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반

가사 해석할 때 알고 있으면 편한 속어/단어/문장 정리 (2)

DanceD Hustler 2021.04.25 17:08조회 수 8405추천수 39댓글 31

D. 총 관련
 
* 단순히 총을 의미하는 단어들
- Metal
- Steel
- Strap - 총. 'strapped'는 '총으로 무장한'이란 뜻입니다.
- Toaster - 총. 줄여서 toast라고 쓰기도.
- Tool
 
* 권총을 의미하는 단어들
- Biscuit
- Gat
- Glizzy - Glock + -izzy
- Hammer - 권총 부품 중 '공이'를 hammer라 부르기도 하는데, 총을 거꾸로 잡으면 망치처럼 쓸 수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 같기도 하네요.
- Heat/heater
- Llama
 
* 샷건을 의미하는 단어들
- Gauge - 'gauge' 자체는 총구의 내구경 단위입니다. 샷건 중 가장 흔한 형태가 12게이지 (18.5mm) 내구경을 가진 샷건이기 때문에 gauge는 12 gauge shotgun을 줄여쓴, 샷건을 대표하는 속어가 되었습니다.
- Pole
- Pump
 
Making and shooting a sawed off shotgun! - YouTube
- Sawed-off - 직역하면 '톱으로 자른'이란 뜻입니다. 샷건 중 원래보다 총신이 짧아진 형태로, 실제로 초창기에 톱으로 총신을 잘라 쓰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장거리 사격 정확도는 떨어지는 대신 숨기기도 용이하고 기동성이 좋아지겠죠.
 
- Stick - 본래 AK-47을 뜻한다고 하지만 현재는 큰 총을 묶어 의미한다 합니다. 저는 '샷건'이라고 생각해서 샷건으로 많이 썼습니다;
 
미군 3만명 살상한 그 총, 러시아 AK-47 美서 생산 - 매경프리미엄
* AK - 주로 어설트 라이플인 AK-47을 뜻합니다. AK는 Avtomat Kalashnikova의 약자로 원 디자이너였던 Kalashnikov가 만든 어설트 라이플이란 뜻이라고 하네요. 초반에 기관총으로 해석한 적이 좀 있습니다...
 
콜트 아칸소15 소총 AR-15 소총에 대한 스톡 사진 및 기타 이미지 - iStock
* AR - Assault rifle. 주로는 라이플 중 AR-15을 뜻합니다.
 
* Chopper - AK-47 어설트 라이플의 별명. 직역했을 때의 단어처럼 총알들로 'chop하는 것'인 셈입니다. 음... 아주 최근까지도 저는 이걸 '샷건'으로 해석했습니다. 오역인 셈이죠..ㅠ 조금 더 일상적인 속어로 "헬리콥터"란 뜻도 있는데 (날개가 chop하는 것처럼 보이나봄) 의외로 이렇게 쓰이는 건 힙합 곡에선 거의 본 적 없습니다.
 
CUGIR / Micro DRACO – (7.62x39mm) – NEW - DEARBORN OUTDOORS
* Draco - 루마니아에서 제조된 Kalashnikov 사의 라이플의 일종으로, 적당한 가격과 휴대가 쉬운 크기 때문에 애용된다고 합니다.
 
Cybergun WE Desert Eagle L6 50AE gas GBB - Silver
* Four-pound - Desert Eagle. 장전 다한 상태에서는 4파운드 정도의 무게가 나간다고 합니다. 근데 pound가 five를 대체하여 쓰일 때가 종종 있어 45구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GLOCK GLOCK 19 GEN5 9X19 - Pistols
* Glock - 권총의 종류 중 하나. 여러 종류가 있지만 주로 Glock 9x19mm Parabellum을 주로 지칭하는 것 같습니다.
 
MAC 10 3D 모델 - TurboSquid 1227150
* Mac - 피스톨/서브 머신건입니다. 주로 MAC-10이나 MAC-11 중 하나를 뜻합니다. Mac은 정확히는 "Military Armament Corporation"이라는 기업의 약자라 "MAC"으로 쓰는게 정확하긴 합니다.
 
* Nine - 9mm. 구경이 아니라 총알 직경입니다. 보통 Glock 9x19mm Parabellum에 쓰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권총'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Nina”라고도 부릅니다.
 
Intratec TEC-9 3D model - Weapon on Hum3D
* Tec - 반자동권총 중 하나인 TEC-9을 보통 지칭합니다.
 
* Trey pound - .357 매그넘.
 
File:Uzi of the israeli armed forces.jpg - Wikipedia
* Uzi - 이스라엘에서 제작한 서브머신건 중 한 종류.
 
* 이외 자주 등장하는 총기 제작사 - Smith & Wesson, FN (Fabrique National), Heckler & Koch...
 
Intertech .22 LR with banana clip | Online Auctions | Proxibid
* Banana clip - 바나나 모양으로 휜 탄창. 일반적인 탄창보다는 조금 더 총알이 들어갑니다.
 
Glock Drum Magazines - 9mm 50 Round / .45 40 Round / .40 50 Round | RWB -  CAA Gear Up - CAA USA
* Drum - 둥근 형태의 탄창인 '드럼 탄창'. 보통 기관총에 연결되는 형태로 친숙하지만 의외로 권총에도 있더군요. 생김새를 보면 알겠지만 일반 탄창보다 훨씬 많은 총탄이 들어갑니다.
 
Get More Shooting Time With Extended Pistol Magazine
* Extendo - Extended clip. 일반 탄창보다 조금 더 길이가 긴 탄창.
 
Potato Gun Scene - South Central (1992) - YouTube
* Potato - 뜬금 없이 웬 감자냐 할 수 있는데, 말그대로 감자입니다(?). 가끔 등장하는 이유는 소음기가 없을 때 총구에 끼워 임시 소음기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
 
 
E. 돈 관련
 
* 단순히 돈을 의미하는 단어들
 
- Bacon 서양에서 제일 기본적인 식사 중 하나니 돈이란 의미로 이어지는 것도 무리는 아니죠.
- Bread - Bacon과 같은 맥락
- Cake - 역시 같은 맥락. caked up하면 돈이 엄청 많다는 뜻입니다.
- Cheddar
- Cheese - 같은 맥락...
- Cream - Wu-Tang Clan의 노래 "C.R.E.A.M." (Cash Rules Everything Around Me)에서 유래.
- Dead president - 지폐. 지폐 인물이 역사 속 미국 대통령인 데에서 유래한 표현.
- Dough - 역시 bread와 같은 맥락. “Doe”라고도 씁니다.
- Fetti - 색종이 조각을 의미하는 confetti에서 유래했습니다 (지폐=종이=돈 과 같은 맥락의 기원). 단순히 발음 유사성 때문에 파스타 종류 중 하나인 Fettucini라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 Green - 신권이 파란색 톤을 띄게 되면서 요즘엔 잘 안 쓰는 슬랭이 됐습니다.
- Guap - 큰 돈. '예쁜'이란 의미의 스페인어 guapo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큰 돈이란 의미의 영어 표현에도 "pretty penny"가 있습니다).
- Lucci
- P - 여러 뜻으로 쓰일 수 있지만 주로 돈 (paper)을 뜻합니다.
- Paper
- Scrilla - "scroll" (두루마리. 지폐=종이=paper와 같은 맥락)에서 유래한 단어로, E-40가 만들었다고 합니다. Skrilla라고 쓸 때도 있습니다.
 
* 100달러 지폐를 의미하는 단어들
- Benzamin - 지폐에 그려진 인물인 벤자민 프랭클린에서 유래.
- Blueface - 신권이 기존의 초록색이 아닌 파란색을 띄고 있어서 이젠 green 말고 blue가 돈을 의미하는 단어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 C-note - C는 라틴어 'cent'로 100을 의미하죠.
 
* 큰돈을 의미하는 단어들
- Bag
- Band - 지폐 뭉치를 고무줄로 묶고 다니는 것에서 유래. Rubber band라 쓰기도 합니다.
- Grand - 주로 1000달러를 의미합니다. G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큰 거'라고 해석하면 느낌도 살고 좋더군요.
- Knot - 원뜻은 '매듭'인데 돈다발을 묶어놓은(?) 의미라 생각하면 되겠죠.
- Racks
- Ticket - 그때 그때 달라서 정확치는 않은데 백만 달러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ii. 의미가 애매한/번역이 어려운 것들
 
* About it - 정신이 그 주제에 집중해있고, 절대 장난치지 않는, 늘 진지한 태도를 유지하는 상태. '집중해있다' 정도로 해석하려니 조금 부족한 듯하지만 적당한 번역이 어려워서 애 먹는 숙어 중 하나입니다.
 
