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눈팅을 즐기고 가끔 개드립치는 회원잉니다
다름이 아니라 pusha T님의 글에 큰 감명을 받아 글을 쓰게 되엇습니다
요즘 한국은 힙합/랩 음악이 대세(?) 혹은 전성기라고 해도 하등 문제가 없을만큼 여기저기 음악이 들리고 있습니다
문제는 겉으로 보기에만 그렇다는것 입니다
수많은 랩퍼들이 싱글을 발매하고 앨범을 내며 공연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기쁜 마음이 들지만 염려스러운 마음도 커집니다.
사랑을 주제로한 노래?
좋아합니다. 사랑 처럼 숭고하고 달콤한건 찾기 힘듭니다
하지만 다들 똑같은 표현과 비슷한 주제로
듣는 입장으로하여금 '모든 랩퍼들이 같은 여자를 만나나?'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사랑을 잃은 마음이 다같고 슬픈건 이해가 갑니다만
왜 스스로 예술가라고 지칭하는 사람들이 비슷한 표현으로만
하려는지 도무지 이해가안됩니다
내실을 키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국힙은 라임이 부족한게 아니라 열린 표현과 내용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엘이 회원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다양한 의견,생각을 들려주세요
사실 저도 음악을 꿈꾸고있고 사랑하는 입장에서
여러분의 의견과 충고는 힘이 됩니다
두서없고 필력도 엉망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pusha T님의 글에 큰 감명을 받아 글을 쓰게 되엇습니다
요즘 한국은 힙합/랩 음악이 대세(?) 혹은 전성기라고 해도 하등 문제가 없을만큼 여기저기 음악이 들리고 있습니다
문제는 겉으로 보기에만 그렇다는것 입니다
수많은 랩퍼들이 싱글을 발매하고 앨범을 내며 공연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기쁜 마음이 들지만 염려스러운 마음도 커집니다.
사랑을 주제로한 노래?
좋아합니다. 사랑 처럼 숭고하고 달콤한건 찾기 힘듭니다
하지만 다들 똑같은 표현과 비슷한 주제로
듣는 입장으로하여금 '모든 랩퍼들이 같은 여자를 만나나?'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사랑을 잃은 마음이 다같고 슬픈건 이해가 갑니다만
왜 스스로 예술가라고 지칭하는 사람들이 비슷한 표현으로만
하려는지 도무지 이해가안됩니다
내실을 키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국힙은 라임이 부족한게 아니라 열린 표현과 내용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엘이 회원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다양한 의견,생각을 들려주세요
사실 저도 음악을 꿈꾸고있고 사랑하는 입장에서
여러분의 의견과 충고는 힘이 됩니다
두서없고 필력도 엉망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저는 힙합을 좋아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그리고 가요 잘 안들으면서 주변사람들에게 한 얘기 중 하나가 '주제의 다양성'을 내세우곤 했었는데 요즘은 그러하다 라고 말을 잘 못하겠네요. 그 얘기를 하고 예시를 들기엔 대화상대가 알고있을 법한 노래들은 전부 '한가지의 주제'로 봐도 무방할 정도의 내용들이라..넓게 본다고 생각하고 굳이 예시를 들자면..
'너 매력있어, 내가 가질꺼야' '니가 떠났어, 나 아퍼' 정도...?
전에 무한도전에서였나? 어느 방송계 종사하시는 분께서 무한도전과 타 프로그램을 비교하면서 한 얘기가 '포맷이 잡히기 전까지 여러 것을 시도해보다가 피드백이 오고 어느정도 틀이 잡히면 그걸 유지해나가게 되고, 그 프로가 자리가 잡히면 후발대로 나오는 프로들은 그 프로그램을 답습하게 된다.' 였는데 한국힙합의 메인스트림에서도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이건 듣는 사람도, 뮤지션도 둘 다 문제가 있는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주관적 입장입니다
힙합도 이런점을좋아해서 듣기 시작했던건데
저는 리스너의 문제를 인지하지 못했는데 시원하게 그리고 명쾌하게 찝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저는 그놈의돈, 상업성이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어쩔수없이 대중들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엠씨들에게 있어서 현재씬에서 여성리스너들이 그들에게 가장 영향력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여성리스너들이 선호하는 주제가 사랑이고 사랑에 제일 잘 맞는 비트들이
말랑말랑한 비트라고 생각해서...
