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반

계약이란건 양자합의된 내용인데

title: Lil WayneBBBBBora2023.08.27 12:34조회 수 2819추천수 14댓글 25

이미 계약된 내용갖고 비프를 거는건 좀 아닌거같아요.

 

그것도 이해당사자가 아닌 사람들끼리 모여서 이러쿵 저러쿵 떠드는것도요.

 

스윙스정도 인지도에 인맥이면 힙합쪽에서는 충분히 띄울 능력은 있다고 생각해요.

 

회사 분배비율이 너무 높아서 잘못된거라면 스윙스의 능력도 부정하는거죠.

 

그리고 지금 썰에 의하면 4:6~6:4정도의 비율이라고 들었어요. 신인기준~?

 

 

래퍼 수익이 사실상 행사공연에 집중된걸 고려해보면

 

스윙스의 공연 섭외량과 대외인지도면 저런 비율로 계약해도

 

어디 인지도 낮은회사 8:2 비율이라고 해도 버는 돈은 많을거 같아요.

 

그리고 신사옥에 작업실도 다 새거일거고, 작업실 외에 연습실도 있는걸로 알아요.

 

저는 오히려 계약조건이 더 좋다고 여겨집니다.

 

인디펜던트 실력 있는 래퍼들이 인지도 좀 없으면 공연 얼마나 뛰겠어요? 

 

스윙스는 신사옥짓고, 회사차리는데 돈 안썼을까요? 원금 회수는 누구한테 하죠?

 

본인이 벌어서 본인이 돌려막기? 그럼 회사를 할 이유가 없죠. 자선사업 뭐하러해요.

 

 

그걸 알기때문에 양자합의해서 계약한거고요.

 

스윙스가 계약내용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거나, 강요나 협박을 했다면 문제겠지만

 

싸인한건 본인들 자유의지로 한거 아닌가요?

 

만약 현재의 비프가 계약내용에 대해 문제를 삼는거면 저는 이해할수가 없고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참고로 인지도 약간 애매한 래퍼들이 3티어급 듣보 아이돌보다 행사 많은걸로 아는데요.

 

아이돌의 경우 1:9~2:8이 일반적이고 이것도 멤버들이 한번 더 나눠갖죠?

 

이번에 난리난 피프티 사태 다들 아시잖아요. 피프티는 3:7이였어요. 썰에 의하면요.

 

그래서 신인 아이돌치고 계약조건 너무 좋다고 어떻게 저런 대표를 통수치냐 이런 소리 나오는건데,

 

어찌됐든 이러해서 래퍼가 행사 섭외가 어느정도 될정도가 되면 돈 꽤나 버는거에요.

 

래퍼들은 진지하게 본인들이 20분 공연하고 몇백만원씩 받을만한 급이라고 생각하나요?

 

아이돌은 사생활 다 통제받고 어중간하게 떠봤자 회사나와서 벌어 놓은 돈 거의 없을겁니다.

 

여담으로 피프티 만드는데 100억 정도 소요됐다고 하니까 피프티가 150억정도 벌어줘야

 

그때부터 회사 수익이 100% 되는겁니다. (7년안에)

 

 

하여튼간에 누칼협은 이럴떄 쓰라고 있는 말 같네요.. 개인적으로..

 

 

본인들은 일하면 돈을 받는 사람들이 아니에요. 근로자세요???

 

본인들은 일 많~이해도 손해가 날수도 있는 사람들이에요.

 

본인들이 돈을 벌려면 팔려야 돈을 버는거에요.

 

일을 백날해도 안팔리면 본인들은 빚만 지는거에요.

 

뭐 이런 얘기까지 해줘야하나..

신고
댓글 25
  • ynapamangBest베스트
    12 8.27 12:41

    힙합 한다는 사람들은 들짐승에 가까워서 리스크 관리 때문에서라도 회사 정산비가 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함. 투자가 잘 들어오는 판도 아니고...

    그렇게 정산비가 줫 같고 싫으면 본인이 증명해서 돈도 잘 주고 이쁘게 잘 포장해주는 레이블 계약해야지.

