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음악

헉피의 카피 논란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간지2017.08.25 05:18조회 수 5330추천수 18댓글 9

전체적인 바이브도 그렇지만 래핑 방식 자체가 찬스더 래퍼의 2013년 acid rap시절 느낌이 확실히 나네요. 특히 몇년전 올티도 카피때문에 논란이 됐던 good ass intro 가 생각나요.

개인적인 생각에는 헉피도 찬스더래퍼 정도로 일관적이진 않았지만 어느분 말대로 피노다인시절부터 꾸준히 긍정적인 바이브의 음악을 선보였는지라 바이브 자체만으론 '베껴왔다' 라고 규정지을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왜 이게 문제고 카피 논란이 생기느냐?

그건 헉피가 찬스더래퍼의 플로우와 심지어 그의 단어들의 성조? 라고해야하나.. 무튼 비슷한 바이브의 비트에 찬스'만'의 래핑 방식까지 차용해버림으로써 헉피 스스로 같은 바이브의 음악과 아류의 경계를 지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찬스더래퍼의 랩 스타일은 독보적입니다. 그는 오로지 Acid Rap 믹스테입 한개만으로 스무살짜리 고등학교 정학생에서 전국적인 슈퍼 루키의 반열에 오른 래퍼입니다. 한국의 씨잼이 한 일을 동시기에 찬스는 미국에서 해냈단 거죠. 찬스 더 래퍼를 찬양하는게 아닙니다. 이 얘기를 꺼내는 이유는 찬스의 랩 스타일은 단순히 요즘 '핫'한 플로우, '트렌디'한 추임새와는 다른 차원이기 때문입니다. 그건 찬스 혼자만이 연구하고 지금껏 구축해온 그의 정체성이고 한 아티스트의 정체성 이란건 다른 아티스트가 차용했을때 리스너들이 거부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헉피가 작정하고 카피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트를 듣고 가사를 쓰고 녹음을 할때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다른 사람의 스타일이 녹아들었다는것 자체가 그 음악가의 역량의 한계라면 한계겠죠. 그리고 헉피같은 한국 힙합의 베테랑이 그 한계를 보여줬다는게 한국힙합의 팬으로서 안타깝습니다.

음악적 결과물에 대해 온전히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해낸 요소들을 단 1%라도 올리려 노력하는 자세가 정말 위대한 아티스트가 되는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요소들의 비율이 높은 래퍼일수록 리스너들 사이에서 고평가 받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하죠. 헉피뿐 아니라 한국힙합에 몸담고 있는, 혹은 몸담게 될 모든 래퍼들이 부디 이 사실을 깨닫고 노력하여 리스너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음악을 들려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와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네요..사실 이런 글을 한번도 써본적이 없어서 정리해서 쓴다고 쓴건데 혹시라도 두서없이 들렸다면 아량을 베풀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고
댓글 9
  • KEITHΛPΞ⊕Best베스트
    5 8.25 05:56
    구린 아티스트들은 자신이 인정받기 위해 다른 이들의 음악을 사용하지 ... 자신만의 목소리를 만들기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이 이미 이뤄놓은 것만 좇아서 따라가는, 그리고는 자신만의 것에서 멀어지는 그런 사람을 말하는 거야. 이런게 힙합씬의 질을 떨어뜨리는 거고. 모두가 Kendrick Lamar가 될 수는 없어. 나처럼 랩을 하라는 게 아니야. 진정한 네가 되는 것. 이렇게 간단한거라고."

    ★ 출처 - 흑인음악 매거진 '힙합엘이' ( http://HiphopLE.com ) (복사 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 8.25 05:47
    양질의 글입니다.
    이런 글들이 많으면 좋은데 요즘 국게님들 너무 감정적이라 볼 때 너무 안타깝습니다...
  • 5 8.25 05:56
    구린 아티스트들은 자신이 인정받기 위해 다른 이들의 음악을 사용하지 ... 자신만의 목소리를 만들기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이 이미 이뤄놓은 것만 좇아서 따라가는, 그리고는 자신만의 것에서 멀어지는 그런 사람을 말하는 거야. 이런게 힙합씬의 질을 떨어뜨리는 거고. 모두가 Kendrick Lamar가 될 수는 없어. 나처럼 랩을 하라는 게 아니야. 진정한 네가 되는 것. 이렇게 간단한거라고."

