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반

한국히팝을 내가 좋아하는 이유.

miNs2016.09.24 00:16조회 수 3506추천수 28댓글 30

영화 평론가 이동진 아시죠?
'빨간 책방'이라는 책 관련 팟캐스트도 진행하고 있는.
이 분이 '비밀독서단'이라는 프로에 나와서 한 말입니다.


Q)
한국 문학을 좋아하는 이유?
A)
저는 한국문학뿐만 아니라
책도 맞지 않는다면 안 읽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쪽이에요.
근데 이런 이야기도 드리고 싶은데,
제가 한국문학을 좋아하는 이유가 오래전부터 짝사랑 같은 걸 갖고 있는데
한국문학은 한국어를 다루잖아요
근데 언어라는 것이 단순한 도구는 아니거든요.
우리의 생각을 지배하고 우리의 사고를 지배해요.
말이라는 것은 많이 쓰면 말에 먼지가 묻거든요.
예를 들면 사랑이라는 말은 너무 아름답고 좋은 말이잖아요.
그렇다 보니까 노래부터 시작해서
일상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사랑이라는 말을 쓰니
정작 내가 정말 사랑하는 사람이 나타나서 '사랑합니다'라는 말을 해도 
그 말 자체가 울림이 없잖아요.
그런 말이 오랜 세월이 지나면 거기에 먼지가 묻는데
좋은 문학은 그 먼지를 털어내서
그 말의 의미를 들여다보는 문학.
저는 그게 좋은 문학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런 면에서 한국문학은 제 입장에서 포기할 수 없는 굉장히 큰 오락이면서 즐거움인거죠.


정말 좋은 글이라고 여겨서 한번 가져와 봤습니다.
언어에 켜켜이 내려앉은 먼지를 털어내고 그 본질을 들여다보는 문학.
정말 엄청난 펀치라인 아닙니까.
국힙이 외힙에 비하면 분명 역사도 짧고 부족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죠.
그러나 한 시대의 언어를 가장 재기발랄하고 감각적으로 다루는 사람들이
래퍼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외힙보단 한국히팝에 더 많은 눈길이 가는 건 어쩔 수가 없네요.
CD를 사더라도 외힙보단 국힙 위주로 사게 되구요.

음울한 감성을 품은 노래를 좋아하던 제가 인생이 우울해지자 
요즘은 더콰, 빈지노, 리짓군즈 등의 음악을 주로 듣고
저스디스가 마잌 스웨거에서 들려준 랩에 많은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을 보면
분명 언어가 만들어내는 파동은 크네요.

한국히팝의 오래된 벗으로서, 앞으로도 그 손을 놓지 않을 사람으로서,
국힙의 번영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자기 곤조 지키면서 허슬하는 모든 플레이어에게도 축복을 빌구요.
신고
댓글 30
  • 9.24 00:19
    좋은 글이네요 정말
  • 9.24 00:21
    멋지다 정말루요
  • 9.24 00:32
    랩을 비롯한 여타 다른 장르들의 음악을 들을 때도 가사보단 비트나 멜로디를 훨씬 중요시하는 타입이라 저런 생각은 해본 적이 잘 없었는데 참 무지몽매 했었네요..ㅋㅋ 엘이에서 강력한 펀치라인을 물어보는 글에도 막상 생각이 잘 안났던 것도 가사 하나하나를 아주 자세히 들여다 보지 않아서 그런 거 같기도 하고.. 많은 생각이 듭니댜.. 반성..
  • 9.24 00:25
    좋은 글이네요. 저도 소설도 한국소설을 자주 보고 음악도 우리나라 뮤지션 위주로 들어요. 외국어는 해석에 어려움이 없더라도, 울림 같은 건 덜 하더라고요. 네이티브이신 분들은 둘다 느끼시겠지만서도ㅠㅠ 아무튼 책을 보거나 음악을 들으면서 느끼는 건, 한국어가 감정이나 감각적인 요소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 큰 장점을 가진 언어라는 거에요. 결론은 세종대왕 짱짱맨
  • 9.24 00:35
    캬아 좋은글..
  • 9.24 00:43
    저는 어떤언어이든 음악이면 모두 그럴 수 있다고생각해요
    다시 돌아보면 좋은 구절들이 있는것은 모든언어에있을거기때문에 ㅎㅎ..
  • 9.24 00:48
    @Curren$y

    아 그야 물론이죠.
    제가 만약 미국에서 태어났거나 영어를 상당히 잘한다면

    그 방대한 늪에서 행복한 나날을 보내느라
    이런 글은 쓰지도 않았겠죠 ㅎㅎ
    하지만 전 한국인이라..

