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작업물들 들어보면 사운드에 찰떡으로 스며들어서 딱히 이견이 없을 거라고 생각해요. 상당히 세련된 감각이라고 생각하고요. 퍼블릭에너미, 메이드인코리아에서의 랩이나 여러 곡들의 훅 메이킹을 들어보면 자기 스타일이 더 견고하게 구축돼가는 중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래퍼이자 작가사로서의 한끝이 없다고 생각해요. 딱딱 맞춘 라임과 플로우의 랩이 더 튀어나와야 된다는 건 아니고 래퍼는 멍청한 내용을 쓰든, 약에 취한 것처럼 쓰든, 각잡고 존나 진지하고 비장하게 쓰든 작사가로서의 색채가 드러나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식케이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가사에 그게 없다는 점이 아쉬운 것 같아요.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식케이가 그걸 모를 것 같지는 않아요. 그런 점이 취약하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운드와의 조화를 우선으로 한 톤 조절과 내용적인 것보단 스타일의 측면이 더 강조된 음악을 만드는 것 같고요. 이런 점이 기존 힙합마니아들에게 익숙한 정통성과 충돌하면서 비판적인 의견이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식케이가 쭈욱 지금 같은 행보를 이어가면 더 인정받을 거라고 생각해요. 이미 많은 걸 바꿔놓는 중이기도 하고요.
'빌스택스'
'빌스택스'
캬 이거지
손흥민도 월클이라는 식의 기준이면 맞고 메호만 월클이라는 기준이면 아님
크
빌스택스 노래나 듣고와라
빌스택스가 트랩킹이지 ㅋㅋㅋ
최근 작업물들 들어보면 사운드에 찰떡으로 스며들어서 딱히 이견이 없을 거라고 생각해요. 상당히 세련된 감각이라고 생각하고요. 퍼블릭에너미, 메이드인코리아에서의 랩이나 여러 곡들의 훅 메이킹을 들어보면 자기 스타일이 더 견고하게 구축돼가는 중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래퍼이자 작가사로서의 한끝이 없다고 생각해요. 딱딱 맞춘 라임과 플로우의 랩이 더 튀어나와야 된다는 건 아니고 래퍼는 멍청한 내용을 쓰든, 약에 취한 것처럼 쓰든, 각잡고 존나 진지하고 비장하게 쓰든 작사가로서의 색채가 드러나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식케이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가사에 그게 없다는 점이 아쉬운 것 같아요.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식케이가 그걸 모를 것 같지는 않아요. 그런 점이 취약하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운드와의 조화를 우선으로 한 톤 조절과 내용적인 것보단 스타일의 측면이 더 강조된 음악을 만드는 것 같고요. 이런 점이 기존 힙합마니아들에게 익숙한 정통성과 충돌하면서 비판적인 의견이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식케이가 쭈욱 지금 같은 행보를 이어가면 더 인정받을 거라고 생각해요. 이미 많은 걸 바꿔놓는 중이기도 하고요.
정신과 안 가냐?
오케이션 ㅋㅋ
스꺼러갱 코홀트가 있다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