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본도 모르는 사람이 왕왕 있는것같음
다음절 라임이니 하면서 자음모음만 오지게 맞춰놓고 라임 쩐다 이러는 사람들 보면 답답
그걸 랩으로 뱉을때 거기서 운율감이 형성되어야 라임이고 힙합이 되는거지
“나는 랩퍼” “밥은 됐어” “뢈을 뱉어”
이런 글자놀이 떡칠한거보고 와 라임 쩐다하는건 힙합을 음악이 아니라 서커스로 보는거
화나조차도 자신의 작법은 라임이라기보다 일종의 놀이와 같다고 했음
저런거 한트럭 떡칠해놔도 비트안에서 리듬으로 못살릴거면 그건 라임도 힙합도 아닌 그냥 애들 장난이고
차라리 스카이민혁 제네더질라 돈돈돈돈 염불외는게 힙합이고 라임에 가깝다고 봄
여기서 고차원적인 라임은 색다른 배치와 구성으로 쾌감을 자아내거나
차라리 멈블로 웅얼웅얼거리면서 없는 라임도 라임답게 만드는 스킬이지
뭔 2음절 라임이고 다음절 라임이고 구단지독서실 오케이본 수준에서 벗어나지도 않은 사람들이 영 많은듯
리스너들은 라임의 질이 오로지 음절 갯수에 비례한다고 착각하는 시각을 갖고있어선 안되겠고
래퍼들도 라임의 질을 논할때 음절 갯수가 절대적인 기준인것처럼 오해될 말을 해서는 안되겠어서
전체적으로 동의합니다만
라이밍을 할 때 음절의 갯수를 극단적으로 늘리는 기예를 부리고 노는건 아주 구리기만한건 아닌것같아요
미국 래퍼들도 multi syllabic rhymes라고 부르며 그 놀이를 즐기기도 하고
실제로 재밌잖아요
그리고 rhyme scheme breakdown 컨텐츠들을 즐기는것도 저는 무조건 건강하지 못한 감상은 아닌것같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1VNHp_flJKE&list=PLlBigmhynF-USJNipCCXDnafvs3gvfn35)
물론 귀로는 들리지도 않는 라임을 따옴표쳐서 눈으로 듣는건 주객전도지만
내가 이미 청각적으로 쾌감을 느낀 라임들을 시각화해서 되새기는건 딱히 주객전도의 레벨은 아닌듯해요
말씀하신대로 오케이본시절도 아니고,
팬이든 래퍼든
누군가가 '난 5음절 라임 쓰는데 너는 2음절 라임 쓰니까 넌 나보다 구려' 라고 발언했을때
그게 진심으로 라임의 질이 음절 갯수에 비례한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보다는 라임의 다양하고 재밌는 (물론 꼭 음절 갯수에 관한것이 아닌) 운용 방법론이 버젓이 나와있는데 너무 lame한 라임들만 쓰는건 몰이해거나 나태라고 지적하는 의미의 발언일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음악은 귀로 듣는건데 귀로 들을줄 모르니 눈으로 쉽게 보려는 사람들이 많은듯하네요
라임없다할거면 걍 듣기에 구리다 하면 될것이지 뭔 몇음절이니 손가락 세는거보면 참 갸우뚱
리드머에서 화나 랩이 항상 지적받는데 그런 이유라고 봄. (난 좋지만.)
이센스 랩이 찰진 이유가 위에서 언급한 기막힌 라임배치라고 생각.
저도 화나 라임 대부분의 것들은 라임이라 부르기 민망할 수준이라고 봅니다 좀 세게 말해서
다만 그 수가 어마어마해서 제외하고 제외해도 운율 느껴지는 라임이 여전히 많을뿐이고 화나는 한길만 닦고 경지에 오른 장인이라 리스펙하는거지
근데 애초에 화나 본인도 라임이라고 생각안할것들을 두고 라임 아님이라고 쉐도우 복싱하는것도 좀 웃기고
여튼 힙합은 음악이기에 라임은 무조건 리듬 운율이 같이가야죠 그 리듬 운율을 어떠한 구성과 어떠한 색다른 방식으로 청각적인 쾌감을 느끼게하냐가 실력일테고요
화나 스타일을 화나가 소화 가능한 이유는 그냥 그런 떡칠 빼고도 랩을 존나 잘해서 그럼 ,,
원 앤 온리
그 떡칠된것들을 자기 스타일로 리듬 만드는데에 도가 튼 사람이죠
화나 플로우로 뱉으니 망정이지 같은 가사도 엄한애가 랩하면 그건 힙합도 라임도 뭣도아니고 오케이본 주니어임
확실히 주객이 전도된 느낌을 받긴 해요
운율이 주가 되어야 하는데...
