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디스의 최근 행보와 공개되는 곡들의 가사들을 보면서 재밌게도 UMC가 떠오르더라고요. 여전히 UMC가 한국말로 한 녹음물들을 랩으로 생각하진 않지만 가사에 담았던 내용과 그만의 유니크했던 표현들, 높은 수위 측면에서 그렇게 느꼈던 것 같습니다. 게다가 올해 저스디스의 여러 인터뷰 중에 UMC와 대화를 나눴다고 언급한 부분을 듣고 나니 더욱 흥미로웠고요.
불편할 수 있는 사회 문제 및 현상을 적나라하고 고약한 워딩을 통해 다룬다는 점에서 UMC가 힙합을 통해 실현하고 싶었던 것들을 저스디스의 방식대로 펼치는 중인 게 아닌가 싶습니다. 버벌진트를 GOAT로 추앙함과 동시에 UMC의 태도적인(?) 면을 수용한 형태의 한국힙합이라니ㅋㅋㅋㅋ 꼭 이런 포인트들만이 아니더라도 매우 독특한 내용물의 앨범이 나올 것 같아요.
힙합이란 장르이자 문화에 대한 애정어린 고집을 바탕으로 그 틀을 깨고도 무엇이든 시도하고 접목해볼 수 있다는 걸 프로모션과 앨범을 통해 시도한다는 점에서 역대 한국힙합 뮤지션들을 통해서는 경험해보지 못한 무언가를 선사할 것 같다는 기대를 하는 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저스디스의 랩을 엄청 선호한 적은 없지만 현재 보여주고 있는 자신의 지난 행보에 대한 단계적인 큐레이션을 보면서 그가 고집해온 힙합의 형태와 다양한 문화적 시도들에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하게 되더라고요.
삶의 환경으로부터 갖게 된 열등감과 가오와 허세를 인정하고, 여러 경험을 통해 부족했던 사회성을 익히게 되었음을 고백하고, 그가 말하는 '사랑'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음악을 통해 아름다운 것을 찬양함과 동시에 비판(디스리스펙트 측면)을 더욱 자유롭게 할 것이라는 선언을 보면서 저스디스만의 진솔함과 리얼함을 느끼는 중입니다. 그가 몇 년을 공들여 이뤄내는 중인 아트웍의 유니크함과 견고함을 인정하는 지경에 오게 된 것 같아요. 물론 이게 완결이 되려면 앨범이 나와야 되겠지만요.
저스디스의 앨범에 플레이어들도 긴장하고 집중하고 있는 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단순히 트렌디한 음악 장르로만 기능하는 중이었던 힙합이 오랜만에 신선하면서 불편하게 문화적 파장을 일으키는 사건으로 이어지면 좋겠네요.




글 가독성이 좋네요. 이해도 잘 되고요
내 알 바 아냐에서 알빠노로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