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래퍼들을 듣고 자란 세대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어요. 요새는 진짜 다 랩을 잘하니까요. 플로우면에서 가사면에서 음악적인 면에서 그 어느면에서나 한국힙합이 미국힙합에 뒤지지 않거든요.
근데 마스터플랜 시대나 솔컴시대의 사람들은 버벌진트가 GAME CHANGER라는 걸 부정할 수 없을거에요.
버벌진트 이후로 진짜 '랩'이 한국에 번역됬어요. 번역이라는 말을 쓴 이유는 당시에 버벌진트가 무명을 낼 때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그루브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외국어처럼 귀에 안 들리는거에요. 힙플 게시판에서는 ' 랩에서 그루브가 뭐야?'라면서 논쟁이 한바탕 일어나곤 했었죠. 미국 래퍼들의 플로우를 이해하지 못해서 외국힙합을 안듣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외국어처럼 귀가 해석을 못하는거에요.
당시에는
그냥 말 빠른 랩, 적당히 괜찮게 들리는 톤으로 조약한 플로우짜서 하는 랩, 그냥 감성으로 호소하는 랩 등이 판을 치고 나름 인정을 받았죠. 그 대표가 붓다베이비, 스나이퍼사운드 쪽 랩퍼들이었고
버벌진트는 그게 못마땅했는지 저런 랩을 분간못하고 빨아재끼는 리스너를 막귀라고 비하하고 자신에게 되려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리스너들을 수준이하의 지진아라고 디스합니다. 그래서 나온 앨범 '무명'
이런 사건들 때문에 취향VS막귀 논쟁, 황금귀 논쟁 등등 여러 단어들이 탄생했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재밌네요ㅋㅋ
버벌진트 때문에 한국힙합의 랩이 청각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본토래퍼들의 플로우에서 느끼는 그 느낌 그대로를 번역했고 아티스트로서 자신만의 색을 입혔어요.
버벌진트가 한국랩 플로우가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챈 것도 대단하지만(거의 계시임) 그걸 총대매고 바꾸겠다고 스나이퍼한테 맞을 뻔하고 DM한테 맞을 뻔하고 조피디 디스하고 리스너한테 욕먹는 등 여러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진짜 선구자이자 GAME CHANGER에 걸맞는다고 생각합니다!!(당시에 제대로 랩하던 다듀, 에픽, 솔컴, 덷피, 딥플로우 등등 걸출한 래퍼들이 있었지만 누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덤볐었나요? 그런 의미에서 버벌진트는 한국힙합의 모세입니다.)
그가 아니었다면 아직까지도 게시판에 '제가 이해한게 그루브가 맞나요?' '투포리듬이 뭐죠?' '라임은 스네어에만 박아야 하나요?' 같은 걸로 맨날 키워들이 혈투하는 장관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전 스윙스도 그렇고 리스너들에게서나 이 인터뷰에서마저 게임 체인저 얘기 나올 때 오로지 모던 라임즈만 파고드는 게 조금 아쉽다고 해야하나..
무명-누명이 단순히 앨범 퀄리티로만 뛰어났던 게 아니라 그 앨범들도 모던 라임즈 만큼이나 이 게임의 판을 완전 뒤집어 놓은 역사적인 작품이라 생각해요.
모던 라임즈가 한국에서 제대로 랩하는 방법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줬다면 누명은 씬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생각하고, 실제로 지금 씬이 누명이 제시한 그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보고요.
요새 래퍼들을 듣고 자란 세대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어요. 요새는 진짜 다 랩을 잘하니까요. 플로우면에서 가사면에서 음악적인 면에서 그 어느면에서나 한국힙합이 미국힙합에 뒤지지 않거든요.
근데 마스터플랜 시대나 솔컴시대의 사람들은 버벌진트가 GAME CHANGER라는 걸 부정할 수 없을거에요.
버벌진트 이후로 진짜 '랩'이 한국에 번역됬어요. 번역이라는 말을 쓴 이유는 당시에 버벌진트가 무명을 낼 때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그루브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외국어처럼 귀에 안 들리는거에요. 힙플 게시판에서는 ' 랩에서 그루브가 뭐야?'라면서 논쟁이 한바탕 일어나곤 했었죠. 미국 래퍼들의 플로우를 이해하지 못해서 외국힙합을 안듣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외국어처럼 귀가 해석을 못하는거에요.
당시에는
그냥 말 빠른 랩, 적당히 괜찮게 들리는 톤으로 조약한 플로우짜서 하는 랩, 그냥 감성으로 호소하는 랩 등이 판을 치고 나름 인정을 받았죠. 그 대표가 붓다베이비, 스나이퍼사운드 쪽 랩퍼들이었고
버벌진트는 그게 못마땅했는지 저런 랩을 분간못하고 빨아재끼는 리스너를 막귀라고 비하하고 자신에게 되려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리스너들을 수준이하의 지진아라고 디스합니다. 그래서 나온 앨범 '무명'
이런 사건들 때문에 취향VS막귀 논쟁, 황금귀 논쟁 등등 여러 단어들이 탄생했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재밌네요ㅋㅋ
버벌진트 때문에 한국힙합의 랩이 청각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본토래퍼들의 플로우에서 느끼는 그 느낌 그대로를 번역했고 아티스트로서 자신만의 색을 입혔어요.
