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주제의식 예 뭐 중요하기는 하죠
그런데 주제의식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거라면
왜 현대 음악 듣냐구요?
전 그냥 들어도 좋던데요
개인 취향이라는게 다 있는겁니다
영화도 주제의식 즉 쉽게 말해 메세지를 남기는 경우가 대다수죠
하지만 메세지만 남길 거라면 캠페인을 하지 영화를 왜 만들까요?
메세지도 담고 그 메세지를 몰라도 재밌게 만듭니다
메세지라는 것은 재밌을 수록 전달이 잘되거든요
(간혹 메세지만을 전달하기 위한 재밌어서 보는게 아닌 작품도 있긴 함)
음악도 마찬가지죠 주제의식도 담으면 좋아요 좋죠
근데 음악은 베이스가 아무래도 사운드 아니겠어요?
이건 사견이 될 수도 있는데 저는 아무래도 음악에서 젤 중요한 요소는 듣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주제의식으로 듣든 그저 사운드로 듣든 다 사람 취향 아니겠습니까?
더 세게 얘기해서 난 그런 거 신경안쓴다고 빡치는 뮤지션들도, 더 나아가 그런 방향의 예술가들이 별로임.
예술을 소비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왜 지들이 정의하려함? (예시: 5대5시절 저스디스)
제발 남 취향에 왈가왈부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렇지만 저도 이 상황에서는 눈치 껏 행동하자는 스탠스인데요
어차피 제가 듣는 아티스트가 아니었지만
제가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이런 문제를 야기했다면
저는 집에서는 좋아서 듣더라도 뭐라 안 하겠죠
사실 너무 당연한건데 말이죠..
그 사람의 목소리가 좋아서, 사용된 악기가 좋아서, 가사가 공감되서 등등 음악을 듣는 이유는 수도없이 많기 때문에 같은 잣대를 들이대면 안 되죠
사운드도 주제의식이 분리 될 수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런데 설령 그렇다고 하면 오히려
주제의식을 고를 수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나는 이런 부분이 내 마음이야 이런 소리죠
그쵸 ㅋㅋ 사람마다 감상이 다른건데 절대적 진리가 있다는듯이 ..
본문에 적극 동의하지만 리짓군즈 음악이 단순히 사운드가 좋아서 듣는거면 진지하게 이비인후과 가봐야함
전 안듣습니다
“메시지를 원하는가? 그러면 우체국에 가서 전보를 쳐라.”
이게 맞죠 메세지만 강조할거면 영화를 만들 이유가 없습니다 중요한 역할인 것은 사실이지만요
ㄹㅇ 트뤼포 선생님의 개명언
영화도 주제 없는 영화 많죠ㅋㅋ 오히려 주제가 뭐다 이렇게 정의하는 걸 극혐하는 감독도 있어서
맞습니다 결론은 뭐 다 취향이라는거죠
타란티노도 그냥 재밌는 영화를 만들자구요
음악의 본질은 음악 말그대로 듣고 즐긴다는, 청각적 쾌감을 위한 오락의 일종인데
주제의식과 자아표출은 부가적인 영역이지
자꾸 음악에 이것저것 꼬리표를 붙일수록 본질에서 멀어진다 생각함
음악은 듣는거죠
음악을 즐기는 방식은 다양하다지만 어떤 경우에는 차라리 자기계발서나 명언집을 보는 게 낫겠다 싶은 사람들도 있긴 하더라고요.
주제 의식은 수용자 입장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열쇠 중 하나일 뿐 그 자체로 작품의 훌륭함을 측정할 수 없는 거죠.
좀 딴 소리긴 한데 저는 사실 사람들이 '서사'에 과하게 몰두하는 것도 종종 본 것 같아요. 랩의 가사가 스토리텔링에 유리한 것도 사실이지만 결국 가사는 소설의 성격도 있고 시의 성격도 있고 수필의 성격도 있을 텐데 너무 한 쪽에만 쏠리는 것 같달까요. 심지어 내러티브가 음악의 전부도 아닐 텐데 말이죠.
제 친구들도 대부분이 가사위주로 노래를 듣습니다
그래서 외국 음악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얘기도 불과 어제 또 그 이야기 했습니다
저는 반면에 가사를 뱉는 거 조차도 듣는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친구들은 래원 소코도모를 별로라고 하더군요 래원은 가사에 의미가 없어서 그리고 소코는 발음이 뭉게져서
그런데 저는 오히려 래원의 그 말도 안되는 벌스가 귀에 찰지게 꽂히고 소코는 음악도 괜찮게 만들고 있어서 저는 좋다고 느끼는 거였거든요 발음 뭉게진다는 그것도 제 스타일이구요
뭐 결국은 취향이니까 뭐라고 못하기는 하죠
전 칸예가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릅니다
가사 해석 찾아본 적도 없습니다
이 댓글 보고 누가 저한테
으이구 음알못 새끼 라고 하면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넘길 생각입니다
가알못은 뭐 맞을지도 모르겠지만
음알못이라 하면 안되즁!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