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잉 붐이 일어나면서 힙합 씬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음악의 결이 많이 달라졌고, 이로 인해 힙합, 알앤비, 팝에 대한 경계가 정말 모호해진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 쇼미에서 나온 회전목마라는 곡을 들으면서 이 생각이 많이 들더라고요.
'래퍼'만이 낼 수 있는 색깔이라기 보다는 아이유, 악뮤 같은 뮤지션들도 충분히, 혹은 더 뛰어나게 소화할 수 있는 곡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들은 힙합의 필수 요소는 무엇이고, 어디까지가 힙합의 경계라고 생각하시나요?




래퍼들이 하는 싱잉랩과 아이유 악뮤 노래의 차이점은 그안에 라임을 얼마나 유려하게 풀어내는가가 요점인것 같아요. 만약 싱잉랩에 라임이 제대로 안박혀있다면 랩 안듣고 그냥 알앤비를 들을것 같아요. 즉 '라임'에 기인한 그루브 형성이 힙합의 경계라고 생각이 듭니다.
음악장르도 많아지고 장르간의 벽도 애매해진 지금은 경계를 나누려는것 자체라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DNA 안에서부터 본능적으로 이건 힙합이라고 느끼는게 바로 힙합 아닐까요?
누군진 기억 안나지만 어떤 아티스트는 힙합 특유의 고개 끄덕임이 느껴지면 된다고 했죠
보컬로이드가 들어온다고 해도 안 놀라울 것 같습니다.
앞으로 그냥 드럼 찍는 방식 중 하나로 남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함.
김콤비가 생각나네요
실제로 코아화이트라고 프로듀서가 보컬로이드로 만든 작업물 있었던 거로 알고 있습니다
래퍼들이 하는 싱잉랩과 아이유 악뮤 노래의 차이점은 그안에 라임을 얼마나 유려하게 풀어내는가가 요점인것 같아요. 만약 싱잉랩에 라임이 제대로 안박혀있다면 랩 안듣고 그냥 알앤비를 들을것 같아요. 즉 '라임'에 기인한 그루브 형성이 힙합의 경계라고 생각이 듭니다.
22
저는 싱잉랩보다 알앤비가 더 끌리네요
저도 사실은 그래요 히히
공감합니다 근데 의외로 아이유나 악뮤도 기본적인 라임은 꼭 쓰더라구요 아이유보고 힙합이라고 하는 농담도 거기서 기인하는듯 ㅋㅋ
많이 늦은 댓글이지만 눈팅하다가 보여서 적어요.
라임은 랩의 기본이라기보다는 리릭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야 아이유 악뮤 정도나 이런 라임을 지키지만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정도만 가도 모든 리릭에 라임은 거의 필수적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이제는 그냥 그 힙합에서 느껴지는 간지만 나면 힙합인듯
아이유 악뮤는 음악은 좋지만 힙합의 간지는 안 느껴짐
유남생~~~??
예아
이제는 힙합의 근본이 없어졌다고 생각되네요
힙합이랑 랩이랑 구분해야된다고 생각하네요... 노래부르면서 문장끝에 라임 하나 붙인다고 힙합은 아니죠 절대..
힙합음악도 여러가지 있지만
대체적으로 애들 처럼 유치하고, 마초적, 허세, 스웨깅 등
이게 가장 힙합이냐 아니냐가 나눠진다고 봅니다
필수 요소라 함은 위에 말한 것과 흑인음악으로서 그루브를 잘 형성하느냐가 중요한거라고 봅니다 라임도 필수고요
이젠 경계가 완전히 무너졌다 생각하고 힙합과 랩뮤직을 구분해야한다 생각해요 라임을 어떻게 풀어가냐에 따라 랩뮤직이될수도있고 그런거겠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