씨빱바룰라! 예! 내가짱! 이런걸 말랑말랑한 비트에 대입하면 저는 뭔가 매치가 잘 안되네요ㅎ
이걸깨야돼요 그렇다고 그걸 힙합이 아니라고 부정하는건 웃기는거고
저는 분명 힙합으로 인정하지 않는것은 제 개인적인 생각이고 힙합의 범주에 넣는 행위도 존중해드렸는데 이딴식이군요ㅋㅋㅋ
표현이 맘에 안드셨다면 사과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장르의 정체성이 모호해지고 힙합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힙합에 대해 이해하기가 더 어려워지는 여러가지 부정적 요인들이 걱정되서 그러한 의견을 피력하는 것입니다.
제입에서 나오는대로 말그대로 씨부려버렸네요 예의지켰어야되는건데
죄송합니다 jaem 님 입장과 딥플로우님 입장 저도 절실히 이해하고
기형적인 힙합아닌 힙합 보다 오리지널 힙합트랙으로 승부할수 있는
그런때가 왔으면 하고 절실히 느낍니다.. ㅠ퓨
근데 힙합많이 들은 사람들은 취향을 떠나서
멋없는게 뭔지 멋있는게 뭔지 알거같아요(너무 치우친 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라고하시면 할말은없어요)
푸샤티님 글에도 썼지만 Juicy보단 Who shot ya?가 멋있는게 사실
자기가 멋없는거 똑같은거 알면서도 하는건 진짜 웩이라고생각해요
딥플로 말대로(의견은 공감하지만 너무 비꽈서 실망이었어요) 사랑노래실컷하다가 언더래퍼단체곡 넣고 나 힙합이야사실!이러는 래퍼들이 특히 그렇다고생각해요
그런데 자기가 만약 당당하고 그 스타일이 좋다고 하여도 그게 과연 힙합을 하는것인지 하는 의문...
듣기도 너무 소모적이어서 ㅋㅋ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는 가사보다 문제인게 음악의 양식 같습니다.
힙합음악을 듣는 의의는 루프에서 오는 리듬감입니다.
현재 '한국형 멜로우 힙합'으로 대변되는 음악들은 그러한 의의를 거의 또는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
사실상 장르의 의의를 버린 것이지요.
물론 힙합으로 인정하자는 의견에 반대하기는 하지만 분명 그러한 의견에 존중은 표합니다.
하지만 힙합으로써의 가치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힙합을 넘어서 범장르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그런 음악이 음악적 가치가 높을거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무엇보다 힙합에 대해 처음 접해보는 사람의 경우에 이런음악을 '힙합'이라고 규정한다면 그 장르에 특성을 이해하는데 혼란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분명 힙합에서 제외한다면 힙합의 특성에 대해 쉽게 이해하겠지만 포용하게 되면 힙합의 특성이 상당히 모호해집니다. 오히려 발라드가 그 음악들을 포용했을 때에 장르적 특성이 덜 모호해지는 것 같습니다.
근데 요즘은 노래를 들으면 '요걸 어떻게 만져야 돈 좀 만질까'하는 속셈이 느껴지는 노래들이 많아서 싫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자기 얘기를 자기만의 스타일로 랩을 하는것에 대해서 공감합니다
예를 들어놓고 보자면 제이지가 사랑노래를 했어도
'랩' 자체를 잘하기때문에 인정하고 박수 쳐주는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어느 랩퍼가 사랑노래를 하든 슬픈 노래를 하든
상관은 없지만 랩퍼라면 정말 랩 부터 정말 잘했으면 좋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