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의 사회 비판은 컨셔스적 기능을 위한 것보단 배경적 구조물을 묘사하는 작업에 가깝다고 봅니다.
저스디스와 허승이라는 두 자아가 합쳐지는 순간.
태아처럼 세계에 던져지는 순간의 경험.
그걸 강조하기 위해 강조되고 극대화된 세계를 나열하듯 표현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런 묘사를 결론이자 메시지 본체로 의식하는 순간 감상자에게 오류가 생기는 거 같습니다.
메시지를 얻고 답을 내려는 종결욕구가 오히려 감상을 방해하는 거죠.
1~19 트랙과 20번 트랙 사이에는 분명한 공간적 이격이 있습니다.
HOME HOME을 결론으로 받아들이고, 역으로 이전 트랙들을 해석하는 것보다는
두 자아의 디스플레이에서 뛰어내리는 정서적 낙차에 몸을 맡기는 것이 이로운 게 아닌가 싶습니다.




돌고돌고돌고 악
미로 좀 벗어나고 싶네요.. 돌고..돌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