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음악

문득 힙합이 차트에 오르는 가요 전반에 영향을 준다는 느낌?

에릭라멜라2016.10.25 03:06조회 수 957댓글 14

예전에 넉살이 했던 이야기 중에,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가 라이밍에 있어서 차이를 불러오고 그로 인한 발성과 발음상의 기술적 어려움을 이야기했던 적이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


실제로 저런것들이 드러나는지, 힙합이 많은 인기를 끄는 요즘, 주위 사람들이 종종 요즘 힙합은 무슨 소리하는 지 단번에 알아듣기 힘들다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라이밍과 플로우 등등 이른바 랩기술 자체는 사실 요즘에 가장 물이 오른것 같기는 합니다. 요즘은 웬만하면 휼륭한 랩스킬을 보여주니, 이건 거의 기본이 되어버린 느낌?  그러다보니 요즘은 랩퍼가 가진 느낌, 소위 바이브라 불리우는?, 또는 가사 내용이, 랩 기술 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상황같고요. 


확실히 가사 전달이 전달이 잘 되는 편은 아닌거 같더라고요. 화려한 기술로 귀르가즘을 주지만 가사 내용들은 산으로 가기 일쑤고, 마치 청각적 쾌감을 위해서 가사내용을 포기한 느낌?


어쨌든 이번에 트와이스 신곡을 들었는데, 이와 비슷한 상황들이 보이더라고요.


아이돌음악을 많이 듣지는 않아서, 이것이 단순히 트와이스만의 특징인지, 혹은 jyp 기획사의 특징인지, 혹은 아이돌 음악의 특징인지, 더 나아가서는 대중가요 전반의 특징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트와이스 신곡에서는 끊임없이 한국힙합에서 랩을 할 때 쓰이는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어지는거 같더라고요. 통통 튀는 박자감을 내기 위해서 끊임 없이 라이밍 비슷하게 가사들이 쓰여져 있는 등. 하지만 동시에 트와이스 노래는 알아듣기가 힘들다는 얘기도 들려오더라고요.


기승전힙이라고, 결과적으로, 


문득 청각적 쾌감 뿐만아니라 가사의 내용 그리고 전달력을 동시에 성취하는 일이 요즘 랩퍼들에게는 꽤나 힘든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신고
댓글 14
  • 10.25 03:07
    트와이스는 외국인멤버들이 발음이 잘 안되서 아예 다같이 발음을 흘려버린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은데요ㅋㅋㅋ 사실인지는 잘 모릅니다
  • 10.25 03:32
    유행따라감
  • 10.25 03:33
    유행따라가는건 물론 나쁜건 아니라고 생각함..
    ' 힙합대중화 힙합이 준비물이자 숙제 '
    테이크원이 뱉은가산데 요즘은 힙합이 기본 준비물이 되어버렸음. 하지만 영원한 숙제이지.. 암그렇고말고..
  • 10.25 05:22
    @idontfukwityall
    힙합 대중화라는 말이 대중이 힙합음악과 문화에 친숙해지는 뜻이라면 어느 정도 성과가 보인다고 볼 수도 있지만, 힙합 대중화라는게 가요 최정상 팝스타 중에 랩퍼가 있다는 뜻이면 좀 더 기다려야 할 거 같네요 ㅎㅎ
  • 저만 그런지 몰라도 명곡이라 하면 가사를 안따질수 없더군요. 결국엔 가사의 힘도 아주 큰것 같아요. 저는 가사가 좋으면 수백 수천번들어도 항상 너무 좋더군요. 하나의 시를 감상하는 느낌으로다가..
  • 10.25 04:28
    힙합이 방송에서 이렇게 떠들석한것도 내년까지일겁니다 이제 거품슬슬걷히는중
  • 10.25 05:20
    @ASAP BRIGHT
    뭐 힙합 그 자체가 유행이 되는 건 금방 끝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그렀겠죠? 다만 제가 신기했던건, 과거 snp를 필두로 사용되어오 한국어 라임 방법론 그 자체가 힙합이란 장르 안을 넘어서 대중가요에까지, 특히 아이돌 음악의 가사에도 영향을 끼치는게 현재 보이더라고요.
  • 10.25 08:28
    @에릭라멜라
    신기하다고 볼수도 없는게 팝에선 노래에서도 라이밍 이용해서 박자감 만드는게 존나 옛날부터 있었음
    우리나라 음악시장은 철저히 서양 음악시장 따라가게 되는게 당연시 되어왔고
  • 10.25 08:28
    그니까 어떻게보면 당연한거다 이 말
  • 10.25 11:31
    @서쪽의 칸예
    뭐랄까 단순히 우리 대중음악이 서양 대중음악의 모습을 따라간다는게 신기한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저렇게 박자감을 낼까하는 고민과 그를 위해 선택된 방법론이 우리나라 주류 대중가요에서 시작한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마이너 장르인 힙합에서 태동했고 그것이 현재에 우리나라 주류 대중가요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이, 우리나라 힙합의 오랜 팬으로써, 감회가 새롭다라는 이야기에 가깝겠네요.

