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디컬한 주장일수도 있는데
저는 가리온의 초창기 음악의 장르는 한국힙합으로 분류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가리온 음악의 스타일이 정립된게 한국음악사에서 한국힙합음악의 정의가 정립된것보다 몇 년 더 빠름
저는 가리온을 현역으로 듣던 형님들보단 새파랗게 어리지만 제가 나름 열심히 들으면서 공부한바로 생각해보면
사실 힙합의 작법이나 방법론이 한국에서 힙합답게 정착되고 다수가 납득할 수 있게 공식화된건 모던라임즈랑 헤비베이스가 기점이라고 개인적으로 여깁니다
그러니까 결국 조피디도 (비록 지코가 계기지만) VJ랑 화해해서 작업을하고 YG에서도 피타입을 랩선생으로 초빙한거라고 생각함
괜히 '라임논쟁'이 저 때 종식된게 아닌걸테고
'한국말 라임 방법론 + 영어식 워드플레이 + 자기자랑 리릭시즘' 이 3요소가 저 앨범들 이전엔 전혀 당연시되지 않았던것같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그 이전까지 한국에서 힙합딱지 달고나온 음악들은 엄밀하게는 전부 실험단계였다고 생각함
그것들은 딱! '힙합'이라기보단
"PC통신 중심의 흑인음악 스터디 모임에서 출발해 미국힙합사운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익스테리멘탈 홍대음악의 일종"
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감히 주장해봅니다
그중에서도 '가리온의 초창기 음악' 이 실험의 극초반에 벌써 스타일이 어느정도 공식화 됐었는데
그래서 이 음악의 장르는 한국힙합이 아니라 그 자체로 '가리온 초기음악'이라는 하나의 장르라고 봐야한다고 봅니다
이후에 한국힙합의 정의가 정립되면서 메타와 나찰도 한국힙합이라는걸 하기 시작했고 또 지금까지 하고있지만,
이번 가리온 3집은 그런 한국힙합의 일종인게 아니라
'가리온 초창기 음악'이라는 90년대 초반 익스페리멘탈 장르로 다시 음악을 낸거라고 해석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막 1990년 1991년 이런때에 20대 초반 청년들이 '와... 힙합이란 뭘까?' '와 힙합 멋있다 뭔진 몰라도' '우리도 그럴싸하게 해볼까?' '소리가 어둡고 차분한데 은근히 신나고 힘이나!' 라고 생각할때의 그 어떤 정말 순수한 열정이라는게 있었을거고
저는 '가리온 초창기음악'이라는 장르에 그 순수함과 열정이 캡쳐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가리온 3집도 한국힙합의 잣대로 봐야하는게 아니라 '가리온 초창기음악'이라는 장르의 재현? 같은거로 접근해야한다고봄
메이킹영상 보면 메타도 굳이 그렇게 안해도 되는데, 그리고 요즘기준으로 훨씬 잘한단소리 듣는 랩도 할 수 있지만, 일부러 옛날랩 한거더라구요
그렇게 들으면 어떤의미로 개멋잇음
판소리 사물놀이 이런거는 다 그때의 잣대로 들어야 더 맛있는거지 현대음악의 3요소가 없다고해서 '올드해서 구리네~' 해야하는거 아니듯이?
'한국말 라임 방법론 + 영어식 워드플레이 + 자기자랑 리릭시즘'
이게 한국 힙합을 규정하는 요소라는 소리신가요?
한국말 라임 방법론에 대해서는 이미 99년 김진표 1집때부터 논의 되었던 겁니다.
<현실 진실 상실 결실 좌심실 우심실> 이것 또한 라임입니다.
다음절 라임만 라임이면 최초의 힙합 싱글러 언급되는 슈가 힐 갱의 래퍼스 딜라잇 또한 힙합이 아니며, 미국 힙합도 라킴 이전의 힙합 음악은 슬램이라는 시적 형식에 기반한 실험적 음악이라고 불러야 하나요?
님이 말한 한국 음악사에서 한국 힙합이 정립된 것이 언제인가요? SNP를 필두로 조피디를 까는 노자가 나왔을때?
