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쑥갓칸예나스2025.10.11 22:14조회 수 1389추천수 1댓글 20
뭐가 어케 들리면 그게 표절이 아니라 생각되는지가 궁금함
옛날 블라세 take it 표절시비 생각날 정도로 똑같던데
표절 맞음
표절아님
너무 똑같던데 왜 아니라 생각하는지 들을 수 있음?
유사성은 있으나 표절범주안에 들기엔 곡 박자, 송폼, 화성 등 아예 달라서요.
훅 박자 똑같은 걸로 아는데요
패션으로 한정한다면
Bpm이 다르다는 말이에요
완벽히 일치하는 것만이 표절은 아니잖아요?
플로우에 박자가 똑같은데 bpm이 다르다고 아니라 보긴 어려운 것 같은데요
대부분 완전히 일치하지않아 표절아닌경우가 대반사고 플로우도 거의 훅부분만 유사하기때문에 그렇습니다
훅부분 플로우가 너무 유사하니 표절이란 말이 나오죠 파트가 어디고 길이가 어떻든 심히 유사하면 표절 아닌가요?
분량이 적으면 표절이 아니라는 말씀을 하고 계신 것 같아요
분량이 적으면 표절이 아닌쪽으로 가깝죠 당연히. 그렇게 보면 라키곡도 박재범 my team 표절했다해도 암말 못하죠
곡 전체를 배껴오든 곡 일부를 배껴오든 표절인건 똑같은 것 아닌가요
얼마나 일치했는지를 봐야죠
넵 아닙니다. 그게표절이면 고전시대 베토벤 이후음악은 모두 표절음악이겠죠
그렇다 해도 분량이 적어 표절이 아니란 것은 틀린 말 같은데요
특히 코르티스는 노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훅을 통채로 배껴왔으니 더욱 표절이라 할 수 있겠고요
노래 전체를 배껴야만 표절이면 식케이 블라세 take it 때도 표절이 아니겠네요?
그걸 뒷받침 하기 위해 베토벤 시대까지 끌고오는건 무리수라 보는데요
식케이 블라세는 안들어봐서 모르겠네요... 아무튼 뭐 한프레이즈 통째로 가져왔다 해도 저 박자가 연결고리같은 힙합 안에서 여러 볼수있는 리듬이다보니 표절로 보기 어렵습니다. 베토벤은 그냥 예시라고 생각해주세요
연결고리랑 패션 그리고 라키 그노래는 박자가 달라요
연결고리는 너와 나의 연결 고리 에서 고리에 드럼이 들어가고
Praise the lord는 i came i saw에서 came과 saw에 들어가는 식이죠
패션도 praise the lord랑 똑같고요
그래서 표절 소리 나오는 겁니다
단순히 플로우만 같은 게 아니라 박자까지 빼다 박아버리니까
연결고리와 패션 박자가 같다는게아니라 연결고리 같은 음절끊어치기 플로우 자체가 유행했기 때문에 표절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말이었습니다. 라키 그곡에서 나오는 박자가 딱 그 한곡에서만 나오는게 아니잖아요?
플로우에 박자까지 같으니 표절이라 볼 수 있다는거죠
그리고 제일 유명한 게 라키 곡이니 라키 걸로 이야기가 나오는거고
박자만 같다고 표절이면 매일 수백곡 발매되는 오늘날 음악가라는 직업은 너무나 고될거같습니다..
플로우에 훅이라는 특성에 박자까지 똑같으니 표절소리 나오는거죠
그리고 코르티스가 어디 중소 3류 아이돌이면 말 나오지도 않았을 것 같네요
1티어 기업의 새 아이돌인만큼 여러가지로 조심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표절이든 아니든 그 부분은 인정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네이버
네이버 밴드
표절 맞음
표절 맞음
표절아님
너무 똑같던데 왜 아니라 생각하는지 들을 수 있음?
유사성은 있으나 표절범주안에 들기엔 곡 박자, 송폼, 화성 등 아예 달라서요.
훅 박자 똑같은 걸로 아는데요
패션으로 한정한다면
Bpm이 다르다는 말이에요
완벽히 일치하는 것만이 표절은 아니잖아요?
플로우에 박자가 똑같은데 bpm이 다르다고 아니라 보긴 어려운 것 같은데요
대부분 완전히 일치하지않아 표절아닌경우가 대반사고 플로우도 거의 훅부분만 유사하기때문에 그렇습니다
훅부분 플로우가 너무 유사하니 표절이란 말이 나오죠 파트가 어디고 길이가 어떻든 심히 유사하면 표절 아닌가요?
분량이 적으면 표절이 아니라는 말씀을 하고 계신 것 같아요
분량이 적으면 표절이 아닌쪽으로 가깝죠 당연히. 그렇게 보면 라키곡도 박재범 my team 표절했다해도 암말 못하죠
곡 전체를 배껴오든 곡 일부를 배껴오든 표절인건 똑같은 것 아닌가요
얼마나 일치했는지를 봐야죠
넵 아닙니다. 그게표절이면 고전시대 베토벤 이후음악은 모두 표절음악이겠죠
그렇다 해도 분량이 적어 표절이 아니란 것은 틀린 말 같은데요
특히 코르티스는 노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훅을 통채로 배껴왔으니 더욱 표절이라 할 수 있겠고요
노래 전체를 배껴야만 표절이면 식케이 블라세 take it 때도 표절이 아니겠네요?
그걸 뒷받침 하기 위해 베토벤 시대까지 끌고오는건 무리수라 보는데요
식케이 블라세는 안들어봐서 모르겠네요... 아무튼 뭐 한프레이즈 통째로 가져왔다 해도 저 박자가 연결고리같은 힙합 안에서 여러 볼수있는 리듬이다보니 표절로 보기 어렵습니다. 베토벤은 그냥 예시라고 생각해주세요
연결고리랑 패션 그리고 라키 그노래는 박자가 달라요
연결고리는 너와 나의 연결 고리 에서 고리에 드럼이 들어가고
Praise the lord는 i came i saw에서 came과 saw에 들어가는 식이죠
패션도 praise the lord랑 똑같고요
그래서 표절 소리 나오는 겁니다
단순히 플로우만 같은 게 아니라 박자까지 빼다 박아버리니까
연결고리와 패션 박자가 같다는게아니라 연결고리 같은 음절끊어치기 플로우 자체가 유행했기 때문에 표절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말이었습니다. 라키 그곡에서 나오는 박자가 딱 그 한곡에서만 나오는게 아니잖아요?
플로우에 박자까지 같으니 표절이라 볼 수 있다는거죠
그리고 제일 유명한 게 라키 곡이니 라키 걸로 이야기가 나오는거고
박자만 같다고 표절이면 매일 수백곡 발매되는 오늘날 음악가라는 직업은 너무나 고될거같습니다..
플로우에 훅이라는 특성에 박자까지 똑같으니 표절소리 나오는거죠
그리고 코르티스가 어디 중소 3류 아이돌이면 말 나오지도 않았을 것 같네요
1티어 기업의 새 아이돌인만큼 여러가지로 조심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표절이든 아니든 그 부분은 인정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