    ★ 출처 - 흑인음악 매거진 '힙합엘이' ( http://HiphopLE.com ) (복사 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 전 이번곡 좋게 들었는데도 챈랩 생각 나긴 나더라구요ㅜㅜㅜ
  • 8.25 10:03
    헉피가 이제껏 보여준 한국적이라해야할까요? 그런 아이덴티티가 확실하고 퀄도확실히 좋아서 그런부분이 멋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곡은 여러모로아쉽네요. 다시 본인 길을 찾아가면 좋겠음.. 저번 ep진짜좋게 들었는데 이번 곡은 실망이 크네요.,
  • 1 8.25 12:17
    중간에 씨잼비유가 뜬금없는것 빼면 잘읽었습니다. 씨잼은 쇼미더머니때문에 전국구로 뜬거죠. 쇼미 외적으론 주목을 끌지 못하구요
  • 간지글쓴이
    8.25 15:20
    @마이크스웨거3
    음 제 말에 오해의 소지가 있었군요. 전국적이란게 일반 대중까지 포함할 의도는 없었습니다. 사실 그렇게 치면 찬스더래퍼 역시 마찬가지였죠 제가 말하고자 했던 바는 힙합신 내에서의 주목도 였어요. 둘다 2013년에 거의 무명상태에서 낸 믹스테입 하나로 신 전체의 주목을 이끌어냈으니요. 그 공통점 때문에 씨잼 얘기도 넣게 되었던같습니다.무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8.25 15:43
    아 명쾌하다
  • 1 8.25 18:46
    댓글중에 챈랩이 만든 스타일도 아니고 챈랩만 이렇게 하나? 하는 댓글이 몇개 있던데 ㅋㅋ 또 누구 있냐고 물어보면 대답못할 뇌피셜로 쉴드치면.. 더 욕먹입니다.
  • 8.26 03:28
    좋은글이지만 작정하고 베낀게 2000%라고 봅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표절처럼 멜로디빼다박은경우가 무의식적으로 베낀거죠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1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일반 [스압] 저스디스 LIT 선공개곡 정리 + 가사9 title: Kanye West (2023)DEAN TRBL 2025.11.12
화제의 글 인증/후기 국힙 명반 LP로 모으기 : 2025 서레페 편6 title: Kendrick Lamar (4)Blackcreampuff1 8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실시간 진짜 체급차이 느끼신 분12 title: Drake (2)크랙커 2025.11.12
65147 일반 초보랩퍼 LCM이분 타 사이트에서 저격당하고 계시네요52 title: J. Cole (2)머스온더빗호 2017.08.25
65146 일반 창모 아이야 정도면 노래방에서8 라빈 2017.08.25
65145 일반 쇼미의 영향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그래도 근 몇년전부터9 title: Nucksal부적절한 닉네임 2017.08.25
65144 음악 헉피형 이번 신곡 들어보니1 title: Tyler, The Creator (2)더럽exidle 2017.08.25
65143 일반 아 꿈에서 영웨스트가1 title: [E] 2Pac (WC Month)nobodylike 2017.08.25
음악 헉피의 카피 논란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9 간지 2017.08.25
65141 음악 제 음악 들어주세요 ㅎㅎ 프라임타임 2017.08.25
65140 음악 드디어 마일드비츠 3집 발매 예정소식9 title: Kanye WestBossK 2017.08.25
65139 음악 [AUDIO] 크라이베이비(CRYBABY) - I Ain't Got YOU (Prod. CRYBABY)1 태풍 2017.08.25
65138 음악 9피 화보2 title: VULTURES 1TLMoe 2017.08.25
65137 일반 (힙x) 테스토스테론를 소재로한 논쟁을 보고2 메리와맥스 2017.08.24
65136 음악 요즘 들을거 추천좀 해줘요7 title: Mac MillerDi-Recovery 2017.08.24
65135 일반 똘배형님 인터뷰인데 올려봅니다ㅎ10 title: The Notorious B.I.G.LCMPark 2017.08.24
65134 일반 드디어 내일.. 에넥 투어가 시작되네요1 Beachside 2017.08.24
65133 일반 jjk레슨 얼마드나요?2 뷩쥐노우 2017.08.24
65132 음악 APEX - Apex crew (NoAH, Baler boi, YELLO) 단체곡입니다. YeongJAE 20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