* Bad - CL이 "나쁜 기집애"에서 말했듯, '나쁜'이란 뜻이면서도 긍정적인 의미가 있어서 뉘앙스를 살리기 쉽지 않습니다. 특히 사전적 의미와 연관하여 펀치라인 쓸 때는 좋은 뜻과 나쁜 뜻을 둘 다 살려야되서... 처음엔 '독한' '지독한'으로 했는데, 보통 여자 평가할 때 나오는 단어라 요즘은 '못된' '야한' '섹시한'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 Ball - 개인적으로는 ‘흥청망청 놀다’ ‘잘 나가다’ ‘거침없이 살다’ 정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막힘 없이 사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Ball은 ‘농구하다’라는 뜻도 있어서 (초반에 그냥 구기 종목 전부 포함인줄 알았는데 농구만이더군요..) 이와 관련해서 펀치라인이 많습니다. 아예 농구 선수의 삶에서 유래한 단어란 말도 있군요.
 
* Bitch - '개년'이라고 자주 해석하지만, 사실 욕보다는 그냥 일상적으로 쓰이는 느낌인 때도 많아서 뒤로 갈수록 욕으로 해석하기보단 '여자' '야' 등으로 해석할 때도 많았습니다 - 물론 어조가 좋은 어조는 아닙니다. 참고로 원뜻은 '암캐'입니다. 진짜 암컷 개요...
 
* Bless - 원래 '축복하다'죠. 하늘에서 뭔가 준 거 같을 때 (행운, 재능 등등) bless란 표현을 쓰고, 더욱 의미를 확장시켜 상대에게 내가 뭔가를 줄 때도 bless라고 쓸 수 있습니다.
 
* Brother/sister - 별 의미 아닌데 해석하기 어려운 대표적인 단어. 문제는 서양권은 나이 순서에 덜 신경 쓰다보니 형/누나/동생의 분류가 약하기 때문이죠. 다행히 sister는 누나와 여동생을 포함시키는 단어 "누이"가 있어서 잘 써먹는데 (자매는 남자가 쓸 수 있는 단어는 아니니), brother는 '형제'라고 하자니 뭔가 괜히 엄숙한 느낌이 있습니다. 나중 가서는 어차피 대상이 손윗사람이든 아랫사람이든 상관 없단 느낌이 있어서 임의로 형, 누나라고 윗사람으로 가정해버리고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 Down
 나올 때마다 정말 뜻 해석에 골치 아픈 단어 중 하나입니다. "Down with you"라는 식으로 상대와 "함께 한다"의 의미일 수도 있고, 실제로 행동에 옮긴다, 움직인다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이 두 가지가 완전히 별개의 뜻이 아닙니다. 그 사이의 뭔가 애매한 영역에 있는 단어...).
 
* East/West - 뭐 뜻은 다 아시리라 믿고... 초반에 이걸 '동부/서부'로 해석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냥 '이스트/웨스트'가 더 괜찮은 거 같으면서도... 동부/서부로 하게 되었네요;
 
* Flip - 본뜻은 '뒤집어지다' '공중제비를 돌다' 등등... 뒤집어지는 것과 관계가 많은데, 우선 해석하기 쉬운 뜻은 (1) "놀라다" (놀라 뒤집어지는..). 그다음으로는 (2) 물건을 팔다/건네다 (3) 돈을 벌다 (4) 편을 바꾸다, 배신하다 (5) 욱하다, 발광하다... 이외에도 더 많은 뜻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대개는 정확한 의미를 알기 어려운, 별로 안 반가운 단어입니다ㅠ
 
* Freak - 본뜻은 '괴짜'. 보통 성적으로 밝히거나, 밝히진 않아도 섹스에 거리낌이 없고 어떤 행위도 망설이지 않는 여자를 뜻합니다. 초반엔 '괴짜'로 직역해버리곤 했는데 최근엔 '변태'라고 해석한 적이 많습니다...만 '변태'는 필요 이상으로 부정적인 느낌이라 선호하는 해석은 아닙니다.
 
* Fresh - 쉬운 단어인데, 그냥 '신선한'으로 해석하기엔 뭔가 이상한 면이 있습니다. '새로운'이란 단어는 진부한 데가 있고, 나중 가서는 그냥 '프레쉬한'으로 해석하는게 제일 정확하더군요.
 
* Gangsta
 당연히 '갱스터' (원래 스펠링은 gangster)입니다. 대개의 미국 래퍼들이 범죄가 만연한 빈민가 출신이고, 갱단에 들어가있거나 들어간 친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보니 그냥 일반적으로 동료를 지칭할 때도 쓰이거나, 아예 긍정적인 의미로 '괜찮은 / 훌륭한 사람'을 뜻하기도 합니다. 저는 보통 "갱스터"로 해석하다가 살짝 질리기도 했고, '갱스터'란 단어가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강하기도 해서 "갱"으로 번역하거나 안 살리고 대충 풀이하곤 했습니다.
 
* Game
 의미 자체는 전부 와닿으실 거라 생각하지만, 예를 들어 심리전 같은 걸 할 때 "게임"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서 해석할 때 고민하게 되던 단어입니다 - 고민해봤자 대체할 게 없어서 그냥 '게임'으로 결국 하게 되지만... 마찬가지로 play도 쉽진 않습니다. 자칫하면 마치 컴퓨터 게임 같은 의미밖에 전달 안 되기 때문이죠.
 "실력"을 뜻할 때도 있습니다. '네 game을 보여줘'라는 식으로. 이 실력은 랩일 수도 있고 갱스터 활동일 수도 있고 여자 꼬시는 걸 수도 있죠 (여자 꼬시는 경우는 '수작'으로 번역하는게 더 어울릴 때도).
 그리고 "씬"을 뜻할 때도 있습니다. 랩, 마약 등등.. 전문가들이 이루는 작은 세계 말이죠.
 
* Girl - 이 의미를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여자를 부를 때 'girl'이라고 하는 건 생각보다 옮기기가 어렵습니다. "그대" "자기" "아가씨" 정도에서 타협해서 번역하게 되는듯합니다. Sugar, honey 등의 애칭도 마찬가지 얘기.

 

* Hater
 아주 쉬운 단어지만 '미워하는 사람'으로 해석하자니 너무 장황합니다 (-er 붙는 단어들이 참 그렇습니다. 영어는 쉽게 한 단어로 만들지만 우리는 -는 사람 이다보니 간결하게 만들기가 어렵거든요). '안티' '적' 등으로 해석하곤 했는데 이 역시 뉘앙스가 완전히 맞진 않죠 (안티는 뭔가 인터넷에만 있을 거 같은 느낌이고, 적이라기엔 소극적이랄까). 최근 들어서 헤이터가 외래어처럼 퍼지면서 드디어 헤이터란 단어를 해석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Playa-hater도 말 그대로 헤이터로 해석 가능한데, 이걸 그대로 옮기다가 ‘플레이어 안티’로 해석했던 지난날…
 
* High
 약에 취해 들뜬 기운을 뜻합니다. 말 그대로 좋은 기분에 몸이 '높이' 붕 뜨듯 하는 거죠. 속어라고 하긴 좀 그런게, 매우 널리 쓰이는 단어에요 - 저는 미국 가있던 초등학교 때 이미 high란 단어를 학교 책에서 배웠을 정도죠.
 한국엔 마약이나 마리화나 같은 향정신성 약물에 대한 얘기가 일상적으로 잘 등장하지 못 하다보니 'high'에 대해서 딱 들어맞는 해석도 찾기 힘듭니다. 저는 "취한다"라는 단어를 쓰지만, 아무래도 '취하다'라는 단어는 술과 연관된 이미지고, 취하는 건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100% 연관되는 게 아닌데 반해 high는 기분이 좋아지는 쪽이기 때문에 부적절한 면이 있습니다. '뿅 가다'란 단어가 조금 더 적합해보여 종종 쓰지만 문맥상 경박해보일 때가 많아서 잘 못 썼던 거 같고요, 문장이 너무 장황해지지 않는 경우는 '약기운'이란 단어를 넣어 구체화시키곤 했습니다. 단어 특성 상 '높이'라는 이중적 의미로 펀치라인에 쓰일 때가 많은데, 이때는 "붕 뜨다"로 해석해서 적당히 처리했습니다 - "붕 뜨다" 역시 뿅간 정도의 뉘앙스는 주지 못해서 만족스러운 번역은 아닙니다.
 