아니면 최초의 다음절 라임을 사용한 앨범인 모던 라임즈 EP가 나왔을 땐가요?
이미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최초의 랩 비스무리한 시도를 한 뮤지션은 홍서범이고,
힙합이라는 장르의 출범은 대략 김진표 1집과 블렉스의 검은소리가 출범한 97년도 즘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뜻은 무엇이냐. 97년도 나온 앨범만 하더라도 힙합을 규정하는 요소가 다 들어있다는 거죠.
영어식 워드플레이와 자기자랑 리릭시즘은 장르를 규정하는 요소가 아니라 힙합이라는 장르안에서 유행하는 가사의 형식일 뿐입니다.
실제로 소위 한국힙합 2세대라고 칭하는 소울컴퍼니, 빅딜 등이 나왔을떄 영어식 워드플레이는 환영받지 못했었어요. 타블로처럼 완벽하게 하지 않는 이상 아니면 적어도 한 줄은 영어로 써야한다였죠. 실제로 그때 힙합플레이야 이삭의 매콤한 라디오에선 피타입, 유엠씨, 메타 셋이 모여 가사에서 영어를 쓰는 것에 대한 토론을 하기도 했고. 힙플에서 당시 타이거 jk를 인터뷰했을때 미국에서 히스패닉 래퍼들이 끝음절만 스패니쉬로 라임맞추는 것처럼 교포 래퍼들이 끝에만 영어로 라임 맞추는거에 대해 한국은 안통한다고 원카인에게 말했다는 인터뷰도 있습니다.
이 규칙이 깨진게 스윙스가 등장하고 나서에요. 님 말대로라면 현재 한국 힙합을 완성시킨건 스윙스입니다. 스윙스를 필두로 다들 영어를 기반으로한 도치법 가사가 유행하고 자기자랑 가사가 유행하기 시작했거든요.
또한 자기자랑 리릭시즘은 힙합 1세대 음악들에도 다있었어요. 근데 자기자랑 리릭시즘이 대두 된게 단지 한국의 특성이 아닌 미국에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거죠. 만약 현재 미국 힙합이 자기자랑안하고 컨셔스한 랩이 유행이고 그게 멋있다고 판단되면 한국도 다 그렇게 따라갈걸요?
날카로운 통찰이지만
워딩 떄메 오해받기 좋은글 ㅋㅋㅋㅋㅋ
'한국말 라임 방법론 + 영어식 워드플레이 + 자기자랑 리릭시즘'
이게 한국 힙합을 규정하는 요소라는 소리신가요?
한국말 라임 방법론에 대해서는 이미 99년 김진표 1집때부터 논의 되었던 겁니다.
<현실 진실 상실 결실 좌심실 우심실> 이것 또한 라임입니다.
다음절 라임만 라임이면 최초의 힙합 싱글러 언급되는 슈가 힐 갱의 래퍼스 딜라잇 또한 힙합이 아니며, 미국 힙합도 라킴 이전의 힙합 음악은 슬램이라는 시적 형식에 기반한 실험적 음악이라고 불러야 하나요?
님이 말한 한국 음악사에서 한국 힙합이 정립된 것이 언제인가요? SNP를 필두로 조피디를 까는 노자가 나왔을때?
아니면 최초의 다음절 라임을 사용한 앨범인 모던 라임즈 EP가 나왔을 땐가요?
이미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최초의 랩 비스무리한 시도를 한 뮤지션은 홍서범이고,
힙합이라는 장르의 출범은 대략 김진표 1집과 블렉스의 검은소리가 출범한 97년도 즘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뜻은 무엇이냐. 97년도 나온 앨범만 하더라도 힙합을 규정하는 요소가 다 들어있다는 거죠.
영어식 워드플레이와 자기자랑 리릭시즘은 장르를 규정하는 요소가 아니라 힙합이라는 장르안에서 유행하는 가사의 형식일 뿐입니다.
