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름에 나는 깨달았어. 우정도, 사랑도, 어린 시절도, 심지어 안전마저도 영원하지 않다는걸.”
한 소년의 인생은 그가 13살이 되던 해에 송두리째 바뀌었다. 빈스 스테이플스가 자란 롱비치의 라모나 파크(Ramona Park)는 매일같이 갱단 간의 유혈 충돌과 총격 사건이 벌어지던, 평범한 삶과는 거리가 먼 곳이었다. 아이였던 그는 부모의 품에 머무르며 거리의 현실로부터 보호받았지만, 2006년의 여름, 소년은 친구들이 눈앞에서 죽어가는 장면을 목격하였다. 동시에 사랑의 상실까지 겪으며 그는 말 그대로 ‘어린 시절의 종언’을 맞이하게 된다. 세상은 더 이상 순수한 아이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그는 천진무구함과 작별하고, 잔혹한 현실 속에 내던져졌다.
그는 지역 공동체와 가족으로부터의 보호가 부재한 상황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지역 갱단인 크립스(Crips)에 몸을 담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패션처럼 멋있거나 주체적인 선택이 아니었음을 그는 앨범 전반에 걸쳐 반복해서 말한다. 앨범의 서사를 따라가다 보면, “사람을 죽이고 싶어서 갱단에 들어갔다”라는 그의 인터뷰를 결코 문자 그대로 해석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 죽음이 일상화된 그곳에서, 빈스는 인간성을 잃어갈 정도로 굉장히 극단적인 정신 상태에 놓여있었다. 생존은 곧 폭력과 타협하는 일이 되었고, 감정은 무뎌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의 데뷔 앨범, Summertime ‘06엔 그러한 빈스의 내면이 가감없이 드러난다. 이 앨범은 폭력과 공포가 중심에 자리 잡은 그의 삶을 그의 냉소적인 시선으로 날카롭게 기록한 흔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Raq5xKQTUWA
앨범 수록곡인 “Jump off the Roof"에서도 드러나듯, 그는 한때 세상과의 모든 접점을 끊고 싶을 정도로 감정적으로 단절된 상태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침묵하지 않았다. 대신 언어를 택했고, 그것은 곧 랩이 되었다. 힙합은 그에게 두 번째 삶을 쥐여줬지만, 그 삶은 힙합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에게 랩은 무대 위에 놓일 화려한 트로피가 아니라, 자신이 겪은 고통과 상실을 세상에 증언하는 방식이었으며, 폭력의 굴레를 벗어나 ‘목소리를 가진 사람’이 되기 위한 최후의 선택지였다.
“힙합은 우리가 겪은 고통을 상품처럼 포장해서 팔고, 사람들은 그걸 소비하고 끝이지.”
그는 이 씁쓸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의 데뷔 앨범 Summertime '06에서 그가 겪은 비극을 날것 그대로 보여준다. 본작은 형식상 갱스터 랩과 스트리트 랩의 틀을 따르지만, 그 안에서 힙합 장르가 전형적으로 반복해 온 서사를 비틀고 해체한다. 제이지가 그러하고 50센트가 그러하듯 많은 래퍼들이 ‘성장과 성공, 그리고 부’의 서사를 제시한다. 하지만, 빈스는 여성, 돈, 마약, 폭력이라는 다소 클리셰적인 소재들을 사용하면서도 자신의 유년기와 갱단 생활, 그리고 폭력의 상흔을 비극적이고 냉철하게 응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https://www.youtube.com/watch?v=QRQHBz1Pf84
특히 “Lift Me Up”과 “Like It Is”에서 빈스는 본인이 마주한 인종적 현실을 직시한다. “Lift Me Up”의 “All these white folks chanting when I asked 'me where my niggas at?”이라는 가사는, 자신의 음악이 담고 있는 폭력과 빈곤, 고통이 백인 청중들에게는 단지 소비의 대상일 뿐이며, 그 내면의 현실적 고통에는 공감하거나 연대하려 하지 않는다는 불편한 진실을 폭로한다. 인종 정체성이 상품화되는 상황, 그리고 그 안에서 느껴지는 소외감과 단절감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Like It Is”에서는 “You're looking at a person telling them that they story don't matter when they're no better than me”라는 나레이션을 통해, 흑인 청년의 삶이 고정된 이미지로만 받아들여지고 그 복잡한 서사는 사회적으로 무시된다는 점을 성찰적으로 짚어낸다. 또, “We look at them, we see somebody that could help but they look at us and all they see is a nigga.”라는 문장은, 사회가 흑인 개인을 어떤 시선으로 규정하고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빈스는 사회가 삭제한 목소리를 복원하고, 기록되지 않았던 현실을 음악을 통해 외면할 수 없는 진실로 끌어올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3EK3JogvPR4
하지만, 이 앨범은 단순히 가사와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만 고평가받을 앨범이 아니다. No. I.D, DJ Dahi, Clams Casino, 이 세 명을 중추로 한 프로듀싱은 앨범 전체에 일관성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며 빈스의 탄탄한 랩을 훌륭하게 뒷받침해 준다. Dopeman, Senorita, Street Punks와 같은 트랙에서는 날카로운 스네어와 거친 베이스가 곡 전체에 긴장감을 형성해 불안한 현실을 사운드화하고, 반대로 Summertime과 같은 곡에서는 미니멀한 드럼 루프와 공간감 있는 리버브가 빈스의 외로움과 공허를 극대화한다. 이 앨범은 단순한 비트 위에 가사를 얹는 것을 넘어, 내면의 분열과 도시의 황폐함을 청각적으로 구현해 낸 작품이다.