* Hitter - 말 그대로 '사람을 (총으로) 공격하는' 사람들인데, 저는 '킬러'라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반드시 살인을 목적으로 하는 건 아니라는 걸 생각해보면 부정확한 해석입니다.
 
* Holla - Holler의 변형 (혹은 스페인어로 '안녕'인 hola인 거 같기도 하고). 원뜻은 '소리치다'인데 Shout out과 비슷하게 인사한다는 뜻입니다. 다만 얌전히 가서 인사하는 거보단 'Hey!'하고 외치는 느낌.
 
* Kick - (1) 일을 시작하다. 다만 'kick it'이라는 간결한 표현을 뉘앙스 그대로 옮기기도 어렵고, '발차기'와 연관된 펀치라인으로 쓰일 때가 받아서 어렵습니다. (2) "Kick back"에서는 발 뻗고 편히 쉬는 걸 뜻합니다 (다리를 쭉 펴는게 발차기 같아보일 수 있죠).
 
* Laid - 본뜻은 '눕혀진' (lay의 과거분사형)인데, 여자가 자기를 침대에 눕혔다면 (적어도 힙합 가사 문맥 내의) 목적은 하나겠죠. 그래서 여자랑 잤다는 뜻입니다 - 단 여자가 많이 원하는 잠자리였던 것! 이 뜻을 다 살려서 해석하긴 쉽지 않아서 그냥 섹스라고만 풀이합니다.
 
* Live -  뜻은 다들 알지만 해석하기 어려운 또 하나의 단어... 그냥 '라이브하다'라고 얼렁뚱땅하는게 제일 마음이 편합니다. 그 외엔 '신난' '생동감 넘치는' '힘 있는' '에너지 넘치는' 등등으로 그 느낌 살려보려고 무던히 노력했었습니다.
 
* Long - 돈에 대해 쓸 때 수입이 안정적이고 풍부한 걸 뜻합니다. '길다'란 뜻과 연관하여 펀치라인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돈줄이 길다'로 해석한 적이 많은데 어감이 좀 애매한 면이 있죠.
 
* Lovers
 정신적인 사랑을 포함하는 girlfriend에 비해 lover는 육체적인 관계를 가진 이성을 뜻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닐 거 같지만 실제로 가사에 쓸 때는 딱히 그런 구분을 안 두고 그냥 '사랑하는 사람'으로 쓰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이걸 살려서 해석하기도 어려웠고요. '애인'이란 단어보단 '연인'이 더 자연스러운 거 같아서 '애인'은 거의 해석에 써본 적이 없네요.
 
* Mama/Mami - 엄마가 아니라 젊은 여자를 '사랑을 담아' 지칭할 때 자주 씁니다. '아가씨' 같은 뉘앙스.
 
* No no no... - 해석하는게 필요 없는데 너무 무리해서 해석하려고 하나 싶을 때도 있습니다ㅋㅋ 한 가지, 부정문 뒤에 붙는 no (즉 앞의 내용과 일치하는 no)는 한글에서는 '그래' (한국어는 말하는 사실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보다 말하는 대상과의 일치 여부가 중요하니까)로 해석되기 때문에 '그래 그래'로 해석하는 경우가 더 많은 거 같습니다.
 
* One for the ~ / One time for the ~ - 음… 이건 따로 의견을 내기도 어려울 정도로 의미를 설명하기 어렵네요. 아마 힙합 좀 들은 분들은 다들 같은 생각일 겁니다. 전 그냥 직역을 해서 ‘~를 위해 한 번’ 또는 살짝 의역을 섞어 ‘첫번째는 ~’ 이런 식으로 하는데.. 솔직히 이게 실제 의미에 어느 정도로 가까운지도 측정이 어렵네요-_-
 
* Papi - Mama처럼, 남자를 '사랑을 담아' 부를 때 쓰는 단어. Daddy가 가능합니다. Papi는 좀 더 스페인어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처음에 적당한 단어 찾기 어려웠는데 지금은 거의 '자기'로 통일하고 있네요.
 
* Playa (player) -  소올직히... playa의 뜻은 정확하게는 감이 안 옵니다. 때로는 '플레이어' 그대로 해석할 때도 있고, '플레이보이'로 할 때도 있고 '선수'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 그리고 실제로 문맥도 그 뜻에 부합하기도 해서 그거겠거니 하고는 있습니다..
 
* Porch - '현관'이라고 해석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미국형 주택에서 현관 앞에 있는 쉴 수 있는 공간을 뜻합니다 - 아파트가 많은 한국에선 현관 앞 하면 사실 바로 문밖이라 애매할 수가 있죠. 그래도 미국형 주택은 다양한 매체에서 보게 되니 뜻 전달이 어렵진 않은듯.
 
* Pop (Popping) - (1) 총을 쏘다 (2) 들썩이다, 신나다 (3) (여자들 다리를..) 벌리다 등등 뭔가 갑자기 팍 나오는 느낌입니다. 상황에 따라선 번역하기가 곤란한 단어가 되기도...
 
* Pull up - 원뜻은 '차를 세우다'입니다. 어쩌다보니 차 세우는 건 곧 어디론가 찾아가서 주차를 하는 거다 보니 '찾아가다'로 해석해도 무방한 경우가 꽤 많은 것 같습니다. 동시에, 경찰이 차를 세우는 것도 pull up당하는 거죠 (보통 인종차별 일화로 자주 등장하는..).
 
* Respect
 존중, 존경이 맞긴 한데, 이렇게 해석하면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느낌이 있어서 애를 먹습니다 - 기본적으로 존경은 한국어에서는 손윗사람에게 하는 느낌이 강한데, respect는 동료나 이름, 규칙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도 하는 거니까요. 존중은 그나마 좀 낫지만 문제는 비슷한 거 같습니다. 다행히 이것도 외래어가 되어가는 중이라 '리스펙'이라고 번역하곤 합니다.
 
* Ride - 좁은 의미로는 차를 몰고 질주하는 거고, 넓은 의미로는 그냥 거침 없이 행동하는 거죠. '달리다' 정도로 퉁쳐서 해석하지만 잘 모르겠군요. 이게 "Rider"가 되면 더 골치 아픕니다 - '달리는 사람'이라고 할 순 없잖아요. 그래서 '갱스터'로 해석하는데... 맘엔 안 들죠.
 
* Run - (리더처럼) 이끌다. "Run New York" "Run the town" 등으로 잘 쓰이는데... 뜻은 저게 맞는데 '뉴욕을 이끌다' '이 동네를 이끌다'는 되게 없어보입니다; '~의 주인이다' '~를 지배한다' 등으로 적당히 바꿔 쓰면 그나마 나아보입니다...
 
* Shout out -  이건 속어라면 속어지만... 힙합 내에서는 그냥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죠? 문제는 한글로 옮겨지지 않는다는 건데... '인사'라고 해석했지만, 상대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살짝 이름 불러주는 거랑 인사랑은 확실히 다른 의미입니다. 다행히 단어가 유명해져서 그냥 '샤라웃'으로 몇 번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 Slide - 원래 '미끄러지다'란 뜻인데, 문제 없이 부드럽게 움직이거나, 무언가를 대상으로 무시하고서 다른 곳으로 미련 없이 떠나는 것을 얘기합니다. '미끄러지다'의 이미지랑 생각해보면 잘 맞죠. 속어라고 하긴 애매하지만 참 느낌 살려 번역하기 어려운 단어였습니다.
 
* Slip - 이 역시 '미끄러지다'이지만, 삐끗했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여기서 파생되어 '방심하다' '빈틈을 보이다' 정도의 뜻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 Son/cousin/nephew - 각각 '아들' '사촌' '조카'죠? 뭔가 아래쪽이거나 친근한(?) 친척 관계를 부르는 이 단어 모두, 그냥 친근하게 상대를 부르는 단어입니다. Son의 경우는 "얘야"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처음엔 진짜 다 가족 관계인가 했는데 아니었어요...
 
