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잘못해서 벌을 받는다는 거 자체가 아니라고봄
왜 잘못하연 벌을 받아야 하는데?
잘못하면 벌을 받는 이유는 앞으로 그런 일을 저지르면 안된다는걸 학습시키기 위해 그런 거라고 생각함
계획범죄가 우발적 범죄보다 형량이 쎈 이유도 이거라고봄
둘다 똑같은 잘못을 했는데
계회범죄가 더 나쁜 마음을 가지고 한거라 교화를 더 받아야 하니까
분노에 의해 사람을 패는가
성욕에 의해 사람을 먹는가
분노는 보편적으로 쉽게 드는 감정이고
성욕은 정상적인 사람이 쉽게 들진 않으니까
그래서 성범죄가 더 악한 범죄임
교화시키기 어려우니까
근데 성욕도 쉽게 드는 감정임
솔찍히 예쁜여자보고 먹고싶다는 생각
한번쯤은 해봤잖아 솔찍히
그래서 별로 악한 범죄는 아니라고생각함
성범죄도 다른 범죄랑 비슷하다고 생각함
물론 이거 전부 내 뇌피셜임 반박환영
첫 두줄에서 뒷걸음을 쳤습니다
진짜 씨발 별 병신이 다 나오네
일단 님은 엘이인들이 주는 벌을 받아야 할듯
ㅇㅈㅋㅋㅋㅋ
잘못하면 벌을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지만 결국은 책임
자유민주주의에서의 자유는 책임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부분.
사회적으로서의 죄란 사회적 합의를 통해 타인에게 명백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부분들을 정의하고
그것들을 제도화 한 것이 법.
그 법을 어겼을 시엔 그 행위에 대한 스스로의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것이 처벌.
즉 잘못했으면 책임져라라는 거.
성범죄가 더욱 강한 처벌을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위에 설명 잘해두신 분이 있어서 패스.
충분히 이해가능하게 설명한 댓글이 많음에도 이러는건 나는 이해가 안가버리네.
무슨말인지 저도 알거같네요 제가 내린 답은 우리 모두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어쩔수 없는 약속입니다 만약 그 약속들을 지키지 않게 되면 무법지대가 되겠지요 그러면 이렇게 의견 내는 것조차 어렵고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순간의 연속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 약속의 기준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이루어져야겠지요
엘평 ㅋㅋ
장애는 부끄러운것이 아닙니다. 극복해나가는것입니다. 당신도 해낼수 있습니다.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031-639-3700)
(용인정신병원 : 031-288-0114)
(가족사랑 서울 정신과 의원 : 02-2068-7486)
(송신경정신과의원 : 02-734-5648)
(신경정신과의원 : 02-517-9152)
(동민신경정신과 : 02-353-2325)
소수도아니고 다수가 님이 말한 것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왜 문제가 있다고 하는건지 생각해볼 생각은 없고
이게 왜 문젠데 따지고 있는거 자체가 ㅂㅅ같네
ㅈㄴ 어질어질하네
나도 뱃사 좋아하긴 하는데
" 일단 잘못해서 벌을 받는다는 거 자체가 아니라고봄왜 잘못하연 벌을 받아야 하는데? " <<이거부터 개소린데 ㅋㅋ
왜 개소리인데요
그냥 어릴때부터 잘못하면 벌 받는다는게
당연시되게 학습당해서 그렇게 인식되는거지
그게 당연한게 아님
그걸 부정하시려면 사회적 합의와 약속을 전면 부정하셔야 하는데 그럼 님은 이 사회에 계시면 안됨. 사회적으로 격리되는 교도소 같은 곳에 들어가던가 아니면 아예 사회와 분리된 야생 속에서 사셔야 함. 근데 애초에 2023년의 지구에 그런 곳은 남아 있질 않아요. 어딜가도 한국과는 다를 수 있는 기준의 다른 사회적 합의와 약속, 법이 존재하는 겁니다. 그걸 님이 어기는 순간 그 지역의 약속과 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거구요. 자연상태의 짐승이던 인간은 이미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걸 생각하시고 말씀하셔야죠..;;
사상이 존나 위험하네요
아니 올드보이임? 어디 갇혀있다옴??
