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기획사들한테 캐스팅되고 연습생 생활 거쳐서 데뷔한 아이돌들한테 나는 그런 도움 같은 거 못 받고 혼자 올라왔다고 강조한다거나
끼는 없는데 얼굴 믿고 유명해진 연예인들을 두고 쓴 가사인가요?
유머 짤 중에 래퍼들이 밑바닥부터 올라왔다는데 당연한 소리를 한다는 듯이 비아냥 섞인 댓글이 유명한 걸로 아는데
생각해보니까 진짜 이유가 궁금하네요.
언제나 말하듯 저는 까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생각해보니 '어, 진짜 왜 쓰지?' 궁금해져서요.
힙합에서 쓰이는 장르적인 문법이라고 보시면 될 듯
From the bottom to the top은 힙합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지요
난 미래가 없는 게토에서 자랐고, 랩으로 이렇게 성공했다
일종의 스웨깅일수도 있고, 게토 출신을 밝히는거일수도 있고
여러가지 의미가 있을것 같네요
그냥 자기애같음 성공하고나서 쓰고 싶은말아닐까싶어요
From the bottom to the top은 힙합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지요
난 미래가 없는 게토에서 자랐고, 랩으로 이렇게 성공했다
일종의 스웨깅일수도 있고, 게토 출신을 밝히는거일수도 있고
여러가지 의미가 있을것 같네요
멋있잖아요 가진 것도 없이 힘들게 살아왔는데 내가 죽어라 노력해서 일궈낸걸 자랑하면 멋있게 느껴지니깐 그런거죠 아이돌을 노리고 그런 가사를 쓰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네요
동의합니다 bottom to the top..멋있자나요
힙합에서 쓰이는 장르적인 문법이라고 보시면 될 듯
최고의 설명
애초에 국힙은 외힙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아요
외힙에는 진짜 총쏘고 마약팔고 하던 흑인 슬럼가에서 부터 올라온 래퍼들이 많았고 Came from the bottom이라는 말이 일종의 유행어처럼 쓰였는데 그게 국내 힙합에도 영향을 끼친거죠
자부심이죠
왜 누굴 공격한다는 맥락으로 해석을 할까요?
아이돌이든 래퍼든 사람이면 본인이 일구어낸 것에 자부심은 누구나 가지는 것인데 그걸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이고 그것에 멋과 매력을 느끼는 것 또한 인간의 자연스런 속성인데
자수성가가 힙합이란 장르의 중요한 포인트인건 이미 자명한 사실이지 않나요
인맥빨, 미디어빨 없이 실력으로 왔다는 의미
걍 스스로 개뿌듯하고 뽕차올라서 쓰는덧
힙합은 뉴욕시 중에 가장 가난한 동네인 브롱스의 한 오락실에서 열린 파티에서 탄생했습니다.
참고로 브롱스는 최악의 치안으로 유명한 할렘보다 더 심각한 범죄도시였습니다. 자세한 상황을 얘기하기에는 너무 길어지니, 관련 검색을 해보시길 추천드리고요.
여튼 이 역사적인 파티마저 힙합의 아버지인 쿨허크의 여동생이 새 옷을 사기 위해 돈을 벌려고 만든 행사였습니다.
이렇듯, 힙합은 빈민촌에서 탄생한 문화였기에 가난한 흑인들의 당시 생활상이 깃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오죽하면 힙합이 본격적으로 태동하던 20세기 말, 흑인이 가난에서 벗어나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농구스타가 되거나, 힙합 뮤지션이 되거나"라는 말이 있었을까요.
아울러, 한국 힙합은 본토의 영향권 아래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 문화를 '따라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된 문화니까요.
자수성가의 의미로 쓰이는거같은데 걍...근데 사람들이 조롱한다고 누군 천장에서 내려오냐는 밈으로 써서 좀 가볍게 보이는듯
이미 국내에서 힙합이 유행하고 아이돌이 유행하기 전부터 저런 구절은 본토에서부터 꽤나 많았는데
걍 자부심이나 스웨깅같은 느낌인데 갠적으로 괜찮은 집안에서 크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까지 나온 사람들이 밑바닥에서 왔다 이러는건 별로
그런사람들을 동경하니까
그런 가사를 쓰면서 내가 진짜 밑바닥에서 노력해서 올라왔다 라는걸 표현하기도 하고, 또 노력해라 너도 할 수 있다라는 메세지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런 가사들 때문에 힙합을 듣고, 위로받고 용기를 얻습니다
소년 만화 주인공 성장 클리셰 같은 장르 내의 문법입니다.
아이돌 정점 지디야 말로 자수성가의 끝판왕임
힙합이 아니라도 자수성가는 누가봐도 멋지죠
그걸 가사에 끌어오는것 뿐
일반적으론 저격의 의미는 절대 아님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이런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도 대단하다
그냥 자기가 열심히 살았다는 뜻 아닌가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