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스는 한국 힙합에서 특이한 위치에 있다. 그는 음악보다 태도로 흐름을 만들었다. 자신감, 허세, 디스, 미국 본토 문화의 토착화. 언어유희, 한영혼용, 도치법을 유행시켰다. 처음도, 최고도 아니었다. 하지만 타블로의 난도가 너무 높았다면 스윙스의 방식은 대중이 모방하기 쉬웠다. 컨트롤 디스전, 쇼미더머니, 레이블의 흐름. 굵직한 장면마다 그가 있었다.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한국 힙합을 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마디 남기고 싶어 한다. 그 자체가 거물의 증거다.
최근의 행보는 이물감을 준다. 바이오그래피의 빈약함 때문이다. 이센스, 버벌진트, 타블로, 빈지노는 앨범 단위로 완결성을 입증했다. 스윙스의 커리어에 그런 앨범이 있는가. 많지 않다. 빈지노가 노비츠키로 방점을 찍을 때, 스윙스는 우하향 곡선을 그렸다.
힙합을 여러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나는 ‘자의식’을 뺄 수 없다고 본다. 한국 힙합의 팬과 아티스트는 자신이 ‘한국에서’ 힙합을 한다는 사실을 강하게 의식한다. 나에겐 생소하다. 에픽하이 팬이라 그럴 수도 있다. 스윙스는 이 자의식을 가장 강하게 표출한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 자의식은 때로 자신을 작게 만든다. 그는 세계 속의 자신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앞세운다.
그래서 holy 같은 곡에서 실수를 한다. 공격하는 이들이 열등감 때문이라 말하는 가사. 하지만 그는 잘못도 했다. 힙합 팬덤은 그 잘못에 관대하다. 안티도 많지 않다. 이런 조건에서 그의 반응은 과잉된 자의식처럼 보인다. 엄살이나 호들갑에 가깝다. 그의 자의식은 ‘힙합하는 예술가 스윙스’가 아니라 ‘힙합하는 나, 스윙스’에 가까운 순간이 있다. 그 순간 그는 작아 보인다.
커리어 고점을 개인작보다 컴필에서 보여준게 확실하다고 느껴져서 애매모호하다고 느껴지는것도 있는듯
막말로 에넥이나 누명까진 아니여도 그거보다 별 반개 아래인 개인앨범 두어개만 냈으면 업5때처럼 헛소리 좀 해도 그런가보다 했을 것 같기도..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