ㅋㅋㅋㅋ 님 혹시 애니 보고 윤리 배우심? ㅋㅋㅋㅋㅋㅋㅋ
아..진짜 시발 이런말해서 미안한데 너희 가족 누가 성범죄당해도 법이란게 필요없고 이런생각 가질거임? 미안하다 너가 너무 병신같애서
그니까 폭력과 성폭력 중에 성폭력에 대한 처벌이 더 강한것이 의문이고, 그것이 옳지 않다는 말인가요..?
1. 앞선 분들이 다 잘 작성해주셨듯이 국가가 형벌권을 독점하여 처벌을 가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교화 2) 범죄 예방 및 억제 3) 응보가 바로 그것입니다.
즉 교화를 통해 교정적 정의를 실현하고, 응보를 통해 예방적 정의를 실현하여 근본적으로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는 범죄를 방지함으로써 개인이 갖는 평온과 국가 공공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입니다.
2. 국가가 그렇다면 왜? 잘못에 대해 벌을 하나?라고 하면 그것은 사회계약론에 입각하여 국가가 형벌권을 합법적으로 독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현대국가는 개인 모두가 주권자이되 사회라는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개인이 모두 국가에게 조금씩 양보하였고, 그 결과 국가가 그러한 형벌권을 독점하게 된 것입니다.
3. 아마 그럼 글쓴이께서는 저는 그러한 것에 대해 동의를 한적이 없는데요? 라고 하시겠지만, 민주주의 국가는 그러한 개개인이 일부 권리를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개인이 국가의 공권력 작용을 견제할 수 있도록 투표권을 부여하고, 행정쟁송 및 헌법소원심판제도를 도입하여 대 국가적 방어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투표권과 방어권으로 법의 지배하에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개인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겠죠.
4. 가장 많은 분들이 지적하신 잘못했다고 해서 내가 왜 벌을 받아야하는가?는 법보다는 도덕 혹은 윤리에 대한 물음으로 보입니다. 즉 내가 도덕을 어겼다고 해서 처벌받아야하는가?는 결국 내가 꼭 도덕을 지켜야하나?라는 물음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구요. 공리주의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그것은 타인에게 해를 끼치기 때문에 우리는 소극적으로 도덕을 지켜 타인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될 것이구요, 공동체주의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도덕을 지키지 않으면 공동체는 붕괴하고, 이는 곧 자연상태에서 개인의 멸망을 뜻할 것입니다. 실제로 이는 도덕준수를 택하지 아니한 조상들은 도덕 준수를 택한 조상들에 의해 경쟁력을 상실하여, 자연선택으로 멸종되었고 이 사실이 더욱 공동체주의적 논변을 강화합니다.
5. 그러나 칸트는 아마도 그것을 ‘인간’이니까라고 답할 것입니다. 인간은 동물이긴 하지만 인간이 아닌 동물과는 분명 구별되는 존재입니다. 바로 이성때문이죠. 동물과 똑같이 욕구를 갖고 자연법칙에 따라 행동하려고 성향을 갖지만, 우리의 이성, 특히 실천 이성, 프로이트가 말하는 초자아는 그러한 욕구가 잘못된 방향으로 실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성적이고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의무를 함축하는 것이구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면 우리는 동물과 다름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이라면 그것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기에, 동물과 구별되는 것입니다. 만일 나는 욕구에 따라서 행동할 건데?라고 하신다면, 그건 나는 인간으로서의 대접을 포기하겠다는 뜻을 함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성적 능력을 쓰지 않겠다는 것이니까요.
술마시고 운전 천천히 하면 된다고 우기던 그새낀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