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인 바이브도 그렇지만 래핑 방식 자체가 찬스더 래퍼의 2013년 acid rap시절 느낌이 확실히 나네요. 특히 몇년전 올티도 카피때문에 논란이 됐던 good ass intro 가 생각나요.
개인적인 생각에는 헉피도 찬스더래퍼 정도로 일관적이진 않았지만 어느분 말대로 피노다인시절부터 꾸준히 긍정적인 바이브의 음악을 선보였는지라 바이브 자체만으론 '베껴왔다' 라고 규정지을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왜 이게 문제고 카피 논란이 생기느냐?
그건 헉피가 찬스더래퍼의 플로우와 심지어 그의 단어들의 성조? 라고해야하나.. 무튼 비슷한 바이브의 비트에 찬스'만'의 래핑 방식까지 차용해버림으로써 헉피 스스로 같은 바이브의 음악과 아류의 경계를 지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찬스더래퍼의 랩 스타일은 독보적입니다. 그는 오로지 Acid Rap 믹스테입 한개만으로 스무살짜리 고등학교 정학생에서 전국적인 슈퍼 루키의 반열에 오른 래퍼입니다. 한국의 씨잼이 한 일을 동시기에 찬스는 미국에서 해냈단 거죠. 찬스 더 래퍼를 찬양하는게 아닙니다. 이 얘기를 꺼내는 이유는 찬스의 랩 스타일은 단순히 요즘 '핫'한 플로우, '트렌디'한 추임새와는 다른 차원이기 때문입니다. 그건 찬스 혼자만이 연구하고 지금껏 구축해온 그의 정체성이고 한 아티스트의 정체성 이란건 다른 아티스트가 차용했을때 리스너들이 거부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헉피가 작정하고 카피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트를 듣고 가사를 쓰고 녹음을 할때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다른 사람의 스타일이 녹아들었다는것 자체가 그 음악가의 역량의 한계라면 한계겠죠. 그리고 헉피같은 한국 힙합의 베테랑이 그 한계를 보여줬다는게 한국힙합의 팬으로서 안타깝습니다.
음악적 결과물에 대해 온전히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해낸 요소들을 단 1%라도 올리려 노력하는 자세가 정말 위대한 아티스트가 되는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요소들의 비율이 높은 래퍼일수록 리스너들 사이에서 고평가 받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하죠. 헉피뿐 아니라 한국힙합에 몸담고 있는, 혹은 몸담게 될 모든 래퍼들이 부디 이 사실을 깨닫고 노력하여 리스너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음악을 들려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와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네요..사실 이런 글을 한번도 써본적이 없어서 정리해서 쓴다고 쓴건데 혹시라도 두서없이 들렸다면 아량을 베풀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에는 헉피도 찬스더래퍼 정도로 일관적이진 않았지만 어느분 말대로 피노다인시절부터 꾸준히 긍정적인 바이브의 음악을 선보였는지라 바이브 자체만으론 '베껴왔다' 라고 규정지을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왜 이게 문제고 카피 논란이 생기느냐?
그건 헉피가 찬스더래퍼의 플로우와 심지어 그의 단어들의 성조? 라고해야하나.. 무튼 비슷한 바이브의 비트에 찬스'만'의 래핑 방식까지 차용해버림으로써 헉피 스스로 같은 바이브의 음악과 아류의 경계를 지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찬스더래퍼의 랩 스타일은 독보적입니다. 그는 오로지 Acid Rap 믹스테입 한개만으로 스무살짜리 고등학교 정학생에서 전국적인 슈퍼 루키의 반열에 오른 래퍼입니다. 한국의 씨잼이 한 일을 동시기에 찬스는 미국에서 해냈단 거죠. 찬스 더 래퍼를 찬양하는게 아닙니다. 이 얘기를 꺼내는 이유는 찬스의 랩 스타일은 단순히 요즘 '핫'한 플로우, '트렌디'한 추임새와는 다른 차원이기 때문입니다. 그건 찬스 혼자만이 연구하고 지금껏 구축해온 그의 정체성이고 한 아티스트의 정체성 이란건 다른 아티스트가 차용했을때 리스너들이 거부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헉피가 작정하고 카피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트를 듣고 가사를 쓰고 녹음을 할때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다른 사람의 스타일이 녹아들었다는것 자체가 그 음악가의 역량의 한계라면 한계겠죠. 그리고 헉피같은 한국 힙합의 베테랑이 그 한계를 보여줬다는게 한국힙합의 팬으로서 안타깝습니다.
음악적 결과물에 대해 온전히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해낸 요소들을 단 1%라도 올리려 노력하는 자세가 정말 위대한 아티스트가 되는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요소들의 비율이 높은 래퍼일수록 리스너들 사이에서 고평가 받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하죠. 헉피뿐 아니라 한국힙합에 몸담고 있는, 혹은 몸담게 될 모든 래퍼들이 부디 이 사실을 깨닫고 노력하여 리스너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음악을 들려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와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네요..사실 이런 글을 한번도 써본적이 없어서 정리해서 쓴다고 쓴건데 혹시라도 두서없이 들렸다면 아량을 베풀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출처 - 흑인음악 매거진 '힙합엘이' ( http://HiphopLE.com ) (복사 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이런 글들이 많으면 좋은데 요즘 국게님들 너무 감정적이라 볼 때 너무 안타깝습니다...
★ 출처 - 흑인음악 매거진 '힙합엘이' ( http://HiphopLE.com ) (복사 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