음악은 귀로 듣는건데 귀로 들을줄 모르니 눈으로 쉽게 보려는 사람들이 많은듯하네요
라임없다할거면 걍 듣기에 구리다 하면 될것이지 뭔 몇음절이니 손가락 세는거보면 참 갸우뚱
힙합도 주입식 교육
음절마다 따옴표 치며 무슨 수능 공부 노트 필기하듯이 라임 공부하는거보며 고구마 먹은 느낌이 나더군요
리스너들은 라임의 질이 오로지 음절 갯수에 비례한다고 착각하는 시각을 갖고있어선 안되겠고
래퍼들도 라임의 질을 논할때 음절 갯수가 절대적인 기준인것처럼 오해될 말을 해서는 안되겠어서
전체적으로 동의합니다만
라이밍을 할 때 음절의 갯수를 극단적으로 늘리는 기예를 부리고 노는건 아주 구리기만한건 아닌것같아요
미국 래퍼들도 multi syllabic rhymes라고 부르며 그 놀이를 즐기기도 하고
실제로 재밌잖아요
그리고 rhyme scheme breakdown 컨텐츠들을 즐기는것도 저는 무조건 건강하지 못한 감상은 아닌것같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1VNHp_flJKE&list=PLlBigmhynF-USJNipCCXDnafvs3gvfn35)
물론 귀로는 들리지도 않는 라임을 따옴표쳐서 눈으로 듣는건 주객전도지만
내가 이미 청각적으로 쾌감을 느낀 라임들을 시각화해서 되새기는건 딱히 주객전도의 레벨은 아닌듯해요
말씀하신대로 오케이본시절도 아니고,
팬이든 래퍼든
누군가가 '난 5음절 라임 쓰는데 너는 2음절 라임 쓰니까 넌 나보다 구려' 라고 발언했을때
그게 진심으로 라임의 질이 음절 갯수에 비례한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보다는 라임의 다양하고 재밌는 (물론 꼭 음절 갯수에 관한것이 아닌) 운용 방법론이 버젓이 나와있는데 너무 lame한 라임들만 쓰는건 몰이해거나 나태라고 지적하는 의미의 발언일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노파심에 좀 덧붙이자면
- 라임 음절 길이를 극단적으로 늘이는 놀이
- 라임스킴을 시각화해서 청각적 쾌감을 더하고 복잡한 라임 구조를 연구하는 놀이
- 라임을 복잡하고 화려하고 세련되게 넣어야한다는 강박에 지나치게 종속되지 않고 리듬에 봉사하기위한 수준에서 딱 알맞게만 라임을 운용하는 놀이
- 촌스러운 라임을 피하고 최대한 세련되고 신선한 라임 구조를 계발해보려는 라임 조립 게임
저는 이 네 '놀이'들이 독선으로 변질되지만 않으면 다 문제 없다고 생각해서, 딱히 저중에 뭔가가 더 옳고 뭔가가 더 시대착오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정도를 말해보고싶었습니다
글 전체에 백번 동감합니다 제 본문에 부족한 점들을 제대로 짚어주시고 보완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만 해석하고 응용하면 군말없이 함께 즐길 준비되어있네요
공감
시카고드릴 치프키프 i dont like이란 곡은 소절 끝부분 라임을 첨부터 끝까지 아잇ㄱ으로 밀고 나가는 곡인데 대박나고 칸예도 리믹스했죠
그리고 요즘 본토 트렌드만 봐도 사운드,멜로디를 더 보는 것 같아요
라임이 중요하지 않다는 소리가 아니라 굳이 사운드를 강조한곡에서는 라임을 복잡하고 꽉꽉채울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말씀하신대로 어떤 사운드냐에 따라 힙합 장르 안에서도 라임 운용법이 또 달라지건만, 이렇게 라임에 대한 복잡한 논쟁은 고사하고 음악이라는 본질에서 벗어나 라임을 그저 텍스트에 국한시키는게 좀 고구마였네요
가끔 라임 공부한답시고 형형색색 여러 색깔로 하이라이트 치면서 가사 분석하는 사람들 있던데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머하는짓인지 ㅋㅋ
개인적으로 글쓴이분이 본문에서 언급하신 그런 억지스러운 건 별로고 자연스러운 라임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곡에 녹아드는듯한 그런 느낌말이죠 ex)이센스 back in time
라임은 몇음절이냐에 상관없이 그냥 듣기 좋으면 장땡이지
라임은 리듬감을 위한 것이기에 리듬감이 파괴되는 라임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