* Stray - Stray bullet, 즉 빗나간 총알. 총격전이 벌어졌을 때, 상대를 노리고 쐈지만 빗나간 총알이 지나가던 무고한 시민을 맞추는 시나리오로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풀어 쓰기엔 장황하고, '빗나간 총알' '오발탄' 등으로 해석을 해보았지만, 빗나갔다고 하기엔 실제로 맞은 사람이 있고, 오발탄이라고 하기엔 실제 의도를 가지고 쏜 총알이라 의외로 난감한 단어.
 
* Swing - 스윙 춤의 의미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즐기듯이 시간을 보내고 행동하는... 이건 풀어쓰려고 해도 어렵네요; 뜻은 아실 거라 생각하지만 번역이 참 난감합니다... '들르다'의 의미가 있을 때도 단순히 방문하는 것보단 좀 더 가벼운 뉘앙스가 있습니다.
 
* The man/the one - '짱' '주인공' 정도로 해석합니다. 다만 이런 단어들은 너무 만화스러워서 '최고'로 해석할 때도 있는데, 최고가 아니라 사건의 중심임을 뜻할 때도 있어서... 그때그때 눈치 보는 수밖에.
 
* Thug  사전적 의미는 '악당'인데, 결국엔 '갱스터'랑 통하는 거 같습니다. 예전엔 'thug'로 그냥 옮기다가 최근에는 '갱스터'라고 그냥 해석했습니다. 물론 이것도 정확히 들어가면 갱스터랑은 차이 나는 부분이 있겠지만요 (예를 들면, 갱단의 의미가 들어있는 단어는 아닙니다).
 
* Town - '동네'라고 해석을 합니다. 처음엔 '동네'라는게 너무 소박한 느낌이어서 어색했는데 10여년을 동네로 해석하다보니 제가 적응이 됐습니다. 여러분들도 적응이 됐는지는 모르겠군요;
 
* Two door - 문이 두 개 (운전석/조수석) 있는 차를 말하는 건데... '문 두 개 있는 차'라고 하기도 웃기고... 그냥 2도어라고 하거나 단순히 자동차라고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 Work - 'work it'이란 구문에서 춤 추는 것 (주로 엉덩이 흔드는)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춤추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는 work it rock it shake it drop it 등등 많다보니 사실 완벽한 해석이 불가능합니다...
 
* 스펠 하나씩 외치는 거 - 예를 들면 "L-O-V-E". 이런 거 나오면 해석할 때도 한 글자씩 "사-랑"이라고 해석하려 했는데, 보통 영어 단어의 스펠링이 한글의 글자 수보다 길어서 별 느낌이 안 납니다 (특히 한 글자짜리 단어일 땐;). 그래서 최근엔 신경 안 쓰는 중..
 
* 기타 단어: field, haunt, bleacher, fact (감탄사 비슷하게), hardly/barely 등등... 속어이고 아니고를 떠나 고민하게 만드는 단어들은 끝이 없습니다.
 
 
iii. 속어는 아니나 자주 등장하는 표현/고유명사들
 
Narrative: What Happens When You Call 1-800-273-TALK
* 1-800 - 통화 요금 무료인 전화 서비스를 지칭하는 번호입니다. 우리나라의 '1588' (물론 1588은 유료 번호입니다)처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참고로 비슷한 1-900은 유료 번호로 기술 지원 또는 성인 서비스가 주로 쓰입니다.
 
* 360 deal - 가수 계약 형태 중, 음반 판매 외의 번외적인 활동으로 인한 수입에 대해서도 일정 비율을 소속사에서 취하는 것을 뜻합니다. 아이돌 문화가 많은 한국에선 이게 더 일반적이겠지만 적어도 힙합씬 내에서는 아티스트가 호구인 걸 상징하는 단어입니다.
 
* 401(k) - 미국에서 시행하는 퇴직연금. 그러다보니 '아직 사귀기엔 이르고 좀 더 시간과 자금의 투자가 필요한 남자/여자'를 뜻하기도 한다는군요.
 
* 6 feet deep - 6피트 (1.8m) 깊이의 구덩이. 묘지에 시체를 묻을 때 보통 6피트 정도로 묻는 듯합니다.
 
* 9 to 5 - 아침 9시에 출근하고 5시에 퇴근하는 일반적인 직장. 래퍼, 갱스터 등의 삶과 대조적으로 잘 쓰입니다.
 
* a.k.a. - also known as. "~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힙합 듣는 분들은 거의 다 아실만한 단어죠.
 
* Baby mama - 말 그대로 '애엄마'죠. 아내 대신 애엄마가 등장하게 된 이유는,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시킨 경우, 또는 이혼을 하는 경우가 (특히 흑인 가정에서는) 워낙 많기 때문이죠. 그래서 사실 '여자친구'라고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거 같기도 합니다.
 
* Big Apple - 뉴욕의 별명. 20세기 초에 처음 쓰였으며, '미국이라는 큰 나무에서 수액을 가장 많이 먹는 사과' (문구 그대로 인용한 건 아닙니다)라는 의미로 생긴 표현입니다. 부패한 도시란 의미에서 "Rotten apple"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 Black Panther Party 
 1966년 Bobby Seale과 Huey Newton이 창단하여 80년대 초까지 활동한 급진적 흑인 인권 단체. 흑인 복지 프로그램도 시행하였지만, 여러 차례 경찰 등 공권력과 대치하면서 사망 및 부상을 야기하기도 했습니다. 후버 대통령은 이를 국가 보안에 중대적인 위협으로 규정하고, Black Panther Party를 와해시키기 위한 정보 작전 "COINTELPRO"를 개시하기도 했죠. 특유의 활동 이념 때문에 아무래도 차별을 느끼는 흑인들에게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사에서 "흑표범당"이라고 번역되기도 했습니다.
 
Tube Square Angle Portable Bleacher | Outdoor Aluminum
* Bleacher - 긴 벤치가 계단 형태로 여러 층 있는 의자. 경기장이나 강당 같은 데 자주 쓰이죠. 은근 옮길만한 적당한 단어가 없습니다...
 
* Block 
(1) 뭉치 (사각형 덩어리..). 즉 마약 뭉치를 뜻할 때 잘 쓰입니다.
(2) 블록은 원래 동서남북의 도로로 둘러싸인 인도로 된 한 구역을 뜻합니다. 3블록 더 가라는 건 이 블록 세 개 (횡단보도로 치면 두 개 건너겠군요)를 더 가란 뜻이 되는 거죠. 미국 도시가 대부분 계획적으로 바둑판 형태로 정렬이 되어있어서 이런 게 쓰일 수 있습니다.
(3) 결국 거리를 뜻하는 거라 'street'를 대용하는 단어로 자주 쓰입니다. 그래서 저도 "거리"로 해석한 적이 많은 것 같습니다.
 
Pin on crips vs bloods (blue vs red)
* Blood / Crip - 미국의 대표적인 대립 관계에 있는 두 갱단. Blood는 빨간색, Crip은 파란색을 사용하죠. 여기에서 파생된 산하 갱단도 여럿 있습니다. 
 특히 Blood의 말투 특징 중 하나로 C로 시작하는 단어를 Crip을 배척하는 의미에서 B로 바꿔 쓰는 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ol을 bool, crazy를 brazy로 쓰는 것 등이죠.
 
Alcohol Brown Paper Bag High Resolution Stock Photography and Images - Alamy
* Brown bag - 말그대로 갈색 종이 봉지인데,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공공 장소에서 음주하는 것이 불법입니다. 그래서 술병을 여기다가 넣어놓고 단속을 피해 몰래몰래 마시는 겁니다.
 
* Cee-lo - 주사위 3개로 하는 놀이. 대개 돈이 걸리죠. 규칙은 간단하게 주사위 조합의 순위를 따져 높은 순위인 사람이 이기는 것.
 
The Debunker: Do Police Outline Dead Bodies in Chalk? - Woot
* Chalk line
 사망자가 발생했을 때 시체를 옮긴 후 사망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분필선으로 그려놓은 것을 뜻합니다 - 즉 살인 현장이란 뜻이죠. 실제로는 사건 현장 훼손하는 경우가 있어서 요즘 들어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분필선'이라고 그냥 해석하고 싶은데 부연 설명이 매번 필요해서 귀찮은..;
 
* Cloud 9 - 황홀감을 느끼는 상태. 소설 "신곡"에서 주인공 단테가 천국에 도착할 때 마지막으로 거쳐간 구름이 아홉 번째였던 것에서 유래합니다.
 
* CO - Correctional officer. 교도관.
 
