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탱클랜 최악의 악동이 선보이는, 힙합 역사상 두번 다시 나올 수 없는 서슬퍼렇고도 유일무이한 스타일의 완성.
비트부터 랩, 그 모든 것이 지저분함과 난잡함의 끝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 앨범은 그야말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예술적인 혼돈이다.
술빨은 살바도르 달리의 초현실주의적인 악몽을 힙합으로 바꾸면 이런 모습이 되지 않을까.
2. 힙합 프로듀서들 중에서도 내로라하는 재즈 애호가 그 자체인 매들립.
이 앨범은 그 매들립이 재즈의 본좌와도 같은 레이블 '블루 노트' 와 그 소속 아티스트한테 보내는 일종의 찬사 및 러브레터와도 같다.
각 원곡의 서정적인 매력을 최대한 살리면서 매들립 본인의 그루브를 섞은 리듬감 충만한 프로듀싱은 재즈와 힙합 그 사이에서의 기묘한 줄타기를 리스너들한테 선보인다.
특히 원곡과 비슷하면서 전혀 결이 다른 느낌을 드러내는 'Distant Land' 와, 감성적인 원곡을 찐득하고 제이딜라스러운 로맨틱한 힙합으로 탈바꿈시킨 'Please Set Me At Ease'는 이 앨범의 별미 중 하나.
아오 쓰고나니 더럽게 현학적이네
둘 다 최소 A급 앨범들이니 다들 ㄱㄱ
개츠
설명이 개추네요 그냥 들어보겟습니다
현학적이네요. 둘 다. ㅐ정하는 앨범들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