뿅뿅거리고 ADHD를 음악으로 옮겨놨다는 공동점은 알겠는데
이건 이래서 좋은 하이퍼팝이고 저건 아니다라는 기준이 뭔지 궁금함
힙합만 듣던 인간들이 갑자기 전자음악 전문가가 된 것도 신기하고
갑자기 시스템서울 AOTY 이야기하다가 샘플링 이슈 제기하니까 물 싹 빠지는 것도 웃기고
'듣기 좋으니까 좋은 거지' 같은 셀프 황금귀라이팅 이상의 설득력이 있는지가 궁금함
내 수준에서 이 장르를 이해해보려는 노력은 옛날 DJ MAX 음악들이랑 비슷한가? 싶은 정도고
시스템서울이나 시온의 신보는 여전히 힙합과의 접점을 느끼기에는 내 역량이 부족함




'듣기 좋으니까 좋은 거지' 같은 셀프 황금귀라이팅 이상의 설득력이 있는지가 궁금함
다른장르라고 머 설명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진 않네유
전자음악 전문가가 갑자기 된게 아니라 힙합의 구색을 조금이라도 갖춘 전자음악과 결합된 무언가가 나오니까 자연스럽게 유입된거 아닐까요
근데 모든 분야에서 똑같은 말 할 수 있는 거 아님?
'듣기 좋으니까 좋은 거지' 같은 셀프 황금귀라이팅
-> 일개 음악 듣는 사람이 이거 이상으로 자기 취향이나 음악에 대해서 명확한 논리와 근거를 들을 수 있어야 함?
힙스터병이나 유행에 따라 무지성 찬양하는 시류에 대해서 반감이 드는 건 이해할 수 있는데
"너 그래서 이거 왜 좋아하는 지 알고 좋아하냐?" 는 좀..
무슨 평론가 집단도 아니고 걍 좋게 들으면 좋게 듣는 거죠
나도 음악 악기에 관해 뭘 모르니까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전자음악은 구릴수록 유독 티가 난다고 생각함
비단 한국 리스너들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긴 한것같은
듣자마자 감상평보다 크레딧 먼저 확인하게 됐는데
AOTY네 어쩌네 난리났길래 좀 다른 의미로 감명 깊게 받았음
엄연히 따지면 시온의 신보가 힙합이랑은 거리가 멀긴 하죠~ 그냥 하이퍼팝-힙합 경계에 있는 앨범들이 국게에서 자주 언급되니까 시온도 같이 딸려와서 언급 되는 듯.
시온은 힙합 아님
'듣기 좋으니까 좋은 거지' 같은 셀프 황금귀라이팅 이상의 설득력이 있는지가 궁금함
다른장르라고 머 설명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진 않네유
전자음악 전문가가 갑자기 된게 아니라 힙합의 구색을 조금이라도 갖춘 전자음악과 결합된 무언가가 나오니까 자연스럽게 유입된거 아닐까요
장르 경계는 엄청 희미해졌다는건 인정합니당
이건 어쩔수 없는 흐름인듯요 하이퍼팝뿐 아니라
나도 음악 악기에 관해 뭘 모르니까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전자음악은 구릴수록 유독 티가 난다고 생각함
100 gecs 말고 하이퍼팝은 없다
근데 모든 분야에서 똑같은 말 할 수 있는 거 아님?
'듣기 좋으니까 좋은 거지' 같은 셀프 황금귀라이팅
-> 일개 음악 듣는 사람이 이거 이상으로 자기 취향이나 음악에 대해서 명확한 논리와 근거를 들을 수 있어야 함?
힙스터병이나 유행에 따라 무지성 찬양하는 시류에 대해서 반감이 드는 건 이해할 수 있는데
"너 그래서 이거 왜 좋아하는 지 알고 좋아하냐?" 는 좀..
무슨 평론가 집단도 아니고 걍 좋게 들으면 좋게 듣는 거죠
알고 들으면 좋은거 아님? 창작자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만들었을텐데
그것도 모르고 남들이 좋다하니까 따라서 들으면 그냥 한철 때만 관심받는 그런 취급받는거임.
정답은 없더라도 왜 좋은지 본인만의 기준이 있어야 추후에 나오는
작품들이 본인들이 세운 기준에 좋은지 안좋은지 취향도 생기는거고.
말 그대로 나만의 기준을 세우고 들으면 '좋은' 거지,
그걸 모든 청자가 가져야 하는 덕목이나 규칙 같은 거로 취급하면 안된다는 거임
그리고 말로는 그냥 듣기 좋으니까 듣는 거라 하지만 다들 속으로는 자기 기준이 있음
왜 좋은지 본인만의 기준이나 생각의 동기는 당연히 있음
근데 이 사람들이 평론가처럼 자기 취향과 생각을 논리 정연하게 표현해야 하는 이유는 없음
특히 일개 커뮤에서 놀면서 굳이 내 취향의 동기를 뜯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냐 싶은거임
님이나 나처럼 이런 걸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하면 되고,
굳이 안하고 싶은 사람들한테 까지 그런 딥한 기준을 표현하라고 강요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거임
많은 사람들이 좋게 들었으면 그냥 통상적으로 좋은 음악인거지 왜 그분들이 님한테 그 음악이 좋은지 설득해야되나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