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식대학의 따라하기는 무례함까지 가지 않도록 선을 조절 잘함. 풍자 대상에 대한 애정이 느껴져서 깎아내리기보다는 ‘이런 사람 있지’ 하면서 웃고 넘어갈 수 있는 일상적 유머에 가까운 느낌. 배우 김민수나 임키 같이.
뷰티풀 너드의 패러디는 조롱이나 비하처럼 느껴지게 풍자의 선을 넘어서 표현함. 대상을 과도하게 과장하거나 왜곡하면서 웃음유도해서 유쾌한 패러디라기보다는 ‘얘 ㅂㅅ같지 않아?’라는 식의 무례한 흉내처럼 보이는 느낌
게다가 뷰너는 딱봐도 한국 힙합 씬에 관심이 많은게 느껴지고 랩 실력 자체도 뛰어나서 그 점 때문에 디테일은 단순한 풍자를 넘어서 너무 잘 알아서 더 아프게 찌르는 불쾌한 패러디가 됨
거기에 디시화된 유튭 댓글에
래퍼들까는 댓글은 방치하면서 본인들 욕하는 댓글은 삭제하는 음침함까쥐
처음엔 그정도까진 아니였죠 근데 여전히 전 그냥 웃기다고 생각함 댓글들이야 뭐 유튜브에 좋은 댓글이 드물죠 ㅋㅋ
피식대학은 승승장구하다가 영양군 때문에 크게 한번 맞아서 조심할 수 밖에 없음.
맨스티어의 경우는, 사람들이 힙합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그대로 대변한 것임.
사실 힙합하는 사람들을 조금 과장되게 표현한 것도 있긴 하지만, 그런 도를 넘는 짓을 해도
조회수를 못 끌어냈으면 아 이런 애들도 있구나 하고 그냥 웃고 넘어갔을건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이끌어냈음. 그것도 웬만한 래퍼들의 인지도 보다 더.
바로 이점이 힙합을 좋아해온 사람 입장에서 굉장히 아니꼽고 불쾌한 것임.
처음에야 래퍼들 포함 기존 힙합팬들도 쿨한(척) 태도를 보였지만
좀 잘나가니까 자신들이 래퍼인냥 굿즈도 팔고 공연까지 해버리고
AK47인가 5초도 듣기 버거운 구린 랩, 구린 뮤비를 가지고 힙합씬의 일원인거처럼 이미지관리도 하면서부터
개그맨 주제에 넘지말아야 할 선을 넘고나서는 그 모습이 너무 좃구려보여서 그때부터 관심이 꺼지기 시작 했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