  • 저도 가사와 메세지가 와닿아서 들어오
    솔직히 사운드나 랩으로 들을거면 본토것만들어도 워후
  • 9.24 00:57
    @Aksaivor 나쁜색기
    지금 블랙스타 갈색피부여자 듣는 중인데 진짜 너무 좋네요ㅋㅋㅋㅋ
  • 9.24 00:54
    확실히 해석된 영어가사를 볼 때와 익숙한 언어로 쓰여진 가사가 귀에 꽂힐 때의 울림은 다른 것 같아요
  • 9.24 01:02
    글 진짜 멋있네요 ...
  • 오웅
  • 9.24 02:14
    좋은 글 감사합니다
  • 9.24 12:12
    캬 먼지를 털어낸다는 표현 멋있네요
  • 9.24 13:16
    요즘은 죄다 본토 카피던데 무슨 ㅋ
  • 9.25 11:19
    @눈보라
    저와 함께 1,2세대로 갑시다!!
  • 엄지
  • wzi
    9.24 22:27
    우리가 살아온 것에 맟춰져있어서 멋진듯 특히 리릿군즈
  • 9.24 23:48

    와 언어의 마술사시네.. 언어 전사는 울고 갑니다

  • 9.25 01:37
    뒤져라 이동진.
  • 9.25 18:50
    @Impossum
    이동진이란 사람한테 불만이 있으시면 한 줄이라도 보는 사람이 납득할 만한 이유는 대주시고 비난이건 비판이건 하세여.. 글빨도 좋으신분이
    거기다 본문이 무슨 이동진 찬양글도 아니고 그냥 인터뷰 인용한게 다인데 뜬금없이 xxx(김심야아님ㅎ) 뒤져라가 뭡니까
  • 9.25 19:06
    @Bloooming
    동진아, 네 이름을 불러본다.

    이거 그냥 전형적인 하이데거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명제를
    재탕한 것에 지나지 않아요. 이런 '잡담'들 때문에 언어의
    '본래적' 가능성이 파묻혀있는데, 문학은 이런 언어의
    '본래적 가능성'을 '개현'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격발하는 말'들을
    적음으로써 그 '도구적 사용'을 중지하고 '본래적 실존'을 탈은폐,
    현시하는 것이 문학이다. 딱 표준적인 하이데거 예술론인데
    이게 딱 언어를 신비화하고 있는 거거든요.

    평소 하버마스를 좋아하진 않는데, 하버마스한테 동의하는
    몇 안되는 지점이 바로 하이데거 비판이에여.
    하이데거야 물론 도대체 부정할 수 없는 존재지만...
    (그를 부정하는 것도 어떻게든 그를 인정하는 거니까)
    하여튼 문제 덩어리라는 것은 많은 학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지점이져. 전 맘에 안 들어여. 그걸 여기서
    팡팡 풀어봐야 그냥 혼자 헛소리하는 것 같구...
    '언어를 신비화하고 있다'는 지점까지만 짚고.
    구체적인 비판의 내용은 스킵할게여.

    하여튼 이동진이 싫은 건 하이데거가 싫어서 그런 것.
    이런 문학관을 아직도 써먹는 이동진 넘나 싫은 것
  • 9.26 00:05
    @Impossum
    철학에 흥미정도만 있는 철알못이라 님이 생각하고 계신 깊은 부분까지는 모르겠지만 무슨 말씀하시는건지 이해는 가네여
    혹시 스킵하신 구체적인 비판의 내용을 찾을 수 있는 책이나 링크없을까요?
  • 9.26 01:04
    @Bloooming
    어려운 질문이군요. 가벼운 책은 잘 모르겠습니다. 데리다에 의해서 비판을 받는 하이데거는 아마 아즈마 히로키의 <<존재론적, 우편적>>을 참고할 수 있을 겁니다. 대충 요약하자면, 하이데거는 언어에 '동일한 본질'을 가정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 언어에 근원적이고 단일한 본질이 '하나' 있다고 가정하고 그것이 후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오염'된다는 것이 하이데거(후썰까지 포함하는)의 '목소리'가 갖고 있는 전제인데 데리다는 이걸 해체하고 있습니다. 거기엔 애초에 '단일성' 같은 것은 없었단 것이죠. 현전의 신화를 해체하는 것이 하이데거에 대한 가장 강력한(그리고 가장 어려운...) 비판 가운데 하나입니다. 제가 선호하는 비판이기도 하죠. 데리다를 '요약'하자면... '애초에 그런 동일성은 없고 사후적으로 날조된 것이다'라고 요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리다를 읽으셔야 하겠지만욬ㅋㅋ 까놓고 말해서 넘 어렵지만ㅋㅋ

    후... 또 비판이 이어지려면 이어지죠. 모두가 하이데거를 극복하려고 했으니까요. 아도르노, 레비나스, 부르디외까지 말이죠. 사실 이들의 비판은 한편으론 어떤 '사건'과 관계가 있거나 하여튼 정치적으로 전유된 하이데거니까요. 이건 정말 생략하겠습니다. 정치적 컨텍스트 속에서 하이데거를 읽는 것은 별로 재미가 없으니까요.

