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음, 엉클샘이 은유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건가요? 저는 이제까지 이 스킷을 들으면서 켄드릭이 여자=미국, 남자=흑인계급으로 은유했다고 생각했거든요.
즉, 남자는 여자를 얻으려 가난을 견디고 성공하려 노력했는데, 여자는 그보다 더 큰 성공(남자)를 원하게되는 이야기를, 미국사회가 이제까지 흑인계층을 노예, 노동자로서 착취하는 상황에 비유했다고 생각했습니다. 남자는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여자를 얻지 못하고 (흑인은 아무리 성공해도 절대 미국의 주류계층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여자에게 "넌 왕이 될 수 없어" 라는 말을 듣는거죠. (미국사회는 흑인에게 "넌 절대 주류가 될 수 없어" 라고 선고)
"이 dick은 공짜가 아니야" 라는 말은 흑인들이 더 이상 자신들의 허슬이 공짜가 아님을 미국에게 항변하는 거라고 느꼈습니다.
이건 뮤비랑 같이봐야 듣는맛이 배가 되네요
넌 왕이 아니야 라고 하면서 곡이 끝나는데
다음 곡이 킹쿤타라는 것
으음, 엉클샘이 은유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건가요? 저는 이제까지 이 스킷을 들으면서 켄드릭이 여자=미국, 남자=흑인계급으로 은유했다고 생각했거든요.
즉, 남자는 여자를 얻으려 가난을 견디고 성공하려 노력했는데, 여자는 그보다 더 큰 성공(남자)를 원하게되는 이야기를, 미국사회가 이제까지 흑인계층을 노예, 노동자로서 착취하는 상황에 비유했다고 생각했습니다. 남자는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여자를 얻지 못하고 (흑인은 아무리 성공해도 절대 미국의 주류계층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여자에게 "넌 왕이 될 수 없어" 라는 말을 듣는거죠. (미국사회는 흑인에게 "넌 절대 주류가 될 수 없어" 라고 선고)
"이 dick은 공짜가 아니야" 라는 말은 흑인들이 더 이상 자신들의 허슬이 공짜가 아님을 미국에게 항변하는 거라고 느꼈습니다.
앙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