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성←←←이거 경시 당하는 경향 있지만 1회성이 아닌 대중성은 개쩌는 음악력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대단하다 생각… 그런 의미에서 대중성이랑 음악성 겸비한 스캇이나 타일러, 켄드릭 등이 더 대단해 보이는듯
번호 | 카테고리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공지] 회원 징계 (2025.05.09) & 이용규칙 (수정)26 | ![]() | 2025.05.09 | ||
[아이콘] Chief Keef 등 아이콘 출시 / 5월 아이콘 설문222 | ![]() | 2025.04.19 | ||
화제의 글 | 리뷰 | 아마 마지막 리뷰12 | ![]() | 2025.05.10 |
화제의 글 | 일반 | 그리젤다32 | 예리 | 18시간 전 |
화제의 글 | 일반 | 외국힙합 매거진 w/HOM #22 5월 12일 공개 예정!9 | ![]() | 18시간 전 |
182997 | 일반 | 페기식 스니펫 뿌리기 (페기 브이로그) | ![]() | 2024.06.16 |
182996 | 음악 | 칸예가 GKMC를 만들었다면?2 | ![]() | 2024.06.16 |
182995 | 음악 | 2020년대 최고의 힙합 앨범 5개 꼽아봅시다19 | ![]() | 2024.06.16 |
182994 | 일반 | 속보) 카티왈: "뮤직 오늘 낸다."50 | ![]() | 2024.06.16 |
182993 | 일반 | 이거 있는 줄도 몰랐는데2 | ![]() | 2024.06.16 |
182992 | 음악 | 첫 나무위키 문서는 페기로!7 | 민니 | 2024.06.16 |
음악 | 가끔식 느끼는 바23 | yves | 2024.06.16 | |
182990 | 일반 | Chris Brown (2) 아이콘 기원 103일차3 | ![]() | 2024.06.16 |
182989 | 일반 | 레지 스노우4 | 김베이비킴 | 2024.06.16 |
182988 | 일반 | 수작과 명작을 가르는 기준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21 | ![]() | 2024.06.16 |
182987 | 음악 | 여름 지펑크1 | ![]() | 2024.06.16 |
182986 | 일반 | 2Pac의 생일입니다! 🥳16 | 생일봇 | 2024.06.16 |
182985 | 음악 | 플리 ㅁㅌㅊ?1 | ![]() | 2024.06.16 |
182984 | 음악 | 카티 이거 뭐임?9 | ![]() | 2024.06.16 |
182983 | 그림/아트웍 | 새벽감성 위켄드🔥12 | AbélMakkonenTesfaye | 2024.06.16 |
182982 | 음악 | 힙잘알분들 도와주세요 ㅠㅠ6 | 향수병 | 2024.06.16 |
음악으로 돈을 버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이 있고
예술을 표현하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이 있는데
대중성은 전자의 세계에서만 중요한거지 절대 대단한건 아니라고 생각함
얼마 있지도 않은 소수의 힙스터
Vs
장르 음악에 별 관심도 없을 몇천만명의 대중
그런 의미에서 더 위에 언급된 래퍼같은 애들이 대단한듯
일단 무조건 후자를 챙기는게 맞음
대중성은 결국 이 음악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설득시킬수 있는지를 의미함
동의하는바임. 1회성 인기는 요새 시대가 sns 시대라 충분히 그럴 수 있다 보는데 꾸준히 인기 얻는다는 것도 참 대단함.
“1회성이 아닌 대중성” - 좋은 표현이네요 :)
원히트 원더 중에 성장 가능성 많은 애들도 있지만 틱톡만 노린 곡 만든 애들도 수두륵이니… 근데 틱톡만 노려도 계속 인기 얻는 아티스트는 그것 나름대로의 재능이 있다 생각해요.
제가 좀 삐뚤어진것 같긴한데 대중성만 노리고 만드는 노래들은 이상하게 듣고싶지 않은거 같음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애스트로월드 같은건 대중적인 면이 크지만 그만큼 프로덕션이나 음악성이 뛰어난 느낌에 자주 찾아서 듣지만 KPOP 같은 트랙들은 대놓고 히트싱글로 만드려고 작정한 느낌에 음악 자체도 그렇게 좋지 않은 감이 커서 잘 안듣게되는 느낌...?
개인 취향이기도 하고 충분히 그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저는 k-pop은 스캇의 리스닝 파티같은 영상에서 봤을 때 부터 찾아 듣고 있었는데 좀 많이 바뀌어서 아쉬운 퀄리티로 됐더라고요 ㅜ 대중성과 음악성은 서로 관련은 있지만 별개의 영역이기도 하고 어느 쪽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충분히 똑같은 곡에도 다른 감상이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음악으로 돈을 버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이 있고
예술을 표현하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이 있는데
대중성은 전자의 세계에서만 중요한거지 절대 대단한건 아니라고 생각함
엄청난 대중성에 있다고 해서 음악성이 뛰어나다고 절대로 말할수 없죠. 대중성과 음악성은 서로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언정 어느정도 별개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음악이라는 세계에서 올타임 레전드라고 불릴 만한 사람은 대중성과 음악성을 겸비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별개로 대중성 상관없이 음악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장르 내에서는 음악성 하나 만으로도 올타임 레전드가 충분히 나올 수 있다 생각해요. 위에 대중성과 음악성을 겸비해야된다 한건 지금 현대의 음악 시장에서 올타임 레전드라고 언급되는데 있어 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그쵸 뭐 로런힐, 마잭같이 나중 세대에 남길 영항을 따지면 대중성도 중요한건 맞네요
소위 말하는 rym 픽을 많이 받는 아티스트나 작품들도 그 장르 안에선 탑을 먹는다 생각합니다. 근데 rym 올타임 랭킹 보면 비틀즈나 켄드릭 같이 음악성과 대중성 모두 겸비한 아티스트들이죠 ㅋㅋ
대중성을 "차트에서 흥행하고 잘 팔리는 능력"이라고 정의하면 예술에 있어서는 중요한 게 아닌데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이라고 보면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굉장히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이 드네용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으면서 개쩌는 음악을 만든 아티스트들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레전드들이죠 ㅋㅋ (비틀즈, 핑플, 켄드릭 등) 대중성 하나만으로는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타임 레전드라 불리는 아티스트들은 님이 말한 것 같은 대중성이 겸비해야된다 생각되네염
대중성이 필요한 장르도 있고
필요없는 장르도 있고
뭐 그런거임
동의합니다. 사실 듣고싶은거 들으면 그만이기도 하고… ㅋㅋ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