    하버마스는 반대의 방향에서라면 반대의 방향에서 하이데거를 깝니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을 참고할 수 있는데 너무 전략적인 의도를 갖고선 쓴 책이라 개인적으로는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입문서가 있을 텐데 잘 모르겠군요. 한편으로 하버마스의 하이데거 비판은 철학계 내부의 담론적(말하자면, 철학 내부의 정치?ㅋㅋ) 싸움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는 부분이 있어서 하버마스도 좀 찝찝한 구석이 있군요. 모든 것이 담론적 장과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래서 결론은 데리다 정도가 아니고서야 하이데거의 언어론/예술론 자체에 대한 비판만을 보기는 좀 힘들단 이야기죠 ㅋㅋㅋ 개론서를 잡으시는 것이 아닌 이상에야.ㅋㅋㅋ 물론 이런 비판들을 정리한 논문 같은 것이 있을 것도 같은데 전 잘 모르겠네요.
  • 9.26 01:40
    @Impossum
    으음.. 잘 읽었습니다
    수능치고 배부르고 등따신 그야말로 노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게 없었던 시기에 들었던 철학적 의문들이 이젠 과제니 토익이니 여러 일들에 치여 제 안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네요ㅜㅜ
    추천해주신 책은 지금 보는거 다 읽으면 바로 읽어보려구요ㅋㅋ 감사합니다
  • 9.26 01:43
    @Bloooming
    아니에요 이건 추천이 아니에욬ㅋㅋㅋㅋ 다만 비판의 내용이 '여기'에 수록되어 있단 거죠ㅋㅋㅋㅋ 추천의 의미가 아니었어욬ㅋㅋㅋ 데리다의 경우엔 하이데거 비판 시기의 '이상한' 책들이 번역이 되어있지 않아서 그나마 입문서로 추천되는 아즈마 히로키를 추천드렸구요(이건 추천 맞아요)ㅋㅋㅋㅋ 잘 모르겠어요. 하버마스는 좀... 제 기준에선 좀 비겁한? 책이거든요.
  • 9.26 07:30
    @Impossum
    ㅋㅋ제가 단어를 잘못 고른건지 아즈마 히로키 - <<존재론적, 우편적>> 요거 추천 해주신거 감사하다는 거예여ㅋㅋㅋ 무슨 말씀하시는지 알고 있습니닿ㅎㅎ
  • 9.25 03:16
    먼지쌓인 LP...
  • 9.25 17:39
    먼지를털어내는래퍼가있을까나
  • 9.26 00:04
    역시 배움에 깊이가 다른 분이니.. 똑같은 생각을 해도

    표현력과 풀어내는 방식이 감탄이네요;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08.25) & 이용규칙7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08.25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일반 한국힙합매거진 HOM #29 10월 13일 공개 예정! (+개쩌는거)4 title: [E] Dr. Dre - The Chronic쟈이즈 20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하이퍼팝류 뭐가 좋은지 알고 듣는 거임?11 title: Bob Marley일식돕칠 2025.10.10
화제의 글 일반 코르티스 음악 좋아하는 사람이 있구나16 title: Playboi Carti (MUSIC)히파팬 2시간 전
41718 일반 ghood life crew title: Action Bronsonvince staples dick 2016.09.24
41717 음악 언프3의 마지막 프로듀서 도끼임 ㅋㅋㅋㅋㅋㅋ6 title: Guy-Manuel de Homem-ChristoLoveSick 2016.09.24
41716 음악 던밀스 Air Canada 목소리 질문3 Farface 2016.09.24
41715 음악 뻔하잖아10 두부 2016.09.24
41714 음악 황밀스님이랑 쿤타님 실검에 떳네요6 title: Schoolboy Qtunafish 2016.09.24
41713 일반 (입문_)비트 찍는 프로그램4 Yesixk 2016.09.24
일반 한국히팝을 내가 좋아하는 이유.30 miNs 2016.09.24
41711 음악 약 10년만에 쓰는 에픽하이 4집 감상 (혹평주의)12 title: MF DOOMOnra 2016.09.24
41710 음악 박재범 our lives 콜월 2016.09.23
41709 그림/아트웍 힙X)흔한 반도의 펀치라인5 title: Post Malone쁘뤠끼 2016.09.23
41708 음악 절때~ 멀쩡하지 않지!!3 title: DrakeDNM302 2016.09.23
41707 일반 대구메킷콘2 berrabin 2016.09.23
41706 일반 자티 생생정보통 나왔네요13 HHL 2016.09.23
41705 리뷰 송민호 바비 힙합엘이 인터뷰 올라왔네영14 title: Dropout Bear (2005)그린그린그림 2016.09.23
41704 일반 이번주 황치와넉치 안올라오나요..?6 00LK 2016.09.23
41703 음악 영라이언(Young Lion) - Like That (Prod. by Hae) 스트리밍, 무료다운로드 공개4 title: Dropout Bear (2005)그린그린그림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