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iphople.com/kboard/21042676?comment_srl=21042910#comment_21042910
이전글..
2000년대 중반으로 넘어가며 한국에서는 힙합플레이야 자녹게, 디씨트라이브 뭐 이런 힙합커뮤니티등이 활성화 되기 시작함 이것이 위에서 말한 게토라던지와 같은 한국힙합의 서사적배경으로 구축되기 시작하는데...
이를 주도한 인물이 있었으니 스윙스와 버벌진트
이들은 한국힙합의 대격변을 이끔 랩배틀, 라이밍 여타여러가지로
이전에 본토에서 그들의 무대가 게토였다면 이들의 무대는 인터넷 힙합커뮤니티 현재까지도 흔히들 가사에서 쓰이는 어쩌고 저쩌고 헤이터가 관용구로 자리잡게됨
그러던중 2010년대로 넘어가 가장큰 격변이 시작됨
쇼미더머니의 시작 이는 엄청큰 변화를 불러옴 한국힙합씬의 파이를 키움과 동시에 많은 대중들에게 힙합의 이미지를 각인시킴 스웨깅, 랩배틀 따위 라던지...
그리고또 이를 주도한 지드래곤 일리네어를 통하여 본격적인 한국힙합의 <본토화>를 알림 아직 돈자랑 즉 스웨깅에 거부감이 있던 리스너들은 당연히 이에 대한 불만을 토함
" 지들이 칸예야? 제이지야? 나스야? 뭔데 ? " 그때까지만해도 힙합은 마이너음악에 가까웠고 당연히 그런 비판을 피할수가없었음
하지만 그들은 <쇼미더머니> 를 통하여 자신들의 랩머니를 구체화시키고 한국힙합을 획일화 시킴
하지만 그런 이들도 로컬라이징에는 실패함 본래 한국의 정서는 겸손을 기본으로 하고 물욕을 좋게 취급하지 못하기에 이런 이들도 로컬라이징은 실패함 더하여 게토문화와 비교하자면
도끼는 이전에 데프콘의 디스라던지에 대해 이리 답함 자신은 돈관리 잘하고 열심히 산다 뭐뭐 이런
트랩하우스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돈을 펑펑뿌리며 퇴폐에 취해 사는 모습을 연상하지만 일리네어는 사실 돈 열심히 벌고 랩 열심히 하고 랩머니 일궈내는 성공한 젊은이들에 가까움 게토보단
여튼저튼 쨋든 한국힙합은 스웨깅 문화를 바탕으로 한국힙합의 본토화는 전면화됨
예를 들자면 이시점부터 서울홍대, 대구 , 부산등을 배경으로 본토의 웨싸웨싸거리는거마냥 이들도 자신들의 출신지를 내세우기 시작함
심지어 창모는 자신의 출신지인 덕소리를 할렘가에 빗대어 자신이 그곳에서 살아온 삶을 음악에 투영시킴
이와같이
창모의 덕소는 게토에서 느끼는 어둠이 아닌 대한민국의 작은 변두리출신이 느끼는 미묘한 열등감과 성공해야한다는 압박감에서 많은이들의 공감을 얻어내고
스윙스, 버벌진트의 공격적인 면모는 하나의 캐릭터로써 마치 wwe의 캐릭터와 같이 많은이들에게 흥분을 유도함
이런식으로 래퍼들은 한국힙합의 본토화와 로컬라이징을 일궈감
그렇게 현재까지도 한국힙합의 로컬라이징은 더디지만 천천히 이어가고있는중임
이와같은 시대를 모두 겪은 언오피셜보이의 가사를 빌려보자면
" 리스너들이 말하길
미국 힙합 개간지 but
국힙은 에바지
그래 그래 내 말이 "
" 왜 하면 안 돼 흑인 흉내
흑인 음악 흑인 문화가 준게
꿈과 열정 삶의 이유라 그래
98년도에 태어났는데
90년도의 노랠 틀어서 그래
너네가 안다고 아냐 아는 게
너네가 한다고 아냐 맞는 게
똑같지 못하단 게 분해
뭔가가 다르네 옳은 게 돼
크나큰 문제 "
이와같은 시점으로 현재를 바라봄 힙합은 본래 미국에서 비롯된것이고 블랙뮤직 위에서 말한것들은 모두 이것의 정체성을 나타냄
그들의 삶은 흑인음악 흑인 문화를 배우며 자란것 그것을 본인들의 방식으로 투영한것
흑인들이 본인들의 삶을 투영한것과 같이 현시대를 살아가는 래퍼들도 그들이 보고 배우고 느낀 문화를 삶에 투영하는것에 불과하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예술을 위한 예술.
인생을 위한 예술.
사람의 삶의 방식에 있어 가르침을 주고 사회를 향상시키는 예술, 인생을 유익하게 하는 것이야말로 예술의 존재 의의가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다 하지만 위와같은 배경서사를 가진 힙합은
도덕 사회적억압등에 벗어나 미 외 기타의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라 미를 유일한 목적으로 하여 오로지 그것만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둘중 어느것이 정답일까?
