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JATONG2024.04.28 20:36조회 수 717댓글 16
비트메이킹이든 랩스킬이든 다 적용해보는걸로 생각하면 맞다고 느끼시나요?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당연히 맞는 말이지만 저 말이 카피의 핑계가 되는 순간 멋이 ㅈㄴ없어짐.
창작은 창작자의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니 맞말
맞말이라 봄 실제로 대부분 아티스트들의 극초기 작품을 보면 몇몇 아티스트의 색이 진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모방 없는 창조는 없습니다
개추 ㅋㅋ
애@미 품에만 있는 마마보이라고 맞받아치면 됩니다
이게 맞다ㅋㅋㅋ
안 걸려야 창조지ㅋㅋㅋ
맞는말
모방의 범주를 어디까지 보는지 따라 달렸죠. 모방한다는 게 무언가에 영향을 받아서 만드는 걸 말하는거지 표절이랑은 다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게 말처럼 쉬운것도 아니고, 이미 있는 것들에서도 영향을 받아 이전과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재창조한다는 의미죠.ㅋ
도둑질은 창조의 어머니다.
이 말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태양 아래에 새로운 건 없다
모방 보다는 영향이라는 느낌이 많은거 같아요. 메종일각에서 수많은 러브코미디가 생기듯
모방과 표절의 경계가 종종 애매하다고 느껴서 그렇지, 저 격언대로 모방 없이 창조는 없죠.
모방이 아니라 '편집'이 창조의 어머니다
라는 말이 현대에는 더 맞다고 생각함
푸코
음악은 12개 음안에서만 놀기 때문에 그 한계가 더 명확하죠.
100프로 새로운걸 만드는거는 절대 불가이지만
그 정도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꺼같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네이버
네이버 밴드
당연히 맞는 말이지만 저 말이 카피의 핑계가 되는 순간 멋이 ㅈㄴ없어짐.
창작은 창작자의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니 맞말
맞말이라 봄 실제로 대부분 아티스트들의 극초기 작품을 보면 몇몇 아티스트의 색이 진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모방 없는 창조는 없습니다
당연히 맞는 말이지만 저 말이 카피의 핑계가 되는 순간 멋이 ㅈㄴ없어짐.
개추 ㅋㅋ
애@미 품에만 있는 마마보이라고 맞받아치면 됩니다
이게 맞다ㅋㅋㅋ
안 걸려야 창조지ㅋㅋㅋ
맞는말
모방의 범주를 어디까지 보는지 따라 달렸죠. 모방한다는 게 무언가에 영향을 받아서 만드는 걸 말하는거지 표절이랑은 다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게 말처럼 쉬운것도 아니고, 이미 있는 것들에서도 영향을 받아 이전과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재창조한다는 의미죠.ㅋ
도둑질은 창조의 어머니다.
이 말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태양 아래에 새로운 건 없다
모방 보다는 영향이라는 느낌이 많은거 같아요. 메종일각에서 수많은 러브코미디가 생기듯
모방과 표절의 경계가 종종 애매하다고 느껴서 그렇지, 저 격언대로 모방 없이 창조는 없죠.
모방이 아니라 '편집'이 창조의 어머니다
라는 말이 현대에는 더 맞다고 생각함
푸코
음악은 12개 음안에서만 놀기 때문에 그 한계가 더 명확하죠.
100프로 새로운걸 만드는거는 절대 불가이지만
그 정도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꺼같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