실제로 소위 한국힙합 2세대라고 칭하는 소울컴퍼니, 빅딜 등이 나왔을떄 영어식 워드플레이는 환영받지 못했었어요. 타블로처럼 완벽하게 하지 않는 이상 아니면 적어도 한 줄은 영어로 써야한다였죠. 실제로 그때 힙합플레이야 이삭의 매콤한 라디오에선 피타입, 유엠씨, 메타 셋이 모여 가사에서 영어를 쓰는 것에 대한 토론을 하기도 했고. 힙플에서 당시 타이거 jk를 인터뷰했을때 미국에서 히스패닉 래퍼들이 끝음절만 스패니쉬로 라임맞추는 것처럼 교포 래퍼들이 끝에만 영어로 라임 맞추는거에 대해 한국은 안통한다고 원카인에게 말했다는 인터뷰도 있습니다.
이 규칙이 깨진게 스윙스가 등장하고 나서에요. 님 말대로라면 현재 한국 힙합을 완성시킨건 스윙스입니다. 스윙스를 필두로 다들 영어를 기반으로한 도치법 가사가 유행하고 자기자랑 가사가 유행하기 시작했거든요.
또한 자기자랑 리릭시즘은 힙합 1세대 음악들에도 다있었어요. 근데 자기자랑 리릭시즘이 대두 된게 단지 한국의 특성이 아닌 미국에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거죠. 만약 현재 미국 힙합이 자기자랑안하고 컨셔스한 랩이 유행이고 그게 멋있다고 판단되면 한국도 다 그렇게 따라갈걸요?
제가 잘못했읍니다.. 다 힙합입니다..
너무 단정적으로 말하셔서 제가 좀 과민반응 했네요. 죄송합니다.
글 시작에서 말했듯이 저도 일부러 래디컬하게 말한거라서 그렇게 반응하신거 이해합니다
근데 다시 말씀드리자면 그들의 장르가 힙합이 아니라고 하는게 비하의 의미가 결코 아님
개코의 랩을 보면
1 씨비매스 1집
2 씨비매스 2집~다듀1집
3 다듀2집~지금
이 때 라이밍 스타일이 전부 다른데 사실 라임답게 라임박는건 3시기부터고 이때가 국힙에서 라임논쟁이 끝난, 즉 방법론적 합의가 비로소 이뤄진 시기인듯합니다
그래서 1, 2시기의 개코랩이 훨씬 익스페리멘탈하고
3시기의 개코랩이 구조적으로 더 탄탄함
그래서
1, 2시기 = 실험랩을 듣는 맛으로 들으면 맛있음
3시기 = 현대 한국어랩을 듣늗 맛으로 감상 가능
저는 이렇게 보는편입니다
그런점에서 가리온 3집은 가리온 1집의 실험성을 즐기는 방식으로 들어야 훨씬 맛있다는거였습니다
좀 덧붙이면
제가 모던라임즈 이전을 정립기 이전의 실험기라고 말하는건 그들이 뭔가 모자란 음악을 하고있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방법론에 대한 합의가 모자라서 오히려 더 창의적인 부분도 있었던 멋진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하나하나 답변하긴 어려운데 세 개만 말씀드리면
- 라임 방법론이 다음절라임을 말하는거냐?: 아닙니다. 단음절 라임도 좋은 라임입니다. 다만 저는 라임 논쟁이 멈춘 시기를 일종의 합의점에 다다른 시기라고 해석합니다.
- 네 저는 라킴 이전의 미국 랩은 실험기라고 생각합니다.
- 네 저는 스윙스가 정말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해석합니다. 잘하냐 못하냐랑 별개로 진짜로 힙합답게 힙합하는 종합선물세트로서의 상징성이 있습니다.
흥미로운 관점이네요. 특히 미국 힙합씬에서 라킴 이전 미국랩은 실험기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게토유니버시티님이 하시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겠네요 .
동의는 하지 못하지만요. 오래간만에 신선한 관점이었습니다.