    그리고 당연하다고 보기에는 이런 방식의 라이밍이 자리를 잡기에 시간이 꽤나 걸렸죠. 저 방식을 위해 투쟁하던 랩퍼들도 욕 좀 많이 먹었었고.
  • 10.25 11:40
    @에릭라멜라
    그니까 그게 아니란 얘긴데..이해를 잘못하신듯..
  • 10.25 13:42
    @에릭라멜라
    한국 언더에서 태동했다니..
    천조국 이전에도 태초에는 한국 힙합 언더씬이 존재했을지니..
    단군 할아버님이 롸이밍을 창조하섰구..
    얄리 얄리 얄라셩
    살어리 살어리 살어리랏다
  • 10.25 09:14
    기승전힙이 아니고
    기승전천조국
  • 10.25 13:56
    @miNs
    이게 맞음 ㅋㅋㅋ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11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음악 저스디스의 프로필 (블루, 오렌지)에 대한 생각5 title: Travis ScottRoken 2025.10.26
화제의 글 일반 볼레로 식케이 착장 쌈닭 17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스키니도 참 저평가14 김대웅약혼녀 2025.10.26
44295 음악 녹색이념을 아직도 기다리는 사람이 많은 이유6 Yehwmkhk 2016.10.25
44294 일반 레디지투 황치와넉치 보신분??5 kidkad 2016.10.25
음악 문득 힙합이 차트에 오르는 가요 전반에 영향을 준다는 느낌?14 에릭라멜라 2016.10.25
44292 음악 이분들 신인인가요? 주목할만한 작업물인 것 같아서 끌어올려봄9 올댓힙합 2016.10.25
44291 음악 비도승우 솔직히 기대조금 했는데2 희망고문 2016.10.25
44290 일반 뻘글) 50년 뒤의 래퍼들18 토마토맛토 2016.10.25
44289 음악 체스카 (Feat. 테이크원) - Swish (테이크원 벌스 Cut)11 태풍 2016.10.25
44288 음악 가사에서 swag을 자기만의 방식대로 멋드러지게 표현하는 래퍼10 리즈 2016.10.25
44287 음악 이그니토 - extermination 인스 샘플링곡인가요? 토마토맛토 2016.10.25
44286 음악 나플라 bad bish 대1마왕 2016.10.25
44285 음악 아니 팔로알토 새 앨범도 EP네요 쩝8 title: Frank Ocean - channel ORANGE공중도덕 2016.10.25
44284 일반 그랜드민트페스티벌 (gmf2016) 후기 + 어반자카파의 빈지노 랩?5 title: The Notorious B.I.G.LCMPark 2016.10.25
44283 일반 서울 힙합영화제라고 아시나여2 title: [로고] TDEBORU 2016.10.25
44282 음악 테이크원...1 gooddieyoung 2016.10.25
44281 음악 테이크원한테 무슨 기대를 바라는지 모르겠네요6 title: Guy-Manuel de Homem-ChristoLoveSick 2016.10.25
44280 음악 역씌 테이크원이다8 텤원 201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