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넉살이 했던 이야기 중에,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가 라이밍에 있어서 차이를 불러오고 그로 인한 발성과 발음상의 기술적 어려움을 이야기했던 적이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
실제로 저런것들이 드러나는지, 힙합이 많은 인기를 끄는 요즘, 주위 사람들이 종종 요즘 힙합은 무슨 소리하는 지 단번에 알아듣기 힘들다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라이밍과 플로우 등등 이른바 랩기술 자체는 사실 요즘에 가장 물이 오른것 같기는 합니다. 요즘은 웬만하면 휼륭한 랩스킬을 보여주니, 이건 거의 기본이 되어버린 느낌? 그러다보니 요즘은 랩퍼가 가진 느낌, 소위 바이브라 불리우는?, 또는 가사 내용이, 랩 기술 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상황같고요.
확실히 가사 전달이 전달이 잘 되는 편은 아닌거 같더라고요. 화려한 기술로 귀르가즘을 주지만 가사 내용들은 산으로 가기 일쑤고, 마치 청각적 쾌감을 위해서 가사내용을 포기한 느낌?
어쨌든 이번에 트와이스 신곡을 들었는데, 이와 비슷한 상황들이 보이더라고요.
아이돌음악을 많이 듣지는 않아서, 이것이 단순히 트와이스만의 특징인지, 혹은 jyp 기획사의 특징인지, 혹은 아이돌 음악의 특징인지, 더 나아가서는 대중가요 전반의 특징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트와이스 신곡에서는 끊임없이 한국힙합에서 랩을 할 때 쓰이는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어지는거 같더라고요. 통통 튀는 박자감을 내기 위해서 끊임 없이 라이밍 비슷하게 가사들이 쓰여져 있는 등. 하지만 동시에 트와이스 노래는 알아듣기가 힘들다는 얘기도 들려오더라고요.
기승전힙이라고, 결과적으로,
문득 청각적 쾌감 뿐만아니라 가사의 내용 그리고 전달력을 동시에 성취하는 일이 요즘 랩퍼들에게는 꽤나 힘든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힙합대중화 힙합이 준비물이자 숙제 '
테이크원이 뱉은가산데 요즘은 힙합이 기본 준비물이 되어버렸음. 하지만 영원한 숙제이지.. 암그렇고말고..
우리나라 음악시장은 철저히 서양 음악시장 따라가게 되는게 당연시 되어왔고
어떻게 하면 저렇게 박자감을 낼까하는 고민과 그를 위해 선택된 방법론이 우리나라 주류 대중가요에서 시작한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마이너 장르인 힙합에서 태동했고 그것이 현재에 우리나라 주류 대중가요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이, 우리나라 힙합의 오랜 팬으로써, 감회가 새롭다라는 이야기에 가깝겠네요.
그리고 당연하다고 보기에는 이런 방식의 라이밍이 자리를 잡기에 시간이 꽤나 걸렸죠. 저 방식을 위해 투쟁하던 랩퍼들도 욕 좀 많이 먹었었고.
천조국 이전에도 태초에는 한국 힙합 언더씬이 존재했을지니..
단군 할아버님이 롸이밍을 창조하섰구..
얄리 얄리 얄라셩
살어리 살어리 살어리랏다
기승전천조국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