흥미로운 해석 감사합니다
완전히 동의하진 않지만 정말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날카로운 통찰이지만
워딩 떄메 오해받기 좋은글 ㅋㅋㅋㅋㅋ
음... 그냥 개소리 늘여놓았네요.
‘1세대는 힙합딱지 떼라~’ 이런 글이 아닙니다
1세대가 했던 음악은 오히려 국힙 그 자체보다 더 크고 오래된 하나의 멋진 독립장르였을수도 있다고 칭찬하는 글입니다
가리온의 음악은 올드한게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장르라고 하고싶었습니다
충분히 토론해볼 가치가 있는 주제임
동의합니다.
요즘기준으로 훨씬 잘한단 소리 듣는 랩 << 절대못함;
그렇긴하네요..
제 글에서 생각한 요즘=2003년 이후 / 옛날 = 2003년
후하게잡긴함ㅋㅋ
또.. 피자에 비유하게 되는데
한 70 80년도에 어떤 사람이 이탈리아에 갔다가 거기서 먹은 피자가 계속 생각나서
우리도 한번 피자를 만들어보자 해서 빵위에 케챱바르고 치즈올리고 센스 발휘해서
마침 냉장고에있는 햄 올렸다 그렇게 신나게 만들고 맛도 그런대로 있어가지고
이거를 팔아보기로 했는데 거의 한국 최초였다 이런 말이잖아여?
좋은 비유네요 ㅋㅋ
그리고 그 최초의 한국피자는 요즘피자 기준으로는 별로겠지만 그 시대 특유의 창작요리라고 생각하면 오히려 번뜩이는 창의성이 돋보이는 요리일것같습니다
매우 흥미로운 글이네요! 다만 1세대가 했던을 음악을 한국힙합이 아니라 다른 독립 장르로 정의하는건 잘못됐고 이 글을 읽으면서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을거 같아요. 왜냐하면 라킴 이전에 힙합이 실험기였어도 그 자체를 힙합음악이라는 테두리 안에 넣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방법론의 형태가 잡히지 않았지만 그 이유 때문에 다른 장르로 구분하는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맞는말씀이고 그게 더 일반적인 관점이긴 합니다
근데 저는 이번 앨범 평에서 ‘랩 못한다’ ‘구리다’ 소리 나오는게 아쉬웠고, 그런 평이 나오는 이유가 현대국힙에서의 붐뱁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평가해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지금 국힙 붐뱁 방법론을 잣대로 들이밀면 아쉬운 랩인건 사실이긴 합니다
그래서 ‘근데 이 앨범은 좀 다른 기준으로 들어야하는거 아닌가? 초창기 국힙의 과도기적 스타일을 하나의 독립장르로 생각하면 오히려 더 진면목이 들리는듯?’ 하고 발상했습니다
우리가 힙합이 뭔지 너무 잘 알아버린 지금의 관점으로 듣는게 아니라,
힙합이라는 미스테리어스한 그 무엇인가가 뭔진 몰라도 너무 멋있어서 어설프게라도 따라해보고싶던 그 호기심과 순수한 열정이 탄생시킨 그때만의 게임의 규칙이 있었다면, 그 규칙대로 감상해야 참맛이 느껴지는 좋은 앨범같더라구요
‘가리온 3집을 현대국힙 듣듯이 듣지 말고 [90s 가리온]이라는 독립장르로 생각하고 들으면 진짜 맛있어요!’ 라고 제안해보고싶었습니다
통상적인 장르분류는 FeAg님이 당연히 정답이십니다
저도 방법론이 없던 시절 답을 찾기 위한 연구과정의 가치를 높게 사는 글쓴이님의 의도 공감되고 좋은 의도라 생각합니다. 글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한국 힙합이 완벽하게 자리잡기 전의 과도기적인 음악인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덧글에도 있듯이 김진표 1집부터 본격적으로 한국힙합의 시작이긴 합니다 물론 그 초창기의 음악들은 지금들으면 완성도면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이후에 많은 일렬의 과정을 거쳐오면서 지금의 힙합에 가까워 졌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 가장 중심에 있던 인물이 버벌진트와 스윙스인것 같구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