Amazon.com: KRKC&CO 14mm Iced Cuban Link Chain, 14k Gold Miami Cuban Link  Curb Chain for Men, Durable and Anti-Tarnish Urban Street-wear Everlasting  Shine Hip Hop Jewelry (14k Gold, 18): Jewelry
* Cuban link - 목걸이나 팔찌 스타일 중 고리를 연결시킨 형태 (Cuff link). 초반에 이걸 "쿠바산 목걸이"라 해석했던...-_-
 
* DA - District attorney. 검찰.
 
Dat Purple Drank Double - Cup Of Lean Png PNG Image | Transparent PNG Free  Download on SeekPNG
* Double cup - 스티로폼 컵을 이중으로 겹친 것인데, 안에 내용물이 안 보이게 하려고 하는 겁니다 (하나면 그림자처럼 비치니까). 보통 그 안의 내용물은 코데인 시럽인 경우가 많습니다.
 
The Myth About Balinese Dreadlocks - NOW! Bali
* Dread - Dreadlock (드레드락). 초반엔 '땋은 머리'로 해석을 많이 했지만 아무래도 부정확하죠. 다행히 드레드락이 한국에서도 유행하면서 마음껏 외래어처럼 사용할 수 있었네요.
 
Adidas 3 Stripes Small Duffle Bag Green - Tennis Warehouse Europe
* Duffle - 말그대로 '더플백'인데, 돈이나 코카인 뭉치, 총을 들고 다니는 가방이라 단순히 가방의 의미로 쓰이는 적이 없습니다.
 
P-EBT cards to provide benefits for students who receive free, reduced  lunches | The Henrico Citizen
* EBT - Eletronic benefits transfer. 저소득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지급되는 지불 카드로, 달마다 일정액 (평균 125달러 정도)이 입금되어 이것을 식비 또는 생활비로 사용 가능합니다. 200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 중이라 합니다.
 
* Five-Percent Nation
 1964년 Clarence 13X가 창시한 종교. "Nation of Gods and Earths" "Five Percenters" 등의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이슬람 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고, 창시자 Clarence 13X는 아래에 설명해둔 Nation of Islam의 신도였다가 일부 가르침 (예를 들면 창시자 Wallace Muhammed의 피부색이 밝은 톤이었기 때문에 알라신일 수 없다는 등)에 반기를 들고 나온 바 있습니다. 종교의 이름은 세상의 85퍼센트는 무지하고, 10퍼센트는 그들이 지혜를 갖지 못하게 방해하는 엘리트 세력이며, 진실을 알고 85퍼센트를 계몽하는 것이 5퍼센트의 몫이라는 데에 기반합니다.
 Nation of Islam과 마찬가지로 원시 인류는 흑인이었다고 가르치며, 이에 따라 남성 신도는 God, 여성 신도는 Earth라고 부릅니다. 또한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알파벳과 숫자인 "Supreme Alphabet" "Supreme Mathematics" 등을 가르치기도 합니다 (가끔 가사에서 R을 "Ruler" O를 "Cipher" Z를 "Zig-Zag-Zig" 등으로 표현하는게 Supreme Alphabet입니다)
 
* Freemason
 음모론에 등장하는 유명 단체로 정부 뒤에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비밀 결사라고 합니다 - Illuminati가 유명해지기 전까진 제일 유명한 음모론 단체였죠. Illuminati와 달리 이쪽은 정말로 존재하는 세계적인 단체고 비밀주의를 유지하고 있으나 그저 사교 클럽의 성격을 띄고 있을 뿐이라고 합니다. 과거엔 상류층만 가입 가능하여 더욱 음모론을 부추겼다고 하네요.
 
As Congress debates food stamp cuts, working poor worry
* Food stamp
 직역하면 '식권'이죠. 역시 저소득층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으로, 식비 지출에 한정하여 쓸 수 있는 1~10달러 어치의 식권을 나눠주던 것이 초기 형태입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는 위에 언급된 EBT 카드로 바뀌었습니다.
 
Greyhound bus offering free tickets home to runaway children - ABC7 San  Francisco
* Greyhound Bus - 미국에서 운영되는 시외 버스 라인.
 
What Are Grits?
* Grits
 옥수수로 만든 죽. 남부에서 일상적인 식사로 많이 만드는 요리로, 때문에 래퍼들이 어린 시절 (특히 그다지 유복하지 않던 시절) 얘기할 때 grits 먹었단 얘기를 가사에서 자주 합니다. 한국엔 없는 거다보니 해석하기가 애매했는데, 결국 '옥수수죽'으로 타협을 보았습니다.
 
* Hearse - Coffin과 구분 안 하고 해석한 적이 많은데, 사실 관이 아니라 영구차를 뜻합니다. 다만 영구차가 한국 문화가 아니다보니 그냥 관이라고 하는게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더군요.
 
* Illuminati
 '광명회'라고 번역되기도 합니다. 음모론에 등장하는 단체로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세계 정부의 막후 세력으로 존재하며, 비밀리에 인류 수를 조절 (그래서 코로나19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세계를 지배하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신세계 질서 (New world order)란 단어와 연관이 깊으며, 파충류 형태의 외계인인 렙틸리언 (Reptilian) 등이 상부에 존재한다고들 하죠. 원래 18세기에 실존하던 독일의 조직이었다 합니다.
 특히 삼각형과 전시안 (all seeing eye, 모든 것을 보는 눈)이 이들의 상징과 관련이 있어 이와 비슷한 형태를 가졌으면 전부 Illuminati 연관설이 붙게 되는데, 제일 유명한 것은 1달러 지폐에 있는 눈이 그려진 피라미드, 이에서 유래한 미 정부 Illuminati 연관설입니다.
 
* Interstate - 주간 도로. 즉 주와 주를 잇는 도로입니다. 한국에 없는 거다보니 '주간'이 그 의미인지 헷갈릴 수 있는게 아쉽습니다. 도로 표시를 할 때 I로 줄입니다 (예: I-95 - 95번 주간도로).
 
JIM CROW - 영어사전에서 jim crow 의 정의 및 동의어
* Jim Crow - 19세기 초 Thomas D. Rice가 만든 연극 속 캐릭터로, 누더기 옷을 입은 흑인 캐릭터입니다. 당시는 흑인이 무대에 오를 수 없었기 때문에 백인이 얼굴에 검은 분을 칠하고 (blackface) 연기했죠. 이는 당시 흑인들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만들어내기도 했으며, 이후 만들어진 인종차별적 법률을 "Jim Crow law"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세계사 속 오늘] 백인 우월 단체 'KKK단', 손발 묶여
* KKK - Ku Klux Klan의 약자. 극렬한 백인 우월 단체로, 흰 꼬깔과 흰 옷을 입은 모습으로 대표됩니다. 19세기에 처음 창단되었으며, 이후 20세기 초와 중반에 활동을 하여 현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쨌든 인종차별은 철폐되었으므로 대놓고 활동을 하진 못 하지만 현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하네요.
 
Lowrider GIFs - Get the best GIF on GIPHY
* Lowrider - 원래 차체가 좀 더 내려오도록 맞춤 제작한 차를 뜻합니다. 이들이 유명한 건 서스펜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펌프 (hydraulics)가 있어 운전자가 스위치로 차를 들썩이게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switch'라는 속어로 lowrider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Madden NFL 21, Electronic Arts,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Walmart.com  - Walmart.com
* Madden - EA Sports에서 개발한 유명 미식축구 게임 시리즈. 종종 가사나 뮤비에서 등장합니다. 미식축구가 유명하지 않아서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까봐 적어봤습니다.
 
Malcolm X, pulling back curtains to peer out of a window
* Malcolm X - 흑인 인권운동가 (1925-1965). 한국에 비교적 잘 알려진 마틴 루터 킹이 평화적인 노선을 취한 데에 비해 Malcolm X는 Nation of Islam의 가르침을 받아 좀 더 과격한 노선을 띄었습니다. 기관총을 들고 창밖을 보는 사진은 그의 제일 유명한 사진 중 하나죠. 1950년대 들어 Nation of Islam과 갈등을 빚어, 1965년 Nation of Islam 멤버에게 암살당했습니다.
 
* Melting pot - '끓는 냄비'. 미국에 대한 표현 중 하나로 여러 인종이 뒤섞여있는 실태를, 여러 재료를 넣고 한데 끓이는 냄비에 비유한 표현입니다.
 
