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래퍼든이 쇼미 나가고, 방송 나가는게
언더그라운드 정신을 배신했다
이런 생각들이 오히려 더 고루해 보이네요.
래퍼도 사람이고 먹고살기 위해서 미디어 이용하는 게
범죄도 아닌 이상 충분히 할 수 있죠.
이제 시대가 바뀌었죠. 언제까지 옛날 사고방식대로
'미디어 나가는 건 = 시스템의 노예' 라고 할 건가요?
도끼는 쇼미 나가고 방송 나가도
원래 자기 하던 음악으로 좋은 평가 잘만 받고.
그리고 미디어 나가서 뜬후 대중적인 노래로 인기 얻고
자기 스타일, 원래 하던 음악도 가랑비에 옷젖듯 조금씩 보여주고
대중들이 점차 익숙해지게 하는 게
그나마 실현가능한 타협점이라 보여지네요.
여긴 미국은 아니잖아요? 미국이랑 무조건 똑같이 할 필요 없죠.
언더그라운드 정신을 배신했다
이런 생각들이 오히려 더 고루해 보이네요.
래퍼도 사람이고 먹고살기 위해서 미디어 이용하는 게
범죄도 아닌 이상 충분히 할 수 있죠.
이제 시대가 바뀌었죠. 언제까지 옛날 사고방식대로
'미디어 나가는 건 = 시스템의 노예' 라고 할 건가요?
도끼는 쇼미 나가고 방송 나가도
원래 자기 하던 음악으로 좋은 평가 잘만 받고.
그리고 미디어 나가서 뜬후 대중적인 노래로 인기 얻고
자기 스타일, 원래 하던 음악도 가랑비에 옷젖듯 조금씩 보여주고
대중들이 점차 익숙해지게 하는 게
그나마 실현가능한 타협점이라 보여지네요.
여긴 미국은 아니잖아요? 미국이랑 무조건 똑같이 할 필요 없죠.




사실 요즘은 도대체 '언더그라운드' 라는게 실재하긴 한건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사실 요즘은 도대체 '언더그라운드' 라는게 실재하긴 한건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라고 보는 입장도 이해가 가요
이건거 같은데 뭔차이인지 모르겠음
굳이 말하자면 힙합에서 추구되는 멋의 상당 부분이 탈각되어 버리는 것 같긴 합니다.
제가 엘이분들을 통해서, 그리고 래퍼들을 통해서 본 힙합은 on my way 정신이 정말 강한 것 같은데 그런 음악을 하는 이들이 제작진이 시키는 대로 가슴에 번호표를 단 채 몇 시간이고 줄을 서고, 생각도 안 했던 상대를 억지로 깎아내리려고 디스 배틀을 해야만 했죠. 경연이 하나 끝날 때마다 간택을 기다리며 다시 초조하게 서있고요. 그걸 게임으로 생각하고 즐길 수도 있을테니 이에 대한 판단은 각자 다르긴 할 겁니다.
허나 쇼미가 성공(대중적 인기, 돈벌이)의 등식이 된 상황이다 보니 정작 자신의 음악을 보여주겠다, 힙합이 무엇인지 알려주겠다는 의지를 가진 래퍼들은 많이 없는 것 같단 생각이 들었어요.
미국도 드레이크 같은 래퍼들이 SNL에 나오죠 나쁘게 볼 필요 없음
다만 저기 윗분 말대로 쇼미는 하고 싶은 말을 한다 한들
미디어가 하라는 대로 원하는 대로 해야 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미디어가 하라는 대로 하는 게 뭔 힙합이야"
던말릭 (과 같은 래퍼들)은 이런 생각이 있는 것 같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