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작년에 나왔던 앨범 중엔 제이호 로컬스온리랑 창모 ugrs가 제일 좋았습니다.
근데 로컬스 온리같은 경우는 제 취향이 미니멀리즘한 걸 선호해서 정말 취향저격같은 느낌으로 감탄했다면 창모 앨범같은 경우는 정말 제 취향관 정반대에 있는 경우 였는데 그냥 앨범의 모든 부분에서 취향을 뛰어넘은 채 창모라는 아티스트가 저한테 '이게 맞으니까 닥치고 들어' 라고 말하는 듯한 수준의 확신과 야마가 느껴졌습니다. 피를 토하는 듯이 뱉는 랩 스타일이나 부담스러울정도로 과장된 추임새가 처음엔 뭔가싶다가 점점 미친듯이 땡기더라고요.
그래서 그런지 저는 모래시계가 정말 창모의 강한 자기주장이 제일 명확하게 담긴 트랙처럼 느껴져서 제일 많이 듣는 트랙입니다. 처음 나왔을 땐 아쉽단 평이 많았었는데 지금은 다들 어떻게 느끼시나요?
Ugrs가 아쉽단 반응으로 묻히기엔 정말 담긴게 많은 앨범같아서 글 써봤습니다..




태지로 반해서 앨범 전체 들어봤는데 여러 분들이 언급하신 것처럼 트랙들이 중구난방인 느낌이 있어요.
근데 그게 정돈이 안된 느낌이라기보다는 창모의 에너지가 들끓다 사방팔방으로 터져나가는 느낌이라 상당히 재미있게 듣고 있어요.
수십 억 집 한 채가!
전 사운드적으로 너무 좋았어요
자기 음악에 대한 확신이 엄청 강한 아티스트죠
근데 그걸 인정할만한 퀄리티를 뽑아주니 창모 앨범은 믿고 듣습니다
마지막 문장이 정말 공감되네요 아쉽다는 반응으로 묻히기엔 아까운 앨범이에요 진짜
태지로 반해서 앨범 전체 들어봤는데 여러 분들이 언급하신 것처럼 트랙들이 중구난방인 느낌이 있어요.
근데 그게 정돈이 안된 느낌이라기보다는 창모의 에너지가 들끓다 사방팔방으로 터져나가는 느낌이라 상당히 재미있게 듣고 있어요.
수십 억 집 한 채가!
이거 ㅇㅈ하는 느낌이에요 몬가 혈관에서 흐르는 혈액같은느낌
제 취향이 앨범의 유기성보다는 트랙들 하나하나의 가치를 더 소중하게 생각해서
ugrs 를 유독 좋게 들은 경향도 있는거같네요
저도 사운드 엄청 좋게들었고 창모 특유의 음악에 대한 자신감이 앨범에서 많이 느껴지더라구요. 칸예를 따라간다고 행보가 구리다 뭐다하지만 진짜 한국에 칸예가 될 수 있을정도로 국내에서는 평가를 아주 높게 주고 싶은 아티스트에요
ㄹㅇ UGRS가 트랙 배치로 불호인 사람들 많던데
사실 컨셔스랩 앨범도 아닌 이상 유기성 면에서 그 정도로 엄격할 필요도 없다 보고, 무엇보다 그 유기성도 큰 틀은 지켰다 봄
다소 뜬금없다 볼 수 있는 첫번째 트랙 모래시계도 분위기가 바뀌면서 더콰이엇이 'Just one life to live' 하고 끝나고,
뮤비에선 아예 연회장이 폭발하고 페라리를 타고 질주하는 장면도 나옴 그리고 바로 태지랑 이어지는 거
피아노 쪽으로 가고 싶었던, 자신의 계급이 아래라고 무시하고 차버린 여자에 대한 미련을 뒤로 하고 성공한 랩스타로서의 삶을 살게 된 지금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로, 제목부터가 앞뒤로 뒤집을 수 있는 '모래시계'임
그 뒤에 갑자기 무드 자체가 갑자기 딴판으로 돌변하는 트랙들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하이퍼스타 이후로 Hotel Walkerhill의 연장선인 Hotel room, 후회없이 가겠다는 No Regret, 고등래퍼4에서 쓴 멜로디에 우리 아가에게 쓰는 편지의 후속곡인 Supernova까지
유기성 쪽으로도 창모가 제법 신경을 썼구나 하고 느껴서 그 점으로 까이는 건 전혀 이해 안감 물론 사운드적 불호는 있을수도 있단 거 이해하지만
저도 전체적인 앨범 유기성에 대해서 나오는 불만들은 이해가 되지만 부분부분적으로 연달아 들었을 때 오는 카타르시스가 있더라고요 특히 모래시계 - 태지 - rockstarlife 까지 천천히 시동이 걸리면서 쭉 달리는 느낌이 너무 좋았어요.
논리정연하게 잘 쓰셨네요 동감합니다
모래시계 너무 좋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