* Mile High Club - 비행기에서 여자랑 섹스해본 경험을 일종의 '클럽 가입 조건'처럼 비유하여, 그런 경험을 해본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 Nation of Islam
 1930년 Wallace Fard Muhammad에 의해 창시된 종교. 이슬람 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흑인 중심의 종교입니다. 유명한 급진적 흑인인권운동가 Malcolm X가 몸 담았던 종교로도 알려져있고, 역대 지도자 (minister, 수상) 중 2대였던 Elijah Muhammad, 그리고 현 지도자 Louis Farrakhan이 자주 언급됩니다. 가사에서 등장하는 흑인들의 이슬람 교는 보통 Nation of Islam입니다. 원시 인류는 흑인이었고 백인은 Yakub이란 사악한 과학자가 만든 악마라거나, 달은 지구의 일부였다는 등 특이한 교리가 좀 있습니다.
 
* Pointer -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잘 알려진 단위 '캐럿'의 1/100로 비교적 작은 다이아몬드를 측정할 때 쓰이는 단위입니다.
 
* Prenup - Prenuptial agreement의 약자. 혼전 계약서. 결혼 자체에 대한 약속 조항도 포함되겠지만 주로는 이혼 시 재산 분배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 명시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 Proof - 술의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우리가 % 비율을 표현하는 '도수'의 두 배입니다 (즉 80 proof는 40도수의 술).
 
* Rasta - Rastafarian. 라스타파리교를 믿는 사람을 뜻합니다. 라스타파리교는 에티오피아의 마지막 황제 Haile Selassie를 신격화하여 숭배하는 종교이며,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라 기독교와 유사한 것도 있지만 (신을 지칭하는 Jah는 결국 야훼에서 나온 것. 악의 상징으로 대변되는 '바빌론'이 성경에 나오는 지명인 것), 흑인이 신의 시험 때문에 백인 압제 아래 놓였다는 흑인 중심의 이념과 함께 마리화나 흡연을 신성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드레드 머리를 하고 마리화나를 피우는, 레게 아티스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거의 Rasta에서 나온 겁니다.
 
heels w red bottoms online -
* Red bottom - '빨간 밑창'입니다. Louboutin에서 제작하는 구두의 특징입니다.
 
* Redneck - 교육 수준이 낮은 미국 백인 노동자를 경멸조로 이르는 말. 영화 볼 때 트레일러 몰고 다니고, 가끔 샷건부터 들이대는 힘센 백인 아저씨들...이 redneck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RICO - Racketeer Influenced and Corrupt Organizations Act. 간단히 말해 범죄 조직 소탕을 목적으로 만든 형법입니다. 범죄 조직의 일원으로써 저지른 죄는 이 법에 따른 처벌을 받습니다.
 
* Rolling stone - "구르는 돌". 가정을 내팽개치고 밖으로만 나도는 사람을 뜻합니다. The Temptations의 "Papa Was A Rolling Stone"이란 노래에서 유래했습니다.
 
Rosa Parks - Wikipedia
* Rosa Parks - 흑인 인권 운동가 (1913~2005). 과거 버스 내에 '흑인 전용석'이 있던 시절 백인 자리에 앉은 후 자리에서 일어나기를 거부했으며, 이는 흑인 인권 운동 역사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Saks 5th - 뉴욕 시의 거리 (Saks 5번가)로, 유명 고급 브랜드 매장들이 모여있습니다 - 약간 청담과 비슷한 느낌? 물론 스케일이 훨씬 크지만요ㅎ
 
Soul Food: History and Definition
* Soul food - 미국 남부 흑인들이 먹는 전통 음식. 흑인들의 가정식이라 봐도 얼추 비슷하며, 프라이드 치킨, 마카로니 & 치즈, 콜라드 그린 등등이 속합니다.
 
therealcarguys | Royce car, Car assesories, Car accessories for guys
* Stars on a ceiling - Rolls Royce 라인 중 Wraith 등 천장에 별 장식이 있는 걸 얘기합니다.
 
* Suburban – 도시의 외곽 지역인데, 보통 상류층들이 많이 사는 곳입니다. 단순히 교외 지역으로 해석해서는 뜻이 잘 안 살지만, ‘부자 동네’로 노골적으로 해석하는게 안 통하는 때가 가끔 있어서 고민하면서 써야하는 단어 - 도시의 붐비는 분위기와 대조적인 평화롭고 느긋한 분위기에 대한 상징으로 쓰일 때도 가끔 있습니다.
 
The Suicide doors' backstory - Why are they called Suicide Doors?
* Suicide door
 경첩이 일반적 형태와는 반대인 뒤쪽에 달려있는 차문 형태. 달리는 도중에 열릴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여 "자살 문"이란 별명이 붙었습니다 (이외에 coach door, flexdoor, freestyle door, rear access door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2003년에 발표된 Rolls Royce Phantom에 옵션으로 등장하는 등 현재는 럭셔리한 차의 특징 중 하나로 비춰지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 Three Strikes Law - 중죄를 저지른 전과가 세 번 있을 경우, 세 번째 범죄에 대해 중형 (보통 무기징역. 정확한 형벌은 주마다 다르나 '25년형에서 무기징역'으로 칭하는 듯합니다)을 내리는 법.
 
* Vulture - 대머리독수리. 대머리독수리는 다른 육식동물이 먹고 남은 시체를 먹이로 하는데, 이것 때문에 '도둑'이란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이에나와 비슷하죠.
 
* Uber - 이것도 이제는 다들 아실 것도 같네요. 택시와 유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명 카풀 서비스죠. 한국에선 택시 업체의 저항으로 유사한 서비스들까지 무산되었지만... Uber 말고 Lyft도 유명합니다.
 
Uncle Sam(엉클 샘)
* Uncle Sam - 미국 정부를 의인화한 캐릭터. 성조기 무늬 모자와 턱수염을 가진 백인 할아버지 모습이죠. 언제나 인종차별적 정책에 대해 주장하는 흑인들의 랩 가사에 미 정부가 긍정적으로 등장할리는 만무하죠.
 
* Uncle Tom - 1852년 발표된 Harriet Stowe의 소설 "Uncle Tom's Cabin"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서 유래. 나름 노예 제도를 비판한 소설이었으나, 주인공 Tom의 유순한 성격 때문에 일부 흑인들에서는 '부당한 대접을 다 감내하는 수동적인 인물'이란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 Wakes - 한글로 해석하면 '경야'라고 합니다. 서양의 문화로, 장례식 전날 그를 아는 사람들이 모여서 얘기를 주고 받고 망자를 추억하고 추도하는 행사이죠. 경야라고 해석하거나 풀어서 쓰기엔 구차하다보니 거의 '장례식'으로 해석했었습니다.
 
* Welfare - 뜻 그대로 '복지'인데, 랩 가사에서 등장할 경우는 보통 저소득층에게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달마다 주어지는 돈을 뜻합니다 (위에서 쓴 EBT도 포함하는 의미죠). 매달 1일 입금되는 경우가 많아서 랩 가사에서는 '1일'이 특별한 의미 (빈곤층으로 살던 이들도 돈 좀 쓰는 날)로 등장하곤 합니다.
 
* VVS
 다이아몬드의 선명도 등급 중 하나. VVS는 "Very Very Slightly included"의 약자로 정확한 의미는 "숙련된 감정가가 10배율 확대경에서 보기 힘들 정도의 불순물이 섞인 정도"를 뜻합니다. VVS는 VVS1, VVS2로 다시 나눠지고, 이 위로도 FL (Flawless), IF 등급이 있는데 힙합에서 굳이 VVS가 많이 쓰이는 건 가성비 (...) 때문이란 썰이 있습니다. 바로 아래 등급인 VS도 가사에 종종 등장하죠.
 
* 길이 단위
 inch (1인치 = 2.5cm) / feet (1피트 = 12인치 = 30cm) / yard (1야드 = 3피트 = 0.914m) / mile (1마일 = 1.6km)
 
* 부피 단위
 pint (1파인트 = 0.473리터) / gallon (1갤런 = 3.785리터)
 
* 거리의 규모에 따른 분류
 대체로 Boulevard > Avenue > Street로 규모 순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는 앞의 두 개를 "대로", Street를 "거리"라고 해석했는데 한국에 없는 시스템인만큼 별로 정확한게 아니다보니 뒤로 가서는 그냥 영어로 옮겼습니다.
 더 깊이 들어가면, avenue와 street는 수직 방향으로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 road, way, lane, drive 등의 거리 단위도 있는데 이거는 딱 떨어지는 분류가 없으니 그냥 두겠습니다.
 
