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음악

에티오피아의 음악

파워9992025.02.15 14:13조회 수 375추천수 8댓글 11

https://youtu.be/AfYo9g7m1vI?si=3dZ9EISg7Cbtd7jZ

 

 

 

티지타(Tizita), 암하라어로 '향수', '기억', 혹은 '그리움' 등을 뜻하는 이 음악 장르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에서 인기 있는 소울풀하고 우울한 노래의 한 종류로, 큐넷 모드(qegnet mode)*와 튜닝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 장르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기 아디스바바바의 'Swinging Addis' 씬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Amha Records에서 발매된 음반들을 통해 점차 인기를 얻게되었습니다. 티지타는 향수와 상실감을 불러일으키며, 때문에 블루스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대답이라고 불립니다.

 

*큐넷 : 에티오피아의 전통 음계

 

출처 : https://rateyourmusic.com/genre/tizita/

 


 

분명 가본 적도 없고, 살면서 가볼 일이 있기나 할까 싶은 외딴 국가의, 알 수 없는 언어로 불러진 노래지만, 티지타를 들으면 묘하게 초등학교 때 통학하며 걸었던 동묘 길거리에서 흘러나오던 뽕짝 블루스 노래가 생각나서 그리움에 잠기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직 사운드만으로 청취자에게 그리움과 같은 감정을 불어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된 것 같아서 신기한 경험이었습니다. 

 

가끔은 우리나라도 무조건 서양의 음악을 그대로 수입해서 들여오는 것이 아니라, 전통 음계나 악기를 기반으로 해서 점차 퓨전하는 식으로 음악을 발전시켜나갔으면 어땠을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상업적으로 잘팔리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힙스터의 입장에서는 개인적으로 아쉬울 따름입니다.

신고
댓글 11
  • title: loveless파피루스Best베스트
    5 2.15 16:42

    동양고주파 - 국악기로 포스트록

    잠비나이 - 월클 퓨전국악/메탈

    박지하 - 국악기 연주자

    추다혜차지스 - 다양한 장르 혼합된 독특한음악

    우륵과 풍각쟁이들 - 노이즈/프리재즈

    악단광칠 - 판소리기반으로 독특한 팝

    달음 - 거문고, 가야금 듀오

    두번째달 - 씹근본 퓨전국악

    이 외에도 bela처럼 전위적인 전자음악에 융합되는 경우도 있고 이장혁 1집처럼 국악기 차용하는경우는 꽤나 더 있고

  • 2.15 15:30

    마지막 부분 공감

  • 2.15 15:35
    @nomnomcat

    감사합니다 ㅎㅎ

  • 2.15 16:24

    국내도 꽤 존재하긴 하는데..

  • 2.15 16:32
    @파피루스

    혹시 대표적으로 누구 있을까요?

  • 5 2.15 16:42
    @파워999

    동양고주파 - 국악기로 포스트록

    잠비나이 - 월클 퓨전국악/메탈

    박지하 - 국악기 연주자

    추다혜차지스 - 다양한 장르 혼합된 독특한음악

    우륵과 풍각쟁이들 - 노이즈/프리재즈

    악단광칠 - 판소리기반으로 독특한 팝

    달음 - 거문고, 가야금 듀오

    두번째달 - 씹근본 퓨전국악

    이 외에도 bela처럼 전위적인 전자음악에 융합되는 경우도 있고 이장혁 1집처럼 국악기 차용하는경우는 꽤나 더 있고

  • 2.15 17:10
    @파피루스

    얼떨결에 좋은 음악들 알고갑니다

  • 2.15 17:23
    @파피루스

    감사합니다

  • 2.15 16:43
    @파워999

    카디처럼 잘나가는경우도 드물게 있음

  • 2.15 16:58
    @파피루스

    소개드린 에티오피아 음악들은 당시 클럽에서도 연주되는 등 국가적으로 유행했던 반면, 당시 70년대에 유행했던 트로트를 살펴보면 일제강점기 때 일본 대중가요(엔카)에서 파생된 음악이라 좀 아쉽다는 생각이었어요. 물론 요즘에야 우리 나라 고유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시도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장르로 고착화되어 한 시대를 풍미하지는 못하고 대부분 단지 '독특한 컨셉'으로서 단발성에 그치는 게 아쉬웠고요. (특히나 개인 미디어가 늘어난 지금은 한 세대를 묶을 수 있는 공통 관심사가 없어지게되어 제가 말씀드린 것처럼 되는 것이 더더욱 힘들어졌다고 봅니다.)

     

    이러한 시도들을 무시했다기보다는 그냥 일제강점기 없이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발전시켜나갔으면 어떻게 됐을까? 라는 제 순수한 궁금증에서 이렇게 말씀드렸다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15 17:06
    @파워999

    여러모로 가혹한 환경이긴 했죠. 신중현 사단의 사이키델릭도 결국 죽었고 김민기-양희은 등으로 대표되는 포크도 명맥이 끊기고 조선펑크정도가 마지막 무브먼트였던것같은데 한번 터지고 음지에 박혔죠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아이콘] Chief Keef 등 아이콘 출시 / 5월 아이콘 설문60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1시간 전
[공지] 회원 징계 (2025.03.23) & 이용규칙2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03.23
화제의 글 인증/후기 최근 산 피지컬들 인증17 title: lovelessHolidayCho 2025.04.17
화제의 글 일반 님들은 한국 음반 콜렉터에도 OG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5 title: Playboi Carti (MUSIC)Yeisdumbasf 6시간 전
화제의 글 음악 [ 리뷰이벤트 ] 저드 - BOMM ( 막차 탑승해야지 )9 title: Dropout Bear (2004)야마다료 2025.04.17
11962 음악 종게 활성화 프로젝트: 🧊 나의 즐거운 빙산 디깅 일지 ! #038 title: Velocity : Design : Comfort동동Ol Hustler 2025.02.15
11961 일반 아니 뭐야 이건6 m222n 2025.02.15
음악 에티오피아의 음악11 파워999 2025.02.15
11959 음악 뉴비 인사겸 오듣앨(?) 탑스터21 title: Mac MillerCuP 2025.02.15
11958 일반 아지캉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려준 봇치 버전 아지캉 앨범13 title: Nas (2)요루시카 2025.02.15
11957 음악 칼레젭 이모션 최애곡5 title: yeule외힙린이 2025.02.15
11956 음악 안녕하세요 시오니 2025.02.15
11955 음악 2025년 그래미어워드 찰리 XCX 라이브 퍼포먼스.avi2 title: Eminem (2)MarshallMathers 2025.02.15
11954 일반 김밥에 the new sound 재입고4 title: Mach-Hommy따흙 Hustler 2025.02.15
11953 음악 [MV] Bon Iver - Everything Is Peaceful Love1 title: Eminem (2)MarshallMathers 2025.02.15
11952 음악 작년 SOTY6 민니 2025.02.15
11951 음악 Njz 바나와의 계약 사실무근4 ron인터루드 2025.02.15
11950 음악 길 잃은 개들이 집으로 돌아오길 기다리는 여름밤6 민니 2025.02.15
11949 음악 괜찮은곳7 문진관 2025.02.15
11948 음악 희귀 음반 ㄴㅇㅅ1 title: Action BronsonRope 2025.02.15
11947 일반 안녕하세요 뉴비입니다23 안녕미래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