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합듣는사람들이 자전적이고 사회문제를 지적하는 가사를 높게 쳐주고 근본이라고 하잖아요
근데 힙합에 뿌리는 파티음악이고
그런 파티음악은 천박하거나 아무 의미없는 가사를 쓰는게 잘못된게 아니고 오히려 이게 근본인데
왜 사람들은 자전적이야기의 가사를근본이라하고
천박하거나 의미없는내용의 가사를 비난할끼요?
궁금행ᆢ
근데 힙합에 뿌리는 파티음악이고
그런 파티음악은 천박하거나 아무 의미없는 가사를 쓰는게 잘못된게 아니고 오히려 이게 근본인데
왜 사람들은 자전적이야기의 가사를근본이라하고
천박하거나 의미없는내용의 가사를 비난할끼요?
궁금행ᆢ
힙합이 파티에서 시작된 건 맞지만, 사실 초창기부터 억압된 현실을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사용되었습니다. Grandmaster Flash의 The Message가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자전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가사가 높게 평가받는 건 단순히 내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의 서사와 집단의 현실을 정제된 언어로 풀어내는 고도의 표현력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켄드릭은 그런 표현력이 아주 뛰어난 MC의 예라고 할 수 있고요. 반대로 파티성이거나 유희적인 랩이라고 무조건 까이는건 아닌 것이, 릴 웨인과 스눕독의 초기 곡들처럼 큰 의미 없어 보이는 가사들도 플로우, 리듬감, 표현의 창의성, 혹은 분위기 연출 등이 뛰어나서 좋은 평가를 받으니까요
있어보이고 싶어서
있어보이고 싶어서
사실 이거도 말하고싶었는데 욕먹을까바
ㅁㅝ 어때
자전적 가사를 쓰던 시기에 힙합이 제대로 인기를 얻었으니 그게 좀 굳어진 거 아닐까요?
근데 자전적가사를 쓰던시기에힙합을 접하고 빠졌으면
결국 언젠간 장르의 근본을 ㄱ알게될텐데
이상하리만큼 모두가 자전적가사가 근본이라여기는게 이해가이ㅏㄴ되용....
퍼블릭 에너미때부터 평론가들이 엄청 좋아해서 그때가 근본 시기라는 인식이 커진듯
근본이라 여기는거까지는 그럴수있는데
그거 가지고 트랩 음악이나 섹스머니드럭스 같은 가사 까면서 깨어있는 척 하는게 좀 별로
힙합이 파티에서 시작된 건 맞지만, 사실 초창기부터 억압된 현실을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사용되었습니다. Grandmaster Flash의 The Message가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자전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가사가 높게 평가받는 건 단순히 내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의 서사와 집단의 현실을 정제된 언어로 풀어내는 고도의 표현력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켄드릭은 그런 표현력이 아주 뛰어난 MC의 예라고 할 수 있고요. 반대로 파티성이거나 유희적인 랩이라고 무조건 까이는건 아닌 것이, 릴 웨인과 스눕독의 초기 곡들처럼 큰 의미 없어 보이는 가사들도 플로우, 리듬감, 표현의 창의성, 혹은 분위기 연출 등이 뛰어나서 좋은 평가를 받으니까요
결국 사람들에게서 공감을 이끌어내는게 중요하다고 전 생각해요
전 사실 별의미없는가사에서도 자전적/사회비판적 가사에서 나오는 음악외적인 것들이 있다고생각해요.
말해주신것처럼 개인의 서사와 집단의 현실등을 고도의 표현력으로 나타냄으로써 현실을 알리고 사람들을 단합시킬수있죠.
파티음악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아무의미없는 가사여도 이것이 사람들을 한마음으로 만들고 웃게하니..파티음악에서도 나름의 자전적가사에서 만큼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걸 생각하지않고 비난만하니 조금 속상합니다.(작성자분은 이걸 이해하시고 잘짚어주신거 같아요.)
곧 나가야해서 좀 급하게 쓰느라 글이 엉성할텐데 좋은 의견감사합니다
근데 실제로 힙합 초기 명곡들 중엔 자전적인 가사가 많긴 하죠
갱스타 패러다이스도 그렇고
근본이 바뀌었죠 사실
이제는 80 90년대 골든 에라 힙합이야말로 근본이 되었고
옛날 파티음악 같은 거랑은 이젠 힙합은 거리가 멀죠
이게 아주 맞는말
근본이 바뀐다는게 사람들의 인식을 말하는건가요?
(좋은의견감사합니다.)
답장은 좀 늦을거같아옹
인식도 그렇고 음악 자체가 변화한 것도 그렇고요
파티음악이란것도 아주 초창기(80년대 초반까지)에나 그랬던거고
장르의 기반을 닦아온 시기는 골든에라이니 그런 거 아닐까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