버벌진트가 한국랩 플로우가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챈 것도 대단하지만(거의 계시임) 그걸 총대매고 바꾸겠다고 스나이퍼한테 맞을 뻔하고 DM한테 맞을 뻔하고 조피디 디스하고 리스너한테 욕먹는 등 여러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진짜 선구자이자 GAME CHANGER에 걸맞는다고 생각합니다!!(당시에 제대로 랩하던 다듀, 에픽, 솔컴, 덷피, 딥플로우 등등 걸출한 래퍼들이 있었지만 누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덤볐었나요? 그런 의미에서 버벌진트는 한국힙합의 모세입니다.)
그가 아니었다면 아직까지도 게시판에 '제가 이해한게 그루브가 맞나요?' '투포리듬이 뭐죠?' '라임은 스네어에만 박아야 하나요?' 같은 걸로 맨날 키워들이 혈투하는 장관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산물이라고 하니깐 또 생각나는데
버벌진트가 괜찮게 보던 사람들이 잘된 경우도 많은거같아요. 스윙스 산이는 말할것도 없고, 이센스는 이미 뜬 상태라고 쳐도 무명 누명 둘다 피처링 끼워넣기도했었고, 솔컴중에 교류꾸준히 있다싶던 더콰는 그때보다 훨씬 거목이됐고, 빈지노도 완전 무명이던 시절부터 꼴라주에 참여시키고 굿다이영부터 고이지0.5까지 피처링 또 꽂아넣었었고, 지코랑도 종의기원에서 같이한 인연이 있고 오케이션도 지금에비해선 인지도 굉장히 후달리던 우아한년 피처링까지... 물론 오버클래스의 수많은 나머지멤버들도있으니 너무 끼워맞추기일까요?ㅋㅋㅋ 암튼 저는 버벌진트 노래 들으면서 관심갖게 된 래퍼들이 현시점에서 엄청 큰인물이 됐다고 생각해왔어요
요새 래퍼들을 듣고 자란 세대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어요. 요새는 진짜 다 랩을 잘하니까요. 플로우면에서 가사면에서 음악적인 면에서 그 어느면에서나 한국힙합이 미국힙합에 뒤지지 않거든요.
근데 마스터플랜 시대나 솔컴시대의 사람들은 버벌진트가 GAME CHANGER라는 걸 부정할 수 없을거에요.
버벌진트 이후로 진짜 '랩'이 한국에 번역됬어요. 번역이라는 말을 쓴 이유는 당시에 버벌진트가 무명을 낼 때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그루브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외국어처럼 귀에 안 들리는거에요. 힙플 게시판에서는 ' 랩에서 그루브가 뭐야?'라면서 논쟁이 한바탕 일어나곤 했었죠. 미국 래퍼들의 플로우를 이해하지 못해서 외국힙합을 안듣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외국어처럼 귀가 해석을 못하는거에요.
당시에는
그냥 말 빠른 랩, 적당히 괜찮게 들리는 톤으로 조약한 플로우짜서 하는 랩, 그냥 감성으로 호소하는 랩 등이 판을 치고 나름 인정을 받았죠. 그 대표가 붓다베이비, 스나이퍼사운드 쪽 랩퍼들이었고
버벌진트는 그게 못마땅했는지 저런 랩을 분간못하고 빨아재끼는 리스너를 막귀라고 비하하고 자신에게 되려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리스너들을 수준이하의 지진아라고 디스합니다. 그래서 나온 앨범 '무명'
이런 사건들 때문에 취향VS막귀 논쟁, 황금귀 논쟁 등등 여러 단어들이 탄생했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재밌네요ㅋㅋ
버벌진트 때문에 한국힙합의 랩이 청각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본토래퍼들의 플로우에서 느끼는 그 느낌 그대로를 번역했고 아티스트로서 자신만의 색을 입혔어요.
버벌진트가 한국랩 플로우가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챈 것도 대단하지만(거의 계시임) 그걸 총대매고 바꾸겠다고 스나이퍼한테 맞을 뻔하고 DM한테 맞을 뻔하고 조피디 디스하고 리스너한테 욕먹는 등 여러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진짜 선구자이자 GAME CHANGER에 걸맞는다고 생각합니다!!(당시에 제대로 랩하던 다듀, 에픽, 솔컴, 덷피, 딥플로우 등등 걸출한 래퍼들이 있었지만 누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덤볐었나요? 그런 의미에서 버벌진트는 한국힙합의 모세입니다.)
그가 아니었다면 아직까지도 게시판에 '제가 이해한게 그루브가 맞나요?' '투포리듬이 뭐죠?' '라임은 스네어에만 박아야 하나요?' 같은 걸로 맨날 키워들이 혈투하는 장관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전 스윙스도 그렇고 리스너들에게서나 이 인터뷰에서마저 게임 체인저 얘기 나올 때 오로지 모던 라임즈만 파고드는 게 조금 아쉽다고 해야하나..
