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음악

한국과 힙합의 타협점은 어딜까요?

illIillIi2022.05.19 15:52조회 수 993댓글 20

한국에서 요즘 래퍼들은 연예인으로서 소비되고 있죠.


그리고 그 연예인들에게 일반인보다 더 높은 도덕적 잣대를 들이미는게

한국 네티즌들이죠.


근데 저에게 힙합의 이미지는 좀 반사회적, 사회비판적이며

게토 문화와 교도소 문화, 가난에 의한 폭행, 절도, 마약판매 등의 범죄와 같은

이미지가 강한데

(물론 저의 선입견일수도 있습니다. 불편하시다면 죄송합니다.)


한국과 힙합의 타협점이 어딜까요?



신고
댓글 20
  • title: Lil Uzi Vert (Pink Tape)tameimpalaBest베스트
    8 5.19 17:02

    힙합의 주요한 정서는 범죄가 아니라 자기 긍정입니다. 사실 일부 힙합에 담긴 반사회적인 내용은 그것을 부추기고 독려하기 위한 목적이라기보단 자신의 삶과 감정을 드러내고 둘을 화해시키는 과정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갱단에 속해있지 않더라도 삶의 문제는 누구에게나 있고 국힙에도 이를 음악으로 풀어내는 많은 훌륭한 아티스트들이 있죠

  • YowohnBest베스트
    5 5.19 17:32

    힙합을 통해 ‘누가 뭐라고하든 내가 스스로 정의하는 떳떳한 자기긍정’을 표현해왔던 미국 힙합 아티스트들의 삶의 내용이 공교롭게 범죄와 반사회성이었기때문에 자기긍정된 대상이 반사회적 범죄적 행태들이었던것이고 자기긍정의 테크닉이 빈민가와 범죄를 글래머라이징하는쪽으로 발달해왔을뿐이지, 그러한 반사회성이 힙합 그 자체는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걸 힙합 그 자체라고 이해하는건 마치 ‘미국 래퍼들 초창기 믹스테입은 전부 구린 장비로 만들던데.. 구린 장비로 멋진 음악을 만드는게 힙합이구나!’ 하고 구린 장비를 갖추는데 포커스를 맞추는것처럼 느껴진다고 할까요..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느라 자주 밤새는걸 보면서 ‘나도 공부 잘해져야하지’ 하고서 일단 밤새는것부터 따라하거나, 누군가가 공부를 열심히 하고있는지 알아보려고 할 때 ‘너 밤은 자주 새니?’ 하고 물어보는 느낌이랄까요?

     

    저는 그런 의미에서 힙합의 본질을 갱스터의 범죄로 정의하는건 미국 래퍼들이 마약하는걸 보고 동경해서 ‘마약도 해주고 롤렉스도 차줘야 힙합이다’ 라고 착각하면서 래퍼들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펜타닐이 퍼져나가게 만든 사고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한국적 힙합이라 함은, 예를들어 남들이 다 무시하는 인력사무소 노가다꾼이 ‘나는 내 삶이 멋지다고 생각한다’ 라는 자부심을 진심으로 야마있게 표출하면 그게 미국 힙합의 외향을 흉내내려는것보다 더 본질에 접근한 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 2 5.19 16:08

    저도 한국 사회 안에서 힙합 좋아하면서 뭔가 괴리감 느낄 때가 많네요ㅋㅋ,, 재키와이 가사 종종 생각남요 한국인과 힙합 끔찍한 혼종

  • 5.19 16:19
    @mysoulflee

    한국인과 힙합 끔찍한 혼종.. 진짜네요...

  • 5.19 16:15

    파티음악으로서의 힙합으론 잘 맞을거 같아요 한국인들이 워낙 떼창을 즐기면서 하니깐요

  • 5.19 16:19
    @DoTheQ

    그건 맞죠 인정합니다.