다시 서사적인 이야기로 돌아가서, Summertime ‘06은 남부 캘리포니아 흑인 청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자전적 경험을 통해 지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켄드릭 라마의 good kid, m.A.A.d city와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두 앨범은 서사적 구조와 정서적 결에서 본질적으로 다른 궤도를 그리고 있다.
켄드릭 라마의 GKMC는 ‘죄의식과 구원’을 핵심 주제로 삼아, 갱 문화와 가난, 중독 등의 환경적 요인 속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청년의 내면적 여정을 다룬다. 서사의 기승전결이 뚜렷하게 전개되는 것이 특징이며, 앨범 전체를 마치 한 편의 성장 영화처럼 구성하여 리스너에게 강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반면, 빈스 스테이플스의 Summertime '06은 유기적인 프로덕션으로 봉합되었지만, 구조가 없는 파편화된 기억의 조각들로 구성되었다. 서사는 명확한 목적지를 향하지 않고, 무기력, 체념, 내면의 분열만이 반복된다. 희망이나 구원의 조짐조차 부재한 채, 삶의 무게만이 조명될 뿐이다. 명확한 서사 구조를 통해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는 GKMC와는 달리, 고통의 재현 자체에 집중함으로써 청자에게 해소감 없는 정서적 압박을 가하며, 현실의 잔혹함과 마주하도록 강요한다.
Summertime '06은 서사의 중심에서 ‘구원 없음’을 선언하며, 잊지 말아야 할 현실을 끊임없이 되새긴다. 빈스는 그 여름의 이야기 속에 어떤 희망의 실마리도 남기지 않는다. 그는 반성이나 극복의 서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하며, 미래를 상상할 수 없는 흑인 청년의 일상적 비극을 지속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 트랙 “'06”에서도 그는 서사적으로도, 음악적으로도 의도적인 미완을 택하고, 청자에게 불편한 여운을 남긴다. 그 여운은 단순한 감정의 흔적이 아니다. 완결을 거부하는 구성이 만들어낸 정서적 잔향이며, 2006년의 참혹한 현실이 앨범이 발매된 2015년에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Summertime '06의 10주년을 맞은 지금, 그가 증언한 거리의 풍경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Summertime '06은 기억을 나열하는 회고록이 아니다. 이 앨범은 과거를 단절된 시점으로 남기지 않고, 멈춘 시간의 감각을 현재로 끌어올린다. 빈스 스테이플스는 그 여름의 단면들을 조각처럼 배치하며, 완결 없는 서사를 통해 고통을 미루거나 희석하지 않는다. 개인의 상처를 일기처럼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적 폭력에 의해 되풀이되는 흑인 청년의 삶을 차갑고 절제된 언어로 묘사한다. 구원의 서사를 지운 자리에 남은 것은, 무표정한 리듬 위에 겹겹이 쌓인 감정의 잔재들, 그리고 반복되는 현실의 건조한 체감이다. 그렇게 이 앨범은 힙합 장르가 익숙하게 제공하던 상승 서사와 정서적 환기를 철저히 거부하며, 힙합 역사상 가장 무심하고 잔혹한 시가 되었다.
진짜 재밌나
석나가다못해 나가버렸네ㄷㄷ
닉값ㄷㄷ
선추후감 명글 각이 보야요..
우승감이네
그래그래 역시 명글일줄 알았어
빈스여서 개추
빈스여서 비추
안눌러도 되니까 읽어줘요
ㅇㅇ 글은 잘썼는데
빈스가 이런 정성글의 주인공인게 석나감
진짜 재밌나
석나가다못해 나가버렸네ㄷㄷ
닉값ㄷㄷ
역시명글은빈스
이렁걸원했어미쳐따
좋은 이벤트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와우. Top5라도 들려면 재출품 해야겠네
아뇨 쓰신 리뷰 되게 인상깊게 읽었습니다!
좋게 평해주셔서 감사해요
크.. 글 잘 읽었습니다
진짜 우승감이에요
감사합니다!!
캬 역시 믿고 읽습니다 고트
ㅎㅎ 감사합니다!
선추후감
와 진짜 깔끔한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써머타임은 빈스 최고작이라고 단언할만한 작품임
별개로 크립스에 들어갈만한 상황이었다는건 알지만 그 인터뷰는 여전히 옹호를 못하겠음
저도 현재 1집을 빈스 최고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인터뷰는 물론 옹호할 필요 없고 무슨 맥락인지만 이해하면 될것 같습니다. 다만 확실한.건, 다크 타임즈를 낸 빈스는 그 인터뷰를 할때의 빈스와는 다르게 내적인 성숙을 거친것 같네요.
역시 꽉찬스 리브닌텐도
예?
싀벌 이렇게 써버리시면 제가 초라해지잖아요 ㅠㅠ
아뇨 ㅜㅜ
에라이 포기해야지
포기하지 마십쇼..
엘이 메인 박제 ㅊㅊ
헉 첫 엘이 메인이네요
축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엘이 메인 축하하러 왔는데 늦었네
ㅎㅎ 그래도 감사합니다
크 잘 읽었ㅅ슿니다. 빈스는 정말 멋있는 래퍼임.
감사합니다!!
빈스 최고작은 이거임 반박 안받음
1집이 제 최애긴 한데
2집도 너무 잘만들어서 우열을 가리기 힘든듯요 ㅋㅋㅋ
오늘부터 빈스 입문해야되겠
캬 가시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