     

    스윙스가 불도저로 탭댄스 추면서 계약하라고 협박함? 스윙스 좋아하지도 않는데 개 어이없네 ㄹㅇ

  • title: Lil Uzi Vert (Pink Tape)tameimpalaBest베스트
    5 8.27 12:49

    뭔 힙합만 사고치나 ㅋㅋㅋ

    체육계 영화계 미술계 등 분야를 막론하고 사고치는 놈들은 많은데 유독 힙합만 부풀려 과장하는 느낌

  • 김휘Best베스트
    4 8.27 13:07

    닥치란 말이 아니라 계약 그자체로 걸고 넘어지진 말자는거잖아요

  • 12 8.27 12:41

    힙합 한다는 사람들은 들짐승에 가까워서 리스크 관리 때문에서라도 회사 정산비가 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함. 투자가 잘 들어오는 판도 아니고...

    그렇게 정산비가 줫 같고 싫으면 본인이 증명해서 돈도 잘 주고 이쁘게 잘 포장해주는 레이블 계약해야지.

     

    스윙스가 불도저로 탭댄스 추면서 계약하라고 협박함? 스윙스 좋아하지도 않는데 개 어이없네 ㄹㅇ

  • 5 8.27 12:49
    @ynapamang

    뭔 힙합만 사고치나 ㅋㅋㅋ

    체육계 영화계 미술계 등 분야를 막론하고 사고치는 놈들은 많은데 유독 힙합만 부풀려 과장하는 느낌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4 8.27 12:53
    @tameimpala

    힙합이 좀 구설수가 비율상 많은건 맞아요. 근데 비율을 고려해도 힙합만 너무 때리는건 솔직히 언론탓도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어쩔수 없는게 힙합은 언론판에 방패막이가 없잖아요. 기성 연예계는 다 방패막이가 있기때문에 그런 영향도 있다고 생각해요.

     

    힙합 판에 솔직히 어디 2류 언론사라도 기사 막을 능력 있는 사람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래퍼들도 기사 낸다하면 응 내라~ 좆까~ 상관없어~ 이런식으로 나올게 뻔해서요..

  • 8.27 14:47
    @tameimpala

    ㅇㄱㄹㅇ 음주운전한 배우들 넘쳐도 배우한테 음주운전 직업이라고 안 하고 아이돌들 별의별 사고 터져도 아이돌 전체에 대한 인식은 딱히 안 그러는데 유독 힙합만 전체로 욕함

  • 8.27 12:44

    계약갖고 뭐라하는 래퍼들 미성숙하게 보임 ㄹㅇ

  • 2 8.27 12:50

    스윙스가 신사옥 지은건 본인 재산임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3 8.27 12:51
    @tameimpala

    자기 재산 100%가 아닌걸로 알아요. 일부 투자를 받은걸로 알고있고,

     

    그리고 자기 재산이라고 해도 사유 재산이잖아요. 그걸 이용하기위해선 당연히 돈을 내는게 맞지않나요.

     

    AP는 신인들을 모아서 같이 돈을 벌기위해서 모인거잖아요. 자선사업하러 모인거 아니고요.

  • 2 8.27 13:05
    @BBBBBora

    화사측이 제대로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았다가 포인트인듯함

    단적으로 스윙스 본인 착오로 콘서트를 그르칠 뻔 했고

    기타 본인 사업에 열중한 나머지 약속했던 홍보나 제작, 경영에 미흡했던걸 지적하는게 이번 논란의 핵심인듯

  • @tameimpala

    자기 재산 들어간건 맞는데 100%는 아님

     

  • 2 8.27 12:59

    당장 직장인들만 봐도 양자합의 다해놓고 노조만들고 잡플래닛 현직장/ 전직장 악플쓰고 난리도 아닌데요.

    님말씀대로라면 힙합 뮤지션이라면 계약했으면 닥치고 책임지고 일만 하란 얘긴데 너무 사장님 마인드 아니세요?

