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위 세 개 각의 성질은 평행선을 지나는 직선을 그엇을 때 확인 가능한 성질들인데요, 맞꼭지각이란 두 개의 선분이 만난 한 점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각의 크기가 같다는 성질을 의미하고, 동위각은 4등분 된 평행선의 각들 중 같은 위치에 있는 각들은 크기가 같다는 사실, 엇각은 앞서 언급한 두 성질을 응용해 서로 어긋나게 맞물린 각의 크기가 같음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고등학교 기하학은 잘 모르기만, 중등 기하학에선 1+1처럼 당연하게 사용되었는데, 이젠 또 쓰지를 말라네요.
아직 학기 초라 이제 L1과 L2가 각각 l에 수직일 때 L1이 L2와 평행임을 증명해야 하는데, 저 세 각의 성질을 사용할 수 없으니 정말 고자가 된 것만 같습니다. 비속어를 사용한 점은 죄송하지만 너무 힘드네요. 전 어떡하면 좋을까요?
히-빱과 기하학에 연관성이 있나요?
한창 머리 굳으셨을때인거 같은데....
스웩드립니다
만약 L1과 L2가 평행하지 않다면, L1과 L2 그리고 I를 변으로 삼는 삼각형이 생긴다.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라는 성질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하면) 조건에서 가정한 것과 같이 L1과 L2가 모두 I와 직교한다면, L1과 I 그리고 L2와 I가 이루는 각이 모두 90도이다. 따라서 L1과 L2가 이루는 각은 0도여야 하는데...
대충 이렇게 파워 귀류법 안되나여?
삼각형 내각의 합을 사용하는 것도 안된답니다ㅠㅠ
일단 풀기는 했는데, l과 만나는 두 개 교차점 사이에 중점을 상정하고, 그 중점을 기준으로 L1을 180도 회전 시킨 Ro(L1)이 로테이션의 성질로 인해 L1과 평행함을 증명하고, 그 다음에 Ro(L1)이 L2와 같다는 걸 증명하지 않으면 안된답니다ㅠㅠ
진짜 쉽게 풀 ㅅ ㅜ있는 문제를 왜ㅠㅠ
그리고 솔직히 그거 존나 쉬움
그냥 모두 수식화 하면 됨
I의 기울기를 a라고 하면 L1과 L2의 기울기는 간단하게- 1/a가 될거 아니에요(수직인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므로)
그럼 L1과 L2의 기울기가 같은것이니 따라서 평행한 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