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를 위해 음슴체 양해좀
오늘 인기글을 보고 생각이 많아졌음
흔히들 유튜브 댓글, 타 커뮤니티를 보면 힙합에대한 인식에서 빼놓을수없는게 있음
미국힙합은 리얼갱이니 한국힙합은 인스타갱이니... 힙합은 늘 화나있고 돈여자마약얘기를 빼면 가사를 쓸수가 없다느니..
왜 그런지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봤음
스웨깅 문화와 힙합의 마초적성향을 띈 문화는 게토, 거리에서 비롯됨
맥도날드도 장사 시작할 때 시장조사하고 각 나라에 맞게바꾸는 마당에 한국은 게토며 스트릿이며 그런 문화가 전혀 없다싶이함 현시점에서
그에따라 블랙뮤직의 서사적배경 그것을 구현하는데에 있어 흠이 생기는건데
이에따른 로컬라이징이 필요함
그러면 여기서 질문이 나옴 "씨발, 힙합은 자유 아냐?"
전혀 랩은 가사를 쓰는데 있어 라임이란 제약도 붙는 마당에 로컬라이징이라고 못할게 없음
사실 이러한 로컬라이징은 한참 전 세대인 mp,소울컴퍼니 뭐뭐뭐 흔히들 말하는 1 2세대 시절부터 시작됨
피노다인의 누구를위하여종은울리나 라던가 키비의 여타곡들이라던지 자신의 자전적이야기, 사랑 , 삶 , 학창시절 등등 한국에서 살아가는 이들 모두 공감을 얻을수있는 보편적인 주제로 로컬라이징 해감
하지만 또 대중들이 힙합하면 빼놓을수없는 저항정신
서태지, dj doc등이 로컬라이징하여 대중들의 뇌에 힙합은 자유정신 저항정신이다라는것이 깊이 박혔는데
이전에 n.w.a가 보여줬던 퍽더폴리스라던지 와 같이 억압된 사회에서 벗어나려는 자의식을 보임
그러던중 2000년대 중반으로 넘어가며 한국에서는 힙합플레이야 자녹게, 디씨트라이브 뭐 이런 힙합커뮤니티등이 활성화 되기 시작함 이것이 위에서 말한 게토라던지와 같은 한국힙합의 서사적배경으로 구축되기 시작하는데...
글이 길어져 다음에 이어서 쓰도록하겠음




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 맞는 말인데 어떻게 이어질지 상상도 안가네,,,
급하게 쓰다보니 글이 어수선한감이 있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화가 기대되네요 개추박고갑니다
아니 여기서 다음화를…?
시원한 글일 것 같네요
여담이지만 '미국래펀 인스타갱 없다며 트위터는 안봄'
이라는 말을 알아줬으면 좋겠네요 사람들이.
트위터에서 장난아닌거 전세계적으로 유명한데 말이죠
끊는 타이밍이 ㅋㅋㅋㅋ
바로 이어썼어영 ㅜ
시리즈물이었다니.. 다음 편 기다립니다..
https://hiphople.com/kboard/21043263 썼어요 ㅜ
사실 댓글 쓰고 보니 있길래 바로 읽었어요 ...ㅎ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