  • 8 5.19 17:02

    힙합의 주요한 정서는 범죄가 아니라 자기 긍정입니다. 사실 일부 힙합에 담긴 반사회적인 내용은 그것을 부추기고 독려하기 위한 목적이라기보단 자신의 삶과 감정을 드러내고 둘을 화해시키는 과정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갱단에 속해있지 않더라도 삶의 문제는 누구에게나 있고 국힙에도 이를 음악으로 풀어내는 많은 훌륭한 아티스트들이 있죠

  • 5.19 17:06
    @tameimpala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자기 긍정의 방향으로 간다면 한국과 힙합이 타협할 수 있다는거군요.

  • @tameimpala

    둘을 화해시키는 과정 이라는게 무슨의미인지 알 수 있을까용

  • 5.19 17:41
    @tameimpala

    이게 맞다 진짜

  • 1 5.19 17:11

    외힙도 예전부터 잘 나가는 래퍼들 중에 멀쩡히 대학 잘 나오고 범죄 안저지르는 래퍼도 많아요.

    초기부터 마초적인 이미지가 셀링포인트였던 문화긴한데 범죄, 폭력 그자체가 중심이 되고 그것들을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어떻게 헤쳐왔는지가 중점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5.19 17:15
    @천주교인

    맞습니다. 그것이 뭐든지 단편적인 경우만 존재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수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1 5.19 17:29

    지금의 한국힙합이 있는 건 말씀하신 범죄 같은 면을 내세워서 발전해온 게 아니죠.

    제 생각에는 한국에서 로컬라이징이 되려면 결국은 가사적인 부분에서 건드려야 할 것 같네요.

    결국은 래퍼들 입장에서도 힙합을 한국 사람들 입맛에 맞게 어떻게 잘 각색하느냐가 커리어 끝날 때 까지의 숙제죠.

  • 5.19 17:31
    @루플리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5 5.19 17:32

    힙합을 통해 ‘누가 뭐라고하든 내가 스스로 정의하는 떳떳한 자기긍정’을 표현해왔던 미국 힙합 아티스트들의 삶의 내용이 공교롭게 범죄와 반사회성이었기때문에 자기긍정된 대상이 반사회적 범죄적 행태들이었던것이고 자기긍정의 테크닉이 빈민가와 범죄를 글래머라이징하는쪽으로 발달해왔을뿐이지, 그러한 반사회성이 힙합 그 자체는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걸 힙합 그 자체라고 이해하는건 마치 ‘미국 래퍼들 초창기 믹스테입은 전부 구린 장비로 만들던데.. 구린 장비로 멋진 음악을 만드는게 힙합이구나!’ 하고 구린 장비를 갖추는데 포커스를 맞추는것처럼 느껴진다고 할까요..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느라 자주 밤새는걸 보면서 ‘나도 공부 잘해져야하지’ 하고서 일단 밤새는것부터 따라하거나, 누군가가 공부를 열심히 하고있는지 알아보려고 할 때 ‘너 밤은 자주 새니?’ 하고 물어보는 느낌이랄까요?

     

    저는 그런 의미에서 힙합의 본질을 갱스터의 범죄로 정의하는건 미국 래퍼들이 마약하는걸 보고 동경해서 ‘마약도 해주고 롤렉스도 차줘야 힙합이다’ 라고 착각하면서 래퍼들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펜타닐이 퍼져나가게 만든 사고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한국적 힙합이라 함은, 예를들어 남들이 다 무시하는 인력사무소 노가다꾼이 ‘나는 내 삶이 멋지다고 생각한다’ 라는 자부심을 진심으로 야마있게 표출하면 그게 미국 힙합의 외향을 흉내내려는것보다 더 본질에 접근한 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 5.19 17:35
    @Yowohn

    오 글 되게 재밌게 쓰시네요 감사합니다

    막줄은 명언이네요

  • 5.19 17:58

    https://www.youtube.com/watch?v=dQJ9NcB5r_Q

  • 5.19 18:31

    저는 그 타협점은 이미 답이 나온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아티스트로 예를 들면, 일리네어 시절의 더콰이엇 도끼가 보여줬고 지금은 창모.