혹은 힙합이 꼭 진짜여야할까? 힙합도 창작예술인데? 영화만화따위등과 같이 받아들여지면 안되는걸까? 혹은 발라드등과 같이 그냥 창작문학으로 생각하고 받아들일순 없나 생각하기도 한다, 글이 길어져 마무리함.
두서없이 급하게 쓰다보니 글이 어수선하고 의미없는 헛소리나 짓껄인것 같지만 여기까지 읽어준이들에게 감사를 표함.




로컬라이징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 본토의 맛은 본토의 맛이고, 한국힙합에서만 찾을 수 있는 그런 맛이 조금씩 더 필요하다고 저도 생각하네요. 흑인음악이 포함한 정신을 계승하며 말이죠 ㅎㅎ 그렇다고 해서 완전 본토만을 따라가기에는 벅찬 것 같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
이런 점에서 최근 발매된 비앙손심바의 '전설' 이 특별한 것 같아요
분명 힙합적인 느낌이 나는데 동시에 한국적인 느낌도 같이 나더라고요
그리고 힙합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과시', '자부심'이 전설이라는 단어로 잘 표현된 것 같아 좋았어요
한국힙합은 한국힙합일 필요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로컬라이징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 본토의 맛은 본토의 맛이고, 한국힙합에서만 찾을 수 있는 그런 맛이 조금씩 더 필요하다고 저도 생각하네요. 흑인음악이 포함한 정신을 계승하며 말이죠 ㅎㅎ 그렇다고 해서 완전 본토만을 따라가기에는 벅찬 것 같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그렇게 현재까지도 한국힙합의 로컬라이징은 더디지만 천천히 이어가고있는중임'
전체적으로 공감합니다
현지화가 되긴 했는데 아직 어중간하고 불완전해서 모순이나 위화감도 꽤 있고... 불쾌한 골짜기같은 느낌
맞아요 ㅋㅋ 딱 그 느낌이죠 힙합에 친숙하지못한 사람들은 오죽하겠어요
이런 점에서 최근 발매된 비앙손심바의 '전설' 이 특별한 것 같아요
분명 힙합적인 느낌이 나는데 동시에 한국적인 느낌도 같이 나더라고요
그리고 힙합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과시', '자부심'이 전설이라는 단어로 잘 표현된 것 같아 좋았어요
한국힙합은 한국힙합일 필요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로컬라이징이 두 글에서 주요 주제인데, 이거 외에도 힙합이 한국에 영향을 준 것도 고려해봐야 할 듯. 힙합이 인기 없을 땐 힙합을 한국 문화에 맞추는 로컬라이징이 필요했다면, 버벌 스윙스 일리네어의 영향과 쇼미더머니로 인한 파이 증가로 인해 힙합이 맞춰주기만 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그냥 받아들여(get familliar 스윙스 톤으로)" 자리로 올라감. 힙합과 한국이 일방통행이 아니라 상호 간 영향을 주고 받음.
본문에서 말하고자했던걸 이렇게 ㅋㅋ 감사합니다
까놓고 얘기해서
일리네어나 오버클래스 지드래곤이 반발받는거는 접근 방식이 존나게 잘못됐기 때문임
미국걸 들여오려면 스웨깅을 위시한 '자기 자랑'이 주제여야 하는데
얘네들이 가사를 쓰는 방식은 '자기 자랑'보다
'남을 까는 것, 타인 비하'에 더 특화되있어서 반발감이 심했던거임
지금와서야 자연스럽게 로컬라이징 되어가고 있지만
인터넷 찐따 같은 애티튜드를 본인들이 먼저 가사에서 써제낀 주제에
2.5세대들이 한국힙합에 악영향 존내 끼쳣음
왓더 퍽 요즘 같은 힙합씬에 너무 공감이 가는 글입니다 . 개인적으로 앞으로 어떤 신인이 나올지 저걸 계속 이어갈지 아님 한국의 힙합정서를 바꿀 래퍼가 나올지 매우 궁금해지네요
이거 존나 힙합이네요 추천박고갑니당
근데 머니스웨깅 가사랑 트랩의 클리셰를 먼저 가져온건 오케이션 아님??? 탑승수속이 아직까지 명반 취급 받는 이유.. 오히려 일리네어는 그때 당시에는 빈지노 빼고는 진부하다는 평이 많았는데 지금 일리 없어지니까 과대평가 받는 느낌 본인 생각이지만 1111은 탑승수속을 기점으로 와랄라 쏟아지는 트랩씬에서 뭔가 차별화되는 특징 없이 트랩의 클리셰 그 자체로 랩 한 느낌임 근본이라고 불리기엔 탑승수속처럼 아싸리 먼저하지도 않았고 특별하다기엔 너무 진부했음
맞아요 하지만 오케이션은 돈못벌면 뒤질래, 나 죽고나서 쉴게 라던지로 연상되는 오케이션의 대표적인 라인에서처럼 오케이션이 영향을 끼친부분은 " 허슬 " 에 더 가까운거같아서 트랩그자체도 물론있지만 머니스웨깅하면 흔히들 연상하는건 일리네어와 지드래곤이니 보다 보편적인쪽으로 예를 들어봤어요
아하 그렇긴 하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