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미 종영으로 힙합 장르의 머니 파이프라인이 절반 이상 끊겼다는 건 결국 한국에 힙합이 문화로는 한 번도 자리잡은 적이 없다는 방증이었다고 봅니다. 힙합이라는 음악 장르로의 유입 차원에서라도 쇼미라는 예능은 필요하다고 보고요. 잡탕찌개지만 음악적인 면이 내용의 절반을 차지하는 건 사실이니까 장르에 호기심을 갖는 사람이 생기긴 하겠죠.
저는 한국힙합의 꽤 오랜 팬이지만 문화 속에 있다고 느낀 적은 없던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플레이어들이나 마니아들이 문화가 죽었다, 문화를 살리자라는 말은 와닿은 적이 없던 것 같고요. 사운드와 트렌드가 늘 변화하는 장르지만 힙합에서의 랩이 갖고 있는 매력은 분명히 있기 때문에 힙합음악이라는 장르가 쇼미 같은 방송을 통해서라도 더 많이 사랑받았으면 좋겠네요. 그럼 또 새롭게 이 음악을 소비하고 만들어보려는 사람들도 생길 테니까요.
사실 랩퍼블릭 라인업만 봐도...이번에 네임드 꽤 많이 나올거라고 예상이 되긴 합니다
식케이 프로듀서로 나오면 좋겠음
지구인 보이비 그만 좀 보고 싶음...
쇼미 종영으로 힙합 장르의 머니 파이프라인이 절반 이상 끊겼다는 건 결국 한국에 힙합이 문화로는 한 번도 자리잡은 적이 없다는 방증이었다고 봅니다. 힙합이라는 음악 장르로의 유입 차원에서라도 쇼미라는 예능은 필요하다고 보고요. 잡탕찌개지만 음악적인 면이 내용의 절반을 차지하는 건 사실이니까 장르에 호기심을 갖는 사람이 생기긴 하겠죠.
저는 한국힙합의 꽤 오랜 팬이지만 문화 속에 있다고 느낀 적은 없던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플레이어들이나 마니아들이 문화가 죽었다, 문화를 살리자라는 말은 와닿은 적이 없던 것 같고요. 사운드와 트렌드가 늘 변화하는 장르지만 힙합에서의 랩이 갖고 있는 매력은 분명히 있기 때문에 힙합음악이라는 장르가 쇼미 같은 방송을 통해서라도 더 많이 사랑받았으면 좋겠네요. 그럼 또 새롭게 이 음악을 소비하고 만들어보려는 사람들도 생길 테니까요.
문화인 적이 없으니 예능적 요소도 필수라고 봅니다. 식케이랑 스윙스 투샷으로 도파민 터지길ㅋㅋㅋ
"힙합이 유행한게 아니라 쇼미가 유행한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