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작가 데이비드 포스터 월러스는 그의 대학졸업축사를 이런 일화로 시작했다.
어느 날 늙은 물고기가 젊은 물고기들에게 물었다. '얘들아 물은 괜찮니?' '네' 그러고 젊은 물고기들은 길을 갔다. 그러고 물었다. '대체 물이 뭐지?'
이 일화가 말하는 바는 명확하다. 우리는 삶에 잠식되어 오히려 살아가지 못하고 있다.
예술은 허구이다. 허구를 통해 진실로 나아가는 통로이다. 우리를 물 밖으로 내보내어 생각을 하게 한다. 하지만 모든 예술들이 그러는 것은 아니다. 매우 특별한 예술만이 이를 해낸다.
슬퍼보인다고요 어머니? 아니요 슬픕니다.(seems, madam? nay, it is)
셰익스피어의 햄릿의 이 대사는 보이는 것과 진실 사이의 간극을 표현한다. 아닌 게 아니라 햄릿이,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기표와 기의가 어긋난 시공간이다. 칸트는 우리는 물자체를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주체와 객체 사이의 간극을 인식하기 시작한 기점이다. 그리고 마르크스는 이데올로기를,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니체는 언어의 한계를, 푸코는 권력을 호명하며 우리가 물자체로 불리는 진실을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이 맞다.
삶에는 기표와 기의의 차이가 존재한다. (기표란 사과, apple 같은 단어이고 기의는 사과 그 자체이다. 말하자면 기호와 기호가 말하고자 하는 바 정도로 될 것이다. 쉽게 말할 수 있는데 굳이 기의니 기표니 하는 난해한 단어들을 섞는 것은 그냥 쉬운 걸 어렵게 말하면 있어보이기 때문이다. 나도 소쉬르나 기표,기의 잘 모른다.) 연인의 기호를 읽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그는 타인이기 때문이다. 타인은 고대 문명의 유적이다. 고대 문명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볼 수 있다. 하지만 고대문명은 없다. 존재한다는 상태만 인식가능하지 본질을 깨달을 수는 없다. 하지만 예술은 그 본질을 자각하게 하려는 시도다.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까? 많은 철학자들이 지적했듯 우리의 주관과 인식은 한계가 있고 우리는 그것을 벗어날 수 없다. 우리의 주관과 기표의 인식은 왜곡되어 있다.
하지만 기표 없이 우리는 기의를 전달할 수 없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이 부재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예술은 미묘하게 다르다. 수단이 목적과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수단은 곧 형식이다. 언어를 단지 서사를 나르기 위한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작가의 언어는 못 미덥다.
시선의 윤리와 방법에 고민하지 않는 감독 역시 그렇다.
왜냐하면 그들은 기표와 형식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표와 기의의 일치, 주제와 형식의 결합. 그것이 예술이 나아갈 수 있는 경지다.
예로 시민 케인을 보자.
노년의 케인이 분노를 표출한 뒤 거울들을 지나치는 장면이다. 노년의 케인이 분노를 표출한 뒤 거울들을 지나치는 장면이 있다.
시민 케인은 딥포커스 양식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딥 포커스 양식은 화면의 전경,중경,후경을 비롯한 화면의 모든 이미지에 초점이 맞는 촬영방식이다. 지금 저 장면서 영화는 거울 속에 맺힌 수많은 케인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이 영화는 여러 사람들의 시점을 통해 케인의 삶을 구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화면을 가득 채운 케인의 상들은 그들 모두가 각자 생각한 케인이다.
저 수많은 케인들 중 진짜 케인을 구별할 수 없다는 것.
저 모두가 케인이라는 것을 담아낸 연출이다. 그러니까 영화도 우리도 케인이라는 사람을 모른다. 시민 케인을 나는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 다룬 영화라고 해석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인간이란 얼마나 깊고 복잡하며 모호한가를 표현한 영화다. 저 수많은 케인들에게 선명한 초점을 맞춘 이유는 그 모든 자아들 모두가 찰스 케인이며 동시에 그 어떤 모습도 케인이 아닌, 명확히 답을 제시할 수 없는 모호한 상태가 인간의 실존적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주제와 형식의 명확한 일치이다. 오슨 웰즈와 톨랜드는 시선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정확하게 한 인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생각과 시선의 미약한 가능성을 알았기에 저런 장면이 가능했다. 그들은 무지를 알고 진실을 알기 위한 수단의 한계를 인지했다.
예술은 이것이다. 형식에 대한 고민을 가지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형식과 주제를 뛰어넘을 수 있다. 라캉은 말했다. 속지 않는 자가 방황한다. 이 말은 속는 자가 방황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알면서도 속아주는 사람이 방황하지 않는다. 우리는 예술이 허구임을 알면서 속아주고 받아들인다. 그렇게 우리는 살아가고 삶을 인식한다.
저도 예전에 예술의 필요에 대해서 예술은 타인과 타인의 벽을 넘고서 초현실적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좀 더 논리적인 설명 같아서 마음에 드네요
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도 예술이 있을까요 갑자기 궁금해짐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