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일이 있을때마다 힙합이 유행한지 얼마 안 됐다는 걸 크게 느낍니다. 블랙넛의 모든 행보를 두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졸업앨범이 과하게 까이는것을 보고 쇼미더머니 이후로 알맹이는 그대로인 채 껍데기만 필요이상으로 커졌다고 어떤 분이 그러셨던게 딱 생각났습니다.비단 블랙넛 뿐 아니라 송민호부터 시작해서 최근 여러 국힙씬의 잡음은 대중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기믹의 정도를 테스트 중인듯 해요. 켄드릭같이 과격하게 리릭컬하고 스토리컬한 곡들은 대중이 받아들이기엔 아직은 무리가 있는듯해요.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같은 예술의 부류로 취급받는 영화와 미술을 예로 들면 그로테스키하고 난해할수록 예술성을 높게 보는 경향이 있어 보여요.. 힙합에서도 여러 감정과 여러 입장의 곡을 용인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어요
가사=가치관 이라는식으로 보는거고 픽션은 픽션으로 보니까 그런거아닐까요 근데 표현의자유를 딱 답내릴순 없는거같아요 요전에 초등학생 잔혹동시도 그렇고 지금까지 수많은 논쟁이 있었는데 그닥 영양가있는 답은 안나옴
지금이 과도기인거같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