 7.17 22:52
    @도리개

    동의합니다. 어차피 장르와 문화는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끝없이 바뀝니다.

    물론 불공평한 사회구조는 쉽게 바뀌지 않지만요.

    하지만 사회구조의 문제를 특정 장르나 특정 문화의 잘못으로 돌리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 7.17 22:48

    프리재즈 언급할까봐 긴장감을 느끼며 스크롤 내림

     

    잘 읽었어요

  • 7.17 22:52
    @릭로스G컵

    프리재즈가 재즈를 도태되게 만든 핵심원인입니다

    프리재즈 죽어라

  • 7.17 23:17
    @이오더매드문

    ㅋㅋㅋㅋ장르 역사상

    'ㅇㅇ때문에 망했다' 소리 나오면

    사실상 끝물인 경우가 대다수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회원 징계 (2024.11.29) & 이용규칙25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10시간 전
[공지] '회원 추천 아이콘' 제작 관련 공지97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4.11.11
[아이콘] Tyler, The Creator 아이콘 출시30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4.11.10
화제의 글 리뷰 Bill Evans - You Must Believe in Spring 리뷰15 title: Thomas BangalterDannyB 6시간 전
화제의 글 인증/후기 CD) 언니네 이발관 - 가장 보통의 존재 (2008, 홍보용)7 추단 9시간 전
화제의 글 음악 금요일듣앨5 divers 4시간 전
3747 리뷰 [앨범 리뷰] 츄 미니 2집 <Strawberry Rush> (23.06.25.) 그루트 2024.07.17
3746 음악 이게.....뭐죠.......?19 title: Kendrick Lamar (4)Alonso2000 2024.07.17
3745 일반 블랙핑크의 힘이 새삼 ㄷㄷ...17 title: Steve AokiJesus 2024.07.17
3744 음악 오듣앨5 divers 2024.07.17
3743 일반 테일러스위프트도 좋네요8 dlalsgus 2024.07.17
3742 음악 XG 음악들 오늘 처음 들어봤는데 title: Yeezus우리집냉장고는현대자동차 2024.07.17
3741 음악 바다보다 더 시원한 치즈의 커버 라이브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Small girl, ... title: MF DOOM (2)그린그린그림 2024.07.17
음악 문화적 전유 Cultural Appropriation27 이오더매드문 2024.07.17
3739 음악 가수가 직접 들려주는 신곡! 저희 노래 어때요?!ㅣKISS OF LIFE 키스오브라이프 '... title: MF DOOM (2)그린그린그림 2024.07.17
3738 일반 쌉투메 탑스터26 title: MF DOOM (2)kued 2024.07.17
3737 일반 [힙X] 파리 2024 올림픽 미국 남자 농구 국가 대표팀 명단15 title: IllmaticBlack Star 2024.07.16
3736 음악 하이퍼팝 앨범 뭐잇을까요??11 title: Destroy Lonely카티야앨범내 2024.07.16
3735 음악 arca는 여전히 잘모르겠네2 title: ASTROWORLD조이는예뻐 2024.07.16
3734 일반 어제가 한국노래 최고 아웃풋 발매 12주년이었네요7 title: Thomas Bangalter (2)오징스 2024.07.16
3733 일반 선우정아 미쳤네요4 끄적끄적 2024.07.16
3732 음악 Little wing 같은거 추천해주세요 (지미 헨드릭스)6 title: Kendrick Lamar (4)BKNNETS 202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