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오랜만에 필요하다고 느껴진 얘깃거리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쇼미가 꼭 있어야 하는가?
힙합은 쇼미의 부재로 대중들에게 설득하지 못하고 있는것인가?
쇼미의 하락세에 맞물려 진행되고 있던
주요 힙합레이블들의 탈크루 흐름이
가장 큰 오판 아니었는가
탈크루 힙합의 개인화 이후
대중이 받아들일 세계관을 제시하지 못했다
(세계관은 상품의 가치를 설명해주는 브랜드)
이는 신인이 힙합 안에서 파이를 넘보지도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이전에 세계관을 구축한 래퍼들만 밥줄을 이어갔죠
(래퍼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KC의 반항적이고 대담한 이미지 속에서 지민이 새로운 캐릭터를 얻었다고 생각하고
오피움에서 카티가 앨범을 안낼 동안 카티의 세계관에 갈증을 느낀 이들이 켄칼슨을 찾게 되는 선순환의 예시들이 생각이 들었습니다.
리더를 중심으로 크루형 레이블이 가지는 세계관(브랜드)이 .수동적인 대중들에게 신인이 어필할 수 있는 가장 큰 기회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여
레이블이 아예 회사느낌으로 딱딱하게 바뀌니까 이름모를 신인이 레이블 입단했다고 해도 전혀 관심이 안갔던건 사실인것같음. 근데 KC에 들어오는 신인은 확실이 주목되는걸 보면 본문이 틀린내용은 절대 아닐듯여
저부터 jmin은 카모 life is wet의 짜친 핫가이 정도로 기억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심이 뚝 끊겼더랬죠. 이번 kc의 행보 속에서 jmin 다시 보였고 작업물들을 다시 찾아보게됌
더리플레이와 나즈카도 그 동향에 합류하기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