  • 4 8.27 13:07
    @미니무그

    닥치란 말이 아니라 계약 그자체로 걸고 넘어지진 말자는거잖아요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7 13:07
    @미니무그

    그건 근로자의 입장이니까 그런거구요.

     

    법적으로 저분들은 프리랜서로 계약이 되실거에요. 오해하시는게 프리랜서란 법적으로 백수를 뜻하는게 아닙니다..!

     

    근로자는 본인이 일을 아무리해도 정해진 급여외에 약간의 인센티브를 제외하면 더 받지 못하니까

     

    일반인 대다수가 이에 속해있으니까, 그래서 노동법으로 보호를 해주는거구요.

     

    프리랜서는 법적으로 회사안에 소속되어 있지만 본인들이 사실상의 개인사업자처럼 돈을 벌수있는 구조잖아요?

     

    그래서 법적으로 보호를 못받고 근로소득세를 내는게 아니라 프리랜서 소득세를 따로 내는거에요.

     

    정말 많이 버는 대형급 래퍼가 아닌이상 일반적으로 아마 13.3%겠죠?

     

    본인들 플렉스~ 하면서 자랑하면서 세금은 저렇게밖에 안내는데

     

    회사는 회사 수익에 대한 세금과 아티스트 수익에 대한 세금을 2번내는 이중과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오히려 불합리한쪽은 연예매니지먼트 사업자 쪽이지 아티스트 쪽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사업자측에 이익이 되는쪽으로 법이 만들어질까요? 알면서도 누구하나 빵 뜨면 돈 버니까 하는겁니다.

     

    그렇게도 돈이 쏟아지는 구조라면 어느정도 이름 알린 연예인은 전부 자기 회사 차려야죠.

     

    주가조작 논외로 치고 임창정같이 대중적으로 성공한 연예인도 아이돌 하나 만드는데 자기 재산 다 털어야합니다.

     

    정말 인지도 대단한 연예인들들중 몇몇도, 여전히 회사에 소속되어 있는게 괜히 그러는게 아니에요.

     

    정말 이 사업 힘든 사업입니다.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 없이는 절대 이거 할 이유가 없어요.

  • 2 8.27 13:08

    비율이야 뭐 자기들이 잘 알아서 합의했겠지만,

    스윙스가 레이블 하루이틀 해먹은 것도 아닌데 나오는 얘기가 이상하게 자꾸 "스윙스가 자선사업가도 아닌데ㅡㅡ"예요.

     

    저는 인건비 후려쳐야 본전치는 사업가가 능력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이런 이야기 들을 때마다 스윙스의 능력을 얼마나 저평가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손익계산 명확하게 해서 이 정도가 회사 이익 마지노선이다 싶은 비율로 계약한 거지, 무슨 아이돌은 1:9니 스윙스가 자선사업가는 아니니...

     

    아이돌은 곡 작업부터 숙식에 매니지먼트에 연습생 기간에 모든 걸 다 제공하고, 오로지 퍼포먼스만 뛰니까 그런 비율이 나오죠. 힙합 아티스트들은 작사가 기본 베이스인데 어떻게 아이돌과 동일선상에 놓나요.

     

    성인이니만큼 계약에 대해 책임은 본인들이 지는 게 맞지만, 4:6도 감지덕지하고 비프가 없어야 한다는 건 아티스트들에게 너무 가혹한 잣대라고 생각합니다.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7 13:21
    @그로부터

    그래서 여담이라고 말씀드린거에요. 아이돌과 비교해서 높으니까 이게 옳은거라고 얘기한적 없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따져도 래퍼가 아이돌보다 돈을 더 벌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정말 1티어급 제외하고는 래퍼가 훨씬 많이 법니다.

     

    4:6이라도 마찬가집니다. 말씀하신대로 래퍼는 정산해야할게 별로 없습니다. 결국 행사 얼마나 뛰느냐가 문젠데

     

    음악 편하게 만들고, 행사 많이 뛸수있는 회사로 가는게 결과적으로 돈을 많이 버는 키포인트라면

     

    스윙스 회사정도라면 4:6정도에 문제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스윙스 정도면 국힙 정상급 수익을 내고있는 아티스트거든요.

