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전곡

[Blue Note – BLP 1501] Miles Davis - Volume 1

title: Mach-HommyMr.SlowFlow2025.02.17 03:28

 

00602537498277.rgb.jpg

 


 

Blue Note – BLP 1501
녹음일 : 1952년 5월 9일, 1953년 4월 20일

발매일 : 1956년 1월

트럼펫 : Miles Davis
알토 색소폰 : Jackie McLean
베이스 : Oscar Pettiford, Percy Heath
드럼 : Kenny Clarke, Art Blakey
피아노 : Gil Coggins, Horace Silver
테너 색소폰 : Jimmy Heath
트럼본 : J.J. Johnson

 

 

 

01. Dear Old Stockholm


02. Chance It


03. Donna (a.k.a. Dig)


04. Woody 'n' You


05. Yesterdays


06. How Deep Is the Ocean?


07. Chance It (Alternate Take)


08. Donna (Alternate Take)


09. Woody 'n' You (Alternate Take)


10. Take Off


11. Lazy Susan


12. The Leap


13. Well, You Needn't


14. Weirdo


15. It Never Entered My Mind

 

 


An important jazz issue for "modernists," Blue Note apparently has begun conversion of its catalog to 12-inch, enhancing the sound en route.
"모더니스트"들에게 중요한 재즈 발매로, 블루 노트가 카탈로그를 12인치로 변환하기 시작했으며, 그 과정에서 사운드를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Along with the current pace-setting trumpeter Davis, the big names featured here include top modern trombonist J.J. Johnson, drummer Kenny Clarke and bassists Percy Heath and Oscar Pettiford.
현재 최고 수준의 트럼펫터인 Davis와 함께, 이 앨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로는 탁월한 모던 트럼본 연주자인 J.J. Johnson, 드러머 Kenny Clarke, 그리고 베이시스트 Percy Heath와 Oscar Pettiford가 있습니다.

 

Davis' profound sensitive horn is well demonstrated in the moody Enigma.
Davis의 섬세하고 깊이 있는 트럼펫 연주는 Enigma에서 잘 드러납니다.

 

Tempus Fugit and C.T.A. are fine examples of post-bop singers.
Tempus Fugit와 C.T.A.는 포스트-밥 스타일의 훌륭한 예시입니다.


 


[Orignial Liner Notes] - by Leonard Feather


At the end of 1955 Miles Davis received an unexpected Christmas gift.
1955년 말 Miles Davis는 뜻밖의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았습니다.

 

For the first time, the readers of Down Beat* had elected him to first place on trumpet in the annual popularity poll.

다운비트 독자들이 연례 인기 투표에서 처음으로 그를 트럼펫 부문 1위에 뽑은 것입니다.
*Down Beat : 재즈, 블루스를 주로 다루는 미국의 음악 잡지

 

At that, it was a close race, with only a few votes separating him from the next two eligibles.
당시에는 2위 후보와 불과 몇 표 차이로 박빙의 승부를 펼쳤습니다.

 

That this token of esteem was long overdue can be gauged by the fact that Miles, as for back as 1947, won a poll in which the voters were not the public but a handful of critics, who selected him as the new star of the year in the Esquire*1 balloting. (He tied with Dizzy*2 in this year's Down Beat Critics' poll, too.)
Miles가 1947년 에스콰이어 투표에서 대중이 아닌 소수의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 올해의 새로운 스타로 선정되었다는 사실만 봐도 그가 얼마나 존경받는 인물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는 올해의 다운비트 크리틱스 투표에서도 Dizzy와 동률을 기록했습니다).
*1 : Esquire 1933년 미국 시카고에서 창간된 남성 잡지
*2 : 트럼펫 연주자 Dizzy Gillespie

 

