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디스가 자주 인용하는 니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아서 적음.
자아비대나 롤아웃 발언 등을 미루어 봤을 때 저스디스가 연상된 구절들임.
<이 사람을 보라> 아직은 나의 때가 아니다, 어떤 사람은 사후에 태어난다
<이 사람을 보라> 나는 왜 이렇게 훌륭한 책을 쓰는가
<안티 크리스트> 이 책은 극소수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그리고 그의 핵심 저서인 '짜라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메타포로 가득한데다 어느 것 하나 직관적이지 않아서 니체 본인 조차 동시대 사람들에게 공감받는 철학이 될 거라 여기지 않았음.
다른 저서인 도덕의 저편이나 선악의 계보 등을 참고해야 비로소 이해가 간다고 할 정도로 불친절하고 해석이 필요한 책임.
이게 저스디스가 표방하는 릿과 아주 닮아있다고 생각 함. (롤아웃이나 배경지식 없이 이해가 안 됨)
그럼 릿도 이렇게까지 들어야할까?
단언코 대부분의 리스너에게 릿은 해석까지 갈 필요 없는 앨범이라고 생각 함.
내가 생각하기에 해석까지 가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임.
1. 음악이 뒤져서 해석은 곁가지로 따라가는 경우.
- '니체의 짜라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 는 문학으로써도 고평가 받았음.
그에 반해 장르팬인 힙합엘이에서조차 개인팬 제외하면 랩과 비트 등 사운드가 훌륭하다는 얘기는 극히 적음
팬조차 메세지와 메타포 등에 힘을 실으려면 어쩔 수 없었다고 하며 해석을 강요하는 수준
2. 허승이라는 사람의 통찰력과 철학이 뛰어난 경우.
- 실제로는 아닐 수도 있지만 가사나 대외적으로 보여지는 모습에서 이렇게 생각되지도 않고 이 사람 철학 공부하느니 책을 더 읽겠음.
그리고 가사 자체도 통상의 철학이나 사상보다는 개인적인 이야기에 치중되었기에 더더욱 불필요하다 느껴짐.
3. 저스디스 개인팬인 경우
- 해석까지 가는 거 인정
즉, 어떻게 봐도 개인팬 아니면 해석까지 이어지는 리스너는 극히 적을 수밖에 없음.
그냥 시간낭비니까.
저 정도의 가사를 보고 예술이니 해석이니 리스너 탓하는 사람들 평생 읽은 책 몇 권이나 될지 궁금해질 정도임.
(순전히 개인 팬심으로 릿 디깅하는 사람들 제외)
릿 기대작이었고 실망했음.
저스디스 사람이 싫지는 않지만 자아 비대한 태도는 싫음. (못 느끼면 네 문제)
예술가는 전혀 아니라고 생각 함.




젓딧이 니체 좋아하는거 손심바랑 비교해서 왤캐 웃기지
왜 또 화살이 나한테 오는데
최근 첫 트랙의 가사를 분석하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저스디스를 숭배하기도 하였고, 큰 실망을 하기도 한 사람으로 그냥 이 사람이 무슨 말이 하고 싶었을까 궁금하더라구요 ㅋㅋㅋ
저는 니체철학이 연상되는 요소가 거의 하나도 없었는데, 니체의 궤적만을 모티브로 삼으셨다는건지 아니면 그 외에 니체철학을 벤치마킹한 부분도 있다고 보시는건지 궁금하네요.
오 이거 완전 정곡인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