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알토가 쇼미4에서 본선 경연 진출자로 앤덥과 송민호 둘을 놓고 인터뷰하다
"제스쳐나, 무대 퍼포먼스나, 곡이나 민호가 더 야마가 있었어요"라는 말을 했었는데
여기서 "야마"라는 건 속어로 feel, 느낌 뭐 그런 뜻인것같은데
"느낌이 더 충만했다" "feel이 살았다, 간지가 있더라" 이런 뜻으로 저런 발언을 한것같은데요
그 이야기 듣고 기술, 테크닉도 중요한 요소지만 그보다 "느낌이 충만해서 좋은" 뮤지션들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더라구요.
제가 꼽는 한국에서 야마있는 뮤지션은 개리와 던밀스 둘 정도가 있겠네요
개리의 엇박랩도 타이트하지만 차세대 랩퍼로 흥하는 친구들에 비하면 비교가 될수밖에 없는데..
리쌍 앨범도 다 좋아하지만 요즘 나온 개리 1집만 예를 들어도 쩔었거든요 정말.
전 그 이유를, 연륜 혹은 실력을 떠나 개리는 항상 개리 특유 날것같은 street life 가사와 특유의 목소리톤이 어우러지면서 feel이 살거든요.
던밀스 같은 경우도, 왜 좋은지 모르겠다는 엘이회원들이 좀 있지만 사실 실력이 탄탄하거든요. 근데 탄탄한 실력을 떠나서 왜 그렇게 많은 피처링에 불려나가는가... 생각해보면
지문처럼 고유한, 던밀스의 느낌, 매력이 더 크게 작용해서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이 둘이 함께한 개리 1집의 MUSHI MUSHI를 들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oJHUUwCz2ws)
또 한명 더 꼽자면 타이거 정권이형.
무브먼트 인터뷰 보다 "jk형은 싸비(훅)의 신이에요"라고 누가 이야기했는데
약간 레게느낌이 나는 창법으로, 대충 몇마디 비트위에 "얹어주면" 정말 수월하게, 하지만 중독성있는 훅이 탄생하기로 유명하죠 드렁큰 타이거 노래들은..
랩게임의 스킬과 테크닉은 한해 한해 다르게 진화하지만,
역시 예술은 이론과 기술로 설명되는 게 아니라서 +방법론이 정립이 된 현상태에서 기본기는 어느정도 하는 플레이어들은 다 가지고 있으므로
테크니션으론 인정해도 안 끌리는 친구들은 좀처럼 안끌리는데 타고난 매력은 그 이상의 파괴력으로 청자를 공략하는 듯 합니다.
절정에 다다르는 부분을 이야기하죠
근데 이것도 잘못된 말도 안되는 일본어 ㅋㅋ
제가 너무 꼰대스러운지는 모르겠지만 별로네요
근데 뭐 힙합퍼가 슬랭 쓰는 거 갖고 딴지거는 것도 외힙은 슬랭이 천지인데 국힙이라 까면 이중잣대 같아서.
야마가 일본어로 산인데
한국에서 아상하게 절정 머리 꼭대기 이런식으로
쓰더라구요 ㅋㅋ
김이나 작사가님이 쓰신책에서 봤는데 '노래에 야마가 있다'라는 표현이나 '야마있는 작사가' 이런 표현을 쓴다고 하더라고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