Poll victories, however, are a reflection neither of success nor of artistic merit.
그러나 투표에서의 승리는 성공이나 예술적 재능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Miles' talent is its own best reward, for the music you can hear between these covers stands a good chance of lasting long alter the details of the voting are forgotten.
Miles의 재능은 그 자체로 최고의 보상이며, 이 앨범들 사이에서 들을 수 있는 음악은 투표의 구체적인 결과가 잊힌 후에도 오래도록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Miles Dewey Davis*1 – born Alton, Illinois, May 25, 1926, raised in East St. Louis, Dizzy and Bird*2 admirer when the old Eckstine*3 band passed through town, Juilliard student in 1945, Fifty Second Street denizen, big band sideman with Eckstine and Benny Carter – is a singular human being.
1926년 5월 25일 일리노이주 앨튼에서 태어나 이스트 세인트루이스에서 자랐고, 옛 Eckstine 밴드가 마을을 지날 때 Dizzy와 Bird를 좋아했으며, 1945년 줄리아드 학생, 피프티 세컨드 스트리트 주민, Eckstine과 Benny Carter의 빅밴드 사이드맨 등 Miles Dewey Davis는 독특한 인간입니다.
*: Miles Davis의 풀네임
*2 : 알토 색소포니스트 Charlie Parker
*3 : 빌리 엑스틴. 스윙, 비밥 시대 미국 재즈 및 팝 가수

 

Today's leader is always yesterday's follower.
오늘의 리더는 언제나 어제까지 추종자였습니다.

 

Just as Dizzy Gillespie was the chrysalis that grew from an Eldridge* egg, so was Miles the butterfly that emerged in the next stage of stylistic development.
Dizzy Gillespie가 Eldridge의 알에서 자란 번데기였던 것처럼, Miles도 새로운 스타일 발전의 다음 단계에 등장한 나비였습니다.
* : 재즈 트럼펫 연주자로 Dizzy Gillespie에게 큰 영향을 끼침

 

In fact, so swiftly did his own style develop that it is hard to remember back to the time when Miles' solos seemed to bear a resemblance to Dizzy’s.
사실 Miles의 솔로가 Dizzy의 솔로와 비슷해 보였던 시절을 기억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만의 스타일이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Wasn't it Barry Ulanov* who once wrote that Miles' tone reminded him of a man walking on eggshells?
Miles의 음색이 달걀 껍질 위를 걷는 남자를 연상시킨다고 쓴 사람이 바로 Barry Ulanov가 아니었던가요?
* : 미국 재즈 평론가

 

If not, let whoever it was come forward and take a bow, for nothing could more aptly conjure up the manner in which Miles' notes emerge from the bell of his horn, the staccato yet fluid drive of his rhythmic conception.
그가 썼던 아니던 그런 말을 한 사람은 앞에 나와서 사과의 큰절을 올리시죠. Miles가 내는 음이 그의 트럼펫에서 나오는 방식, 스타카토이면서도 리드미컬한 구상의 유려한 추진력을 이보다 더 적절하게 연상시킬 수 있는 것은 없으니까요.

 

Melodically it would be harder to express his personality in words; one can only observe that if Dixieland is, as it has so often been called, "happy music," then the solos of Miles Davis more likely reflect the complexity of the neurotic world in which we live.
딕시랜드가 흔히 "행복한 음악"이라고 불린다면 Miles Davis의 솔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신경처럼 얽히고 설킨 세계의 복잡성을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The soaring spurts of lyrical exultancy are outnumbered by the somber moments of pensive gloom.
서정적인 환희가 솟구치는 순간이 침울한 우울함의 순간보다 더 많기 때문입니다.

 

How can you prove it? Miles uses the same twelve notes* every other living jazzman uses.
그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Miles는 다른 모든 현역 재즈 뮤지션들이 사용하는 12개의 음을 똑같이 사용합니다.
* : 온음7개+반음5개

 

Who can say that this music is happy and that music is sad? That Miles can be so completely Miles that Dizzy's Woody'n You assumes a new and un-Gillespieish coloration in his hands?
누가 이 음악은 행복하고 저 음악은 슬프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Miles가 완전히 Miles일 수 있다는 것, 그래서 그의 손에서 Dizzy의 'Woody'n You'가 새롭고 길레스피적이지 않은 색채를 띠게 된다는 것을 누가 증명할 수 있을까요?

 

You can't prove it. All you can say is, well, that’s what makes jazz the exciting thing it is, limning the character at the man who makes it, fabricating moods and transmitting thought vibrations in the very moment of creation.
증명할 수는 없죠. 다만 재즈를 만드는 사람의 개성을 살리고,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창조의 순간에 생각의 진동을 전달하는 것, 그것이 재즈를 흥미진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뿐이죠.

 

And in this process Miles is a past master.
그리고 이 과정에서 Miles는 예전부터 숙련된 거장입니다.

댓글 2

댓글 달기 WYSIWYG 사용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검색

이전 1 2 3 4 5 6 7 8 9 10... 88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