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명을 얘기하는데 라임론이니
뭐 어쩌니 이런거 다 집어치우고
물론 그게 영향이 없었다는 뜻은 아님
하지만 그런 성취는 이미 이전 앨범에서 이뤘다고 봄
가장 큰 의의는 누명은 단면적이고 표면적으로만 들어나던 앨범의 서사라던지의 유기적 요소의 벽을 무너트렸다는거에 있다고 생각함
누명이란 앨범은 즐기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버벌진트를 둘러싼 드라마적요소에 대한 이해를 우선적으로 필요로하는 매우 작가주의적인 성향을 띄고있음
그런걸 다 스킵하고 그냥 냅다 몇년을 앞선 랩 어쩌고 하면 누명을 현시점에서 접하는 사람 입장에서 띠용스럽게 보일수밖에
맞아요. 1차원적인 내러티브 구성이 중심이였던 한국힙합의 앨범의 개념을 확장시킨 중요한 앨범이였죠. 개인적으로 누명이란 앨범은 저는 단편적으로 즐기기엔 무리가 있는 앨범이라고 봅니다. 누명은 2000년대 버벌진트식 에넥도트 앨범이죠. 예술성이 아주 가미된.
최근 게시글에서 누명을 랩스킬의 발전 이런 대화만 나누고 있어서 놀랐음 ㅋㅋ..
저번에 그런 글에도 댓글 남겼지만..ㅎㅎ 모던라임즈 EP는 현 시대 기준엔 발성 등에서 설익은 면이 있는 앨범이었다 치더라도 익스페리멘탈과 한국말 랩에 있어서 국힙에서 혼자 궤를 달리 하고 있다고 대놓고 증명한 앨범은 역시 무명이죠. 전 지금도 이따금씩 무명이 누명보다 더 미친 앨범이라고 느낄 때가 있슴
혹은 그러한 증명을 목적으로 한 앨범은 아니더라도 작정하고 랩씻 조진 건 사수자리 믹스테잎.
근데 뭐 국힙사에 가장 큰 영항력을 끼친 VJ 앨범이 누명인 만큼 일종의 대표격으로 누명에서의 랩 디자인이 시대초월이었다고 함께 칭송받는다 정도로 이해는 가요. 거기서 누명의 진짜 강점인 유기성과 작가주의에 대한 얘기가 너무 등한시되는 게 안타까울 뿐..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