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글들을보면 MBDTF는 대중성과 예술성을 둘다 겸비했다고 말하더라고요.
근데 저만해도 (힙합을잘 몰랐던 시절에) 이 앨범을 이해한데 꽤나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
예를들어서 runaway 후반부에 그 난해한 기계음은 처음 듣는 사람에게, 특히 대중에게는 이상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또한 Power이나 All of the lights같은 웅장한 곡들에서 특유의 슬픔을 느끼는데에도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Blame game에서의 목소리 변조나 뒤에 전화 대화도 당시 막귀 입문자였던 저에게는 어렵기만 했습니다. 물론 저의 경우가 대중의 경우와 일치하는것은 아닙니다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MBDTF가 여러가지 장르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힙합과 거리가 있을수도 있는 사운드라고 해서 꼭 대중적인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실 예술성이 짙으면 그만큼 대중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근데 저만해도 (힙합을잘 몰랐던 시절에) 이 앨범을 이해한데 꽤나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
예를들어서 runaway 후반부에 그 난해한 기계음은 처음 듣는 사람에게, 특히 대중에게는 이상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또한 Power이나 All of the lights같은 웅장한 곡들에서 특유의 슬픔을 느끼는데에도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Blame game에서의 목소리 변조나 뒤에 전화 대화도 당시 막귀 입문자였던 저에게는 어렵기만 했습니다. 물론 저의 경우가 대중의 경우와 일치하는것은 아닙니다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MBDTF가 여러가지 장르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힙합과 거리가 있을수도 있는 사운드라고 해서 꼭 대중적인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실 예술성이 짙으면 그만큼 대중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앨범 보면 일단 대중들이 듣기에 좋은 트랙이 많아요 솔직히 앨범 다 듣지 않더라도 몇몇 트랙 괜찮은거 있으면 대중들한테 알려지고 회자되고 그러는게 대중성을 갖춘거라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좀더 깊게 파고들면 그런 언급하신 디테일한면에서 예술성이 드러나고
그니까 외형도 멋있고 디테일도 좋고 이런게 아닐까 하고 대충 생각해봐요
그 보다는 그 당시 차트에서 같이 경쟁하는 곡들이 장난 아니지 않았나요?
그 때 아마 칸예 싱글 내놓고 앨범 발매 전후로
에미넴, 레이디 가가,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핑크, 브루노 마스 등등
줄줄이 앨범 내고 활동했던 것으로 기억해요.
워낙 히트곡들이 많으니 뭐.. 차트 성적은 이해가 되죠.
파워도 슬픈건 못느끼고
올오브라이츠는 가사보고 슬픈걸 깨달았죠 ㅠㅠ
칸예 신보 보다 이걸 먼저 씨디로 사서 계속 들어봐야겠네요
계속들어봐야겠네요...
올오브라이츠는 좀 슬픈느낌이있었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