    그냥 스타일적으로나 활동 면에서 말고도 본인들 곡 가사에서요

  • 5.20 10:56
    @Parachute

    그렇다면 대중들의 도덕적 잣대에 순응하는것도 타협의 일부라고 보시나요? 래퍼들이 대중들의 눈치를 보는것도 어쩔 수 없는 부분인가요?

  • 5.20 10:58
    @Parachute

    물론 도끼와 창모의 경우엔 대중 눈치 안보는걸로 유명하지만

    더콰이엇의 경우엔 염따 사건만 봐도 뒤에서 사리는 스타일이잖아요

  • 1 5.21 13:24
    @illIillIi

    네 대중들의 도덕적 잣대에 순응하는 것도 물론 타협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시대는 뭐 하나만 삐끗해도 대중들이 다구리를 때려서 사람 죽일 기세잖아요. 실제로 죽인 적도 있고.

    머니메이킹하려면 그걸 소비하려는 사람들과의 소통이 되어야죠.. 한국은 힙합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아니고 힙합음악을 즐기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그들이 이건 잘못됐다 하면 뭐 타협하는 수밖에요

    본토에서도 PC 때문에 힙합의 내부적 흐름이 바뀌어가서, 대중 눈치 보고 스탠스 바꾸는 아티스트들도 여럿 있잖아요.

  • 5.22 12:40
    @Parachute

    그렇군요

    그게 흐름이긴 합니다만 래퍼들이 대중들 눈치보면서 살살 기니까

    멋이 없는것도 맞는것 같아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06.21) & 이용규칙 (수정)3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06.20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1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인증/후기 염따 살아숨셔4 콘서트 후기.jpg+txt53 title: Nas (2)killakim 2025.07.13
화제의 글 인증/후기 창모 오케스트라콘 후기16 Djdejddl 2025.07.13
화제의 글 리뷰 💿한국힙합 매거진 "HAUS OF MATTERS" #264 title: [E] Dr. Dre - The Chronic쟈이즈 13시간 전
음악 한국과 힙합의 타협점은 어딜까요?20 illIillIi 2022.05.19
203124 일반 키드밀리 1집 남은곳4 title: Frank Ocean (2024)슾라또 2022.05.19
203123 음악 래퍼가 랩메이킹을 직접해야 할까요? (애쉬아일랜드, 칸예)50 illIillIi 2022.05.19
203122 음악 국내엔 신스팝 하시는분들 없나요7 title: Nipsey HussleIIILLL 2022.05.19
203121 음악 PBR&B랑 싱잉랩의 경계가 어딜까요?13 illIillIi 2022.05.19
203120 일반 킫밀 다 품절인가요..?1 HYGunner 2022.05.19
203119 음악 인디고뮤직 관계자분들 제발..3 title: 수비고이고이 2022.05.19
203118 일반 이하늘 인스타12 김신선 2022.05.19
203117 일반 궁금한게 있습니다?5 title: Kendrick Lamar - DAMN.beatkillajake007 2022.05.19
203116 일반 키드밀리 1집 케로케로 2022.05.19
203115 일반 내일 수퍼비 & 호미들 기대합니다.1 HuckleberryPity 2022.05.19
203114 일반 헤이즈 헤픈우연6 토드리 2022.05.19
203113 일반 Ai the playlist 리셀가격5 title: Thomas Bangalter (2)Yonug 2022.05.19
203112 음악 yuri cleff - one night/drugs EP 발매4 title: Frank Ocean - Blonde루플리스 2022.05.19
203111 일반 속보) 키드밀리 품절2 Eastcoast 2022.05.19
203110 음악 제이켠 X 마르코 - 합작 앨범 2집 [Bon Voyage] 발매.6 코홀트닌자들다어디감 202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