 
2. 어구/문장
A.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
* 40 acres and a mule - 남북 전쟁이 끝나고 노예 해방이 이뤄진 이후 자유가 된 노예에게 보상으로 정부에서 약속했던 40에이커의 땅과 노새 (농부가 될 수 있는 기반이죠). 아무래도 모든 흑인이 받진 못 했고, 현재는 받아야하는 것을 흑인이란 이유로 받지 못한 것에 대한 비유로 쓰입니다.
 
* Against the grain - 흐름을 거부하는, 맞서는.
 
* Butterfly in one's stomach - 불안이나 기대로 두근대는 것.
 
* Chip on the shoulder - 직역하면 '어깨 위에 나무 토막'인데, 까칠한 태도를 뜻합니다.
 
Cross one's fingers. (행운을 빌다, 성공을 기원하다, 기도하다.)
* Cross one's finger - 검지와 중지를 꼬는 것을 말합니다. (1) 행운을 비는 표현. (2) 무언가를 말하면서 등 뒤로 손가락을 꼴 경우에는 지금 하는 말이 거짓말이라는 뜻입니다.
 
* Cross one's heart and hope to die - "심장을 걸고 죽더라도" 정도로 직역할 수 있겠네요. 말 그대로 '목숨을 걸만한 각오로'.
 
* Cross the t's and dot the i's - 't의 세로선을 긋고 i의 점을 찍다'. 일을 확실히 마무리 짓는 것을 뜻합니다.
 
* Don't shit where you eat - '먹는 곳에서 똥까지 싸지 마라'. 일하는 곳과 사는 곳을 분리시키라는 뜻입니다 - 일은 보통 마약 거래를 뜻하죠. 자기가 사는 곳에서 약을 팔 경우 나중에 추적도 쉽고 적들에게 털릴 수도 있을 테니까요.
 
* Give an inch, take a mile - '1인치를 주니 1마일을 가져간다'. 위에 길이 단위에서 말했듯 인치와 마일은 상당히 차이가 나는 길이 단위입니다. 약간 배려를 해주었더니 그걸 이용해서 엄청난 혜택을 누린다는 뜻의 표현입니다.
 
* I have a dream - '나는 꿈이 있다'. 이는 마틴 루터 킹의 유명한 연설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대충 '흑인과 백인이 평등한 삶을 살게 되리란 꿈이 있다'라는 내용... (으로 요약하려니 되게 없어보이는데 나머지 내용을 찾아보시길;)
 
* In the bag - (1) 따논 당상인, 확실한 (2) 집중해있는
 
* In the paint - 거리에서. '페인트'는 길거리 농구 코트에 칠해진 페인트에서 유래했습니다.
 
* It's not over till the fat lady sings - 직역 '뚱뚱한 여자가 노래를 부를 때까지 끝난게 아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정도의 의미입니다. 오페라에서 으레 작품이 끝날 즈음 프리마돈나 (보통 비만한 여성이었던)가 솔로 아리아를 부르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 Jump the broom - 결혼하다. 유대교 결혼 풍습에서 신랑과 신부가 땅에 놓인 빗자루를 뛰어넘는 것에서 유래.
 
* Let it rain - '비를 뿌려라'인데, 보통 지폐를 비처럼 뿌리는 것 (혹은 그 정도로 흥청망청 쓰는 것)을 뜻합니다. 스트립 클럽에서 돈 비 뿌리는 게 가장 원형에 가까운 이미지죠. 문맥에 따라서는 총알을 난사하는 걸 뜻하기도 합니다.
 
* Mind your Ps and Qs - 매너 있게 행동하라, 말조심하라. 즉 "Ps and Qs"는 대체로 '매너'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활자로 인쇄를 하던 시절 p와 q가 헷갈리기 쉬우니 조심하라고 했던 것에서 유래했단 설이 있지만 증거는 없다고 합니다.
 
* On God - 정말로, 신에 맹세코.
 
* Plead the 5th - 입을 다물다, 묵비권을 행사하다. 5th는 미국 헌법 수정 조항 5조 (5th Amendment)를 뜻하며 묵비권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 - self-incrimination- 을 피할 권리) 뿐만 아니라 형법 재판 절차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Proof is in the pudding - '증거는 푸딩에 있다'. 혹은 "Proof of the pudding is in the tasting", 즉 푸딩이란 증거는 맛에 있다. 맛보기 전까지는 이게 푸딩인지 뭔지 모른다는 거죠.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안다', 즉 실제로 해봐야만 성취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뜻입니다.
 
* Put your money where your mouth is - '네 입에 돈을 걸어라'. 이는 즉 자기가 하는 말에 돈을 걸 정도로 확실히 책임을 져야한다는 뜻입니다.
 
* Ride dirty - 불법적으로 차를 몰다. 무면허로 운전하는 것 또는, 불법 밀수품 및 허가 받지 않은 물건을 싣고 다닌다는 뜻입니다.
 
* Save a ho - '창녀를 구해준다', 즉 돈만 밝히는 여자에게 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 형편 나아지게 만들어줬단 뜻입니다. 남자의 재력을 과시하는 방법일 수 있겠지만 주로는 호구 잡힌 이미지입니다. E-40의 "Captain Save-A-Ho"로 유명해진 표현입니다.
 
* Shit hit the fan - 직역 '똥이 선풍기에 부딪치다'. 그러면 선풍기 때문에 여기저기 흩어지고 냄새도 지독해지겠죠. '상황이 한 순간 악화되다'란 뜻입니다.
 
*  Smell the Folgers - Folgers는 커피 브랜드입니다. 커피 향을 맡는 것은 잠 깨고 정신 차리라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죠. "Wake up and smell the coffee"라는 식으로 바꿔 말하기도 합니다.
 
* Switch lanes - '차선을 바꾸다'. 그냥 왔다갔다 하면서 마음대로 운전하는 모습을 상상하면 됩니다.
 
* The bees and the butterflies - 엉뚱하게도 '성교육'이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벌침이 남자 성기의 비유를 가지고 나비가 여자를 의미한다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 Walk in one's shoes - 직역하면 '~의 신발을 신고 걷다'이죠.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본다는 뜻입니다. 신발 관련 펀치라인이 많은 데다 너무 자주 등장해서 이젠 부연 설명도 잘 안 다는...
 
* Wipe a nose - 직역하면 '코를 닦다'인데, 코를 문지르는 척하면서 다음 죽일 타겟을 몰래 가리키던 것에서 유래하여 '죽이다'의 뜻이 됐습니다. 특히 같은 팀의 배신자를 제거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 Word is bond - 내 말은 믿어도 된다. 여기서 Bond는 '계약, 약속'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굳이 문법적으로 따지자면 My word is my bond였겠죠. 5th Percenters가 쓰는 표현이었다고 하네요.
 
* You can't have cake and eat it - 케이크를 만들고 먹기까지 할 순 없다.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순 없다' 정도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 지나친 욕심을 내지 말란 뜻이죠. 반대로 Have cake and eat it하면 원하던 걸 다 가졌단 뜻이겠죠.
 
 
B. 모두 뜻을 아는데 번역은 어려운 문장
 
* Blow my mind - '내 마음을 날려버리다'... 말그대로 뒤집어질 정도로 놀래켰단 뜻이죠. 그냥 직역해버리는데 익숙해졌지만 한국어에 있는 표현은 아니라서 좀 찜찜한 구석은 있습니다.
 
* Come on - 고민해봤자 답이 안 나와서 '이리 와'로 간단히 번역할 때가 많은데, 서두르라는 뉘앙스가 있기 때문에 '어서!'로 해석할 때도 있고... 문맥 눈치 보면서 적당히 고릅니다.
 
* Drop it/work it - 어쨌든 여자 보고 춤추라는 내용이라 '흔들어' '춤춰' 정도로..
 
* Get down/Break it down - 개인적으로는 '움직여' '일을 벌여' 이 정도로 합니다. 이런 문장이 어려운게 뜻을 풀이하려면 그래도 시도는 할 수 있지만 원 문장만큼의 간결함을 얻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당장 "일을 벌여"도 지나치게 장황해보이죠) 그렇습니다.
 
* Hit 'em up - '쳐올려'라고 번역을 했는데... 하... 하필 또 이 이름의 명곡이 있어갖고 더 어렵습니다.
 
