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본토의 스타일을 모방하고 받아들이는데 익숙해져서
시도조차 안하는것인걸까요?
불과 몇년전에도 국내 비트씬에서는
영기획의 graye(군산의 graye, aomg gray아님)와 그의 동료뮤지션들이 sagyora 라는 장르의 개척과 번영에 힘썼던 것 같은데, 왜 국힙씬은 이러한 움직임에 소극적일까요?
물론 무드슐라 처럼 재미위주의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은 있지만 특정 장르 혹은 스타일이라 일컬어지는 음악을 만들어내고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로도 확산시켜보려는 시도는 왜 없을까요?
시도조차 안하는것인걸까요?
불과 몇년전에도 국내 비트씬에서는
영기획의 graye(군산의 graye, aomg gray아님)와 그의 동료뮤지션들이 sagyora 라는 장르의 개척과 번영에 힘썼던 것 같은데, 왜 국힙씬은 이러한 움직임에 소극적일까요?
물론 무드슐라 처럼 재미위주의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은 있지만 특정 장르 혹은 스타일이라 일컬어지는 음악을 만들어내고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로도 확산시켜보려는 시도는 왜 없을까요?




포커스가 어쩔수없이 메인스트림쪽으로 가서 안보이는 것뿐이지
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도하고 있지 않을까요 ?
충분한 관심을 갖고 시도조차 없다고 단정 지으시는것인지 궁금하네요
와비사비룸이나 펜토도 나름의 시도를 하고 있는 것 같고..
소극적이다라.. 물론 그런 시도하려는
음악의 비중이 대중적인 힙합에 비해 매우 적은건 맞지만
그 비율은 어느나라나 다 비슷하지 않을까요
메인스트림음악 다수 반대 소수.
다만 다른나라 애들은 음악 인구가 많아서 그런애들이
더 많아 보이고 다양해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음악인들 인구대비 고려해도 실제로 우리나라가
시도 음악하는 사람이 현저히 적다면 제가 할말이 없어지겟네요
먹고는 살만한 경우가 꽤있음
근데 우리나라는 불가능함 . 거대레이블 들어가서 메인스트림카피
하지않는이상 들어갈수도없고 돈도못벌음
뭐 우리가 장학금줄거아닌이상 왜안하죠 ? 하는것고 웃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