무명-누명이 단순히 앨범 퀄리티로만 뛰어났던 게 아니라 그 앨범들도 모던 라임즈 만큼이나 이 게임의 판을 완전 뒤집어 놓은 역사적인 작품이라 생각해요.
모던 라임즈가 한국에서 제대로 랩하는 방법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줬다면 누명은 씬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생각하고, 실제로 지금 씬이 누명이 제시한 그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보고요.
그리고 형 정도 위치면 스윙스 이상으로 자뻑해도 돼
요새 래퍼들을 듣고 자란 세대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어요. 요새는 진짜 다 랩을 잘하니까요. 플로우면에서 가사면에서 음악적인 면에서 그 어느면에서나 한국힙합이 미국힙합에 뒤지지 않거든요.
근데 마스터플랜 시대나 솔컴시대의 사람들은 버벌진트가 GAME CHANGER라는 걸 부정할 수 없을거에요.
버벌진트 이후로 진짜 '랩'이 한국에 번역됬어요. 번역이라는 말을 쓴 이유는 당시에 버벌진트가 무명을 낼 때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그루브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외국어처럼 귀에 안 들리는거에요. 힙플 게시판에서는 ' 랩에서 그루브가 뭐야?'라면서 논쟁이 한바탕 일어나곤 했었죠. 미국 래퍼들의 플로우를 이해하지 못해서 외국힙합을 안듣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외국어처럼 귀가 해석을 못하는거에요.
당시에는
그냥 말 빠른 랩, 적당히 괜찮게 들리는 톤으로 조약한 플로우짜서 하는 랩, 그냥 감성으로 호소하는 랩 등이 판을 치고 나름 인정을 받았죠. 그 대표가 붓다베이비, 스나이퍼사운드 쪽 랩퍼들이었고
버벌진트는 그게 못마땅했는지 저런 랩을 분간못하고 빨아재끼는 리스너를 막귀라고 비하하고 자신에게 되려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리스너들을 수준이하의 지진아라고 디스합니다. 그래서 나온 앨범 '무명'
이런 사건들 때문에 취향VS막귀 논쟁, 황금귀 논쟁 등등 여러 단어들이 탄생했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재밌네요ㅋㅋ
버벌진트 때문에 한국힙합의 랩이 청각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본토래퍼들의 플로우에서 느끼는 그 느낌 그대로를 번역했고 아티스트로서 자신만의 색을 입혔어요.
버벌진트가 한국랩 플로우가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챈 것도 대단하지만(거의 계시임) 그걸 총대매고 바꾸겠다고 스나이퍼한테 맞을 뻔하고 DM한테 맞을 뻔하고 조피디 디스하고 리스너한테 욕먹는 등 여러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진짜 선구자이자 GAME CHANGER에 걸맞는다고 생각합니다!!(당시에 제대로 랩하던 다듀, 에픽, 솔컴, 덷피, 딥플로우 등등 걸출한 래퍼들이 있었지만 누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덤볐었나요? 그런 의미에서 버벌진트는 한국힙합의 모세입니다.)
그가 아니었다면 아직까지도 게시판에 '제가 이해한게 그루브가 맞나요?' '투포리듬이 뭐죠?' '라임은 스네어에만 박아야 하나요?' 같은 걸로 맨날 키워들이 혈투하는 장관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버벌진트가 괜찮게 보던 사람들이 잘된 경우도 많은거같아요. 스윙스 산이는 말할것도 없고, 이센스는 이미 뜬 상태라고 쳐도 무명 누명 둘다 피처링 끼워넣기도했었고, 솔컴중에 교류꾸준히 있다싶던 더콰는 그때보다 훨씬 거목이됐고, 빈지노도 완전 무명이던 시절부터 꼴라주에 참여시키고 굿다이영부터 고이지0.5까지 피처링 또 꽂아넣었었고, 지코랑도 종의기원에서 같이한 인연이 있고 오케이션도 지금에비해선 인지도 굉장히 후달리던 우아한년 피처링까지... 물론 오버클래스의 수많은 나머지멤버들도있으니 너무 끼워맞추기일까요?ㅋㅋㅋ 암튼 저는 버벌진트 노래 들으면서 관심갖게 된 래퍼들이 현시점에서 엄청 큰인물이 됐다고 생각해왔어요
근데 한창 때 노도, 웜맨같은 래퍼들 개성있다며 밀어줬던 거 보면 또 마냥 그런 것만 같진 않음
이후 의미있는 커리어를 더 쌓지 못해 추억 저 편으로 간 UMC, 진말페, 다크루, 제이독, 조PD(이쪽은 이후 사이가 원만해졌지만) 등도 있고요ㅋㅋ 괜히 역사의 간지에서 “여기서 질문, 지금 누가 살아남아있어?” 가 소름돋는 구절이 아님
늘 느끼는 건데 VJ는 못하는 래퍼를 잘한다고 추켜세우는 경우는 있어도 잘하는 래퍼를 죽어라 까는 경우는 없었던 거 같아요. 조PD와의 경우에도 그렇게 죽어라 서로 디스전 한 직후에도 친구여 냈을 땐 곡 잘만들었다며 인정해주고 그랬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