* Hold it down - 포기하지 않고 계속 가다, 또는 누군가를 옆에서 지켜주고 지지하다. 역시나 이걸 간단하게 줄이는게 어렵습니다. '지켜' '버텨' 뭐 이런 쪽으로..
 
* Move on - 이건 속어는 아닌데 나올 때마다 진짜 골치 아픕니다. 사랑하던 사람을 잊었다는 뜻인데, 자기 미련을 놓고 앞으로 움직여 가기 때문에 "move on"이란 표현이 되는 거죠. 이 의미를 살려 '다른 곳으로 가다'라고 해석하면 도리어 어색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잊다' '극복하다'로 해석하면 좋지만, 목적어가 생겼을 경우, 즉 "누구누구에게로 move on"했다고 할 때 참 애매하죠. 예를 들어 '다른 남자에게로 옮겨갔다'라고 하면 사실 과거의 사랑을 잊고 옮겨갔다기 보단 화자가 바람을 피운 것 같은 뉘앙스가 되니까요; 되게 쉬운 표현인데도 의외로 해석이 안 되는 대표적인 어구입니다.
 
* On a mission - 직역하면 '임무 수행 중'이죠. 직역 그대로 쓸 때도 있지만 일상적이지 않은 단어 선택이다보니 '할 일이 있다' '목표가 있다' 등으로 쓰곤 합니다 - 근데 '임무 수행 중' 같은 뉘앙스를 주면서 일상적인 표현은 잘 모르겠더군요...
 
* Straight up - 거침 없이 단도직입으로, 망설임이나 숨기는 것 없이. 대충 연관지어 '진짜로'라는 의미로도 잘 쓰입니다.
 
* Word to ... - 이건 자기 말이 진짜임을 다른 사람의 이름을 끌어와 보증하는 투로 얘기하는 건데, 한국어에는 없는 표현이라 난감하죠. 그나마 제가 택한 건 "Word to A"라고 했을 때 "A를 걸고" 라 해석하는건데, 불필요하게 비장해보일 뿐더러 사실 이 A가 자기가 맘대로 걸 수 있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도 참 이상합니다. 펀치라인처럼 A의 말을 인용 또는 패러디할 때 "Word to"를 쓰는 경우도 많아 "A의 말대로"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신고
댓글 31
  • DanceDBest Hustler 글쓴이베스트
    3 4.25 17:09

    은퇴를 앞두고 만들어본 자료집입니다.

    사진 크기 들쭉날쭉하고 폰트가 중간에 변하는 점은 양해 바라요. 고칠 수도 있었겠지만... 당당히 귀찮았다고 하겠습니다 (응?)

    내일 저는 스탭 DanceD로써 올리는 마지막 초강력 썰풀기 글을 올리겠습니다

     

    틀린거 빠진거 자유롭게 추가 바랍니다

  • DanceD Hustler 글쓴이
    3 4.25 17:09

    은퇴를 앞두고 만들어본 자료집입니다.

    사진 크기 들쭉날쭉하고 폰트가 중간에 변하는 점은 양해 바라요. 고칠 수도 있었겠지만... 당당히 귀찮았다고 하겠습니다 (응?)

    내일 저는 스탭 DanceD로써 올리는 마지막 초강력 썰풀기 글을 올리겠습니다

     

    틀린거 빠진거 자유롭게 추가 바랍니다

  • 4.25 17:23
    @DanceD

    은퇴하지마요 ㅠㅠ

  • 4.25 17:40
    @DanceD
  • 4.25 17:44
    @DanceD

    은퇴!? ㅜㅜ

  • 4.25 18:08
    @DanceD

    래퍼들처럼 은퇴 번복해주세요 ㅠ

  • 4.25 20:55
    @DanceD

    안되요ㅠㅠㅠ

  • 4.25 21:30
    @DanceD

    ㅠㅠㅠㅠ

  • 4.26 17:32
    @DanceD
  • 4.25 17:33

    B가 진짜 꿀팁이네요

     

    감사합니다 ㅜㅜ

  • 4.25 17:44

    And you don't stop, and you don't quit!

  • 4.25 17:44

    어구/문장만 마스터해도 영어 실력이 확 늘겠네요

  • 4.25 17:48
  • title: Quasimotocbn
    4.25 17:58
  • 4.25 17:58

    왜 은퇴...?

  • 4.25 18:04

    은퇴라뇨 ㅠㅠㅠ

  • 4.25 18:23

    수고하셨습니다

  • 4.25 18:24

    누가 댄스디의 뒤를 이을것인가 ㅠㅠ

  • 4.25 19:46
    @backstreet

    뉴비라 그러는데 뭐하시는 분이길래 은퇴를 한다는 건가요?

  • DanceD Hustler 글쓴이
    2 4.25 19:51
    @요령껏

    스탭..?

  • 4.25 21:02
    @요령껏

    한국에서 외힙 가사해석 제일 많이 하신분

  • 4.25 18:28
  • 은퇴라니 엉엉...ㅠㅠ

  • 4.25 20:14

    은퇴라니.... ㅠㅠㅠㅠㅠ

  • 4.25 20:21

    은퇴하지 마세요ㅠㅠ

  • 4.25 20:44
  • 4.25 23:13

    그저.. Dance 'The Dictionary' D..

    가사해석 계속 해주세요 ㅠㅠ

  • 4.26 00:50

    댄스디님의 슬랭사전이라.... 이거 귀하군요

    이거는 ㄹㅇ 여기저기에 백업해뒀다가 유용하게 써야겠습니다

    은퇴하신다니 안타깝지만 뭐 댄스디님만의 사정이 있으실테니....ㅠ

     

    아, 글고 애매하다고 언급하신 bad 같은 경우는 전 '죽여주는' 정도의 뉘앙스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쓰니까 뭐 해석을 엄청 마니 해본 사람같이 들리네....)

  • 4.26 10:23

    와 감사합니다 ㅠㅠ

  • 댄스디님 은퇴는 ㄹㅇ 국가적 손실인데......

  • 4.26 17:33
  • 4.26 21:08

    헉..은퇴뒤에도 행복하세요ㅠㅠ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7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아이콘] Stevie Wonder, D'Angelo 등 아이콘 출시 / 11월 ...46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화제의 글 리뷰 frank ocean - blonde 감상문9 soulquarians 14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속보) 전역함9 title: Long SeasonFishmans 6시간 전
화제의 글 리뷰 Mobb Deep - Infinite 리뷰4 title: Mach-Hommy온암 15시간 전
118110 일반 아마존 배송 추적 어떻게 하나요?3 title: Late RegistrationAlonso2000 2021.04.25
118109 음악 요즘은 확 끌리는 음악이 없어요2 title: Nas (2)backstreet 2021.04.25
118108 일반 바이닐 보관 어떻게 하시나요?5 title: Pop Smoke자자분자 2021.04.25
일반 가사 해석할 때 알고 있으면 편한 속어/단어/문장 정리 (2)31 DanceD Hustler 2021.04.25
118106 일반 가사 해석할 때 알고 있으면 편한 속어/단어/문장 정리 (1)20 DanceD Hustler 2021.04.25
118105 그림/아트웍 프레디 깁스 만화,,14 Golf흑산 2021.04.25
118104 일반 네이버 스마트렌즈가 본 타일러의 관상15 SupremeSlim 2021.04.25
118103 음악 스눕독 - Peaches N Cream (feat. Charlie Wilson)3 title: Guy-Manuel de Homem-Christo (2)로수 2021.04.25
118102 일반 힙x)NME도 500대 명곡 리스트가 있네요5 하트맨폴가이즈 2021.04.25
118101 음악 그런데 도끼는 이제 외갤에서 말해야 하는건가요?8 title: Graduation해로war 2021.04.25
118100 음악 더티 사우스-크렁크 명반 하나씩 적고 가세요~1 title: Late RegistrationAlonso2000 2021.04.25
118099 음악 머니백은 어케 뜬거임?1 title: Playboi Carti (King Vamp)Young Carti 2021.04.25
118098 일반 엘이 최고의 힙스터21 title: Lil TjayWithSaje 2021.04.25
118097 일반 선착순 1명 Lil Tjay 아이콘 무상으로 증정15 메소드뱅 2021.04.25
118096 음악 벌써 더운 날씨, 우리는 캐나다로 갑니다. title: Late RegistrationAlonso2000 2021.04.25
118095 음악 이번에도 이런 느낌 힙합 추천 좀요 jihu0928 202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