     

    행사 끼워팔기만해도 갯수가 충분하게 나오는데요. 그게 왜 가혹한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래퍼 계약 끽 해봐야 1~3년 아닌가요? 본인의 능력이 충분히 인정받는다고 느낀다면 재계약때 조건을 더 좋게 가면 되는거죠.

     

    회사가 늘 갑이고, 아티스트가 늘 을이 되는게 아닙니다. 아티스트가 인기가 많고 인지도 좋아지면 오히려 이 관계는 서로 뒤바뀝니다.

     

    왜 약자는 이용해도 용인되고 강자는 나눠달라고만 해도 가혹한건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언더도그마에서 빠져나올 필요가 있어요.

     

    양자는 착한사람, 나쁜사람, 예술가, 자본가 이런식으로 봐선 안됩니다. 각자 서로 돈을 벌기위해서 만난 관계입니다.

  • 1 8.27 13:40
    @BBBBBora

    그래서 저는 아티스트들을 '상품 제공자', 사장을 '판매자'로 지칭하긴 합니다. 마찬가지로 저는 이 이야기를 할 때 약자와 강자의 이야기를 한 적이 없습니다. 계약서에 싸인한 건 성인 대 성인이고 동등한 계약이예요.

     

    그런데, 이런 담론이 이어지고 아티스트에게 향하는 정산 비율이 '낮아도 된다'라는 결론이 도출된다면 그건 그다지 긍정적인 결과는 아니라는 겁니다. 상기했듯, 회사가 돈을 버는 건 어디까지나 인건비 후려치기가 아닙니다.

     

    말씀하신 공연도 물론 있지만, 음원 수익, 피지컬 판매, 관련 굿즈 판매, 광고 출연, CF 송 등등 음원 회사에서 돈을 버는 방법은 차고 넘쳐요. 이런 수단들을 통해 회사는 돈을 벌고, 원 저작권자가 갖는 권리를 대행해 주는 게 '소속사'라는 거죠.

     

    AP 알케미의 정산 비율은 알 수 없지만, 알케미의 정산비가 4:6이라면 저런 활동들에 사용되는 매몰 비용이 그만큼 크다는 거겠죠. 회사의 손익 계산을 통해 내놓은 비율일 테니까요.

     

    그렇지만 이건 회사의 입장이고, 회사는 아티스트의 가치를 100% 쳐주지 않습니다. 스토브리그에서 남궁민 배우가 분한 백승수 단장은 이런 말을 해요.

     

    "자기도 모르는 자기 가치를 우리가 왜 인정해 줍니까?"

     

    회사는 이익 집단이고, 이익을 내려면 인건비를 내려칠 겁니다. 그럼에도 본인의 가치를 알아낸다면 불평할 수 있고, 이의 제기를 할 수는 있어야 해요. 그게 리스너가 생각하는 비율과도 다를 수 있다는 거죠.

     

    말씀하신 대로 상호 이익 관계인데, 아티스트들은 그냥 감지덕지하라는 식의 글들이 많아 몇 자 적어놨습니다. 이런 이해 관계가 얽힌 일들은 사실 양비론적으로 접근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각자가 각자의 권리 주장을 하는 거죠.

     

    그보다 저는 지난 마미손 염따 디스전처럼 비율 갖고 네거티브 마케팅하고, 템퍼링 조진 것도 아니고 그냥 애매하게 툭 친 걸로 왜 가만 있는 알케미 소속 아티스트들이 "니넨 감사해야해" 소릴 듣는지 모르겠네요.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7 13:47
    @그로부터

    제가 보기에 계약 조건이 좋아보여서 저라면 감사하다고 느낄거라고 말하는거지 그래야만 한다고 한적은 없습니다.

     

    본인이 당장의 욕심이 많다면 당연히 정산비율이 더 좋길 원하겠죠..??

     

    근데요.. 저는 일단 이분들이 음악을 파는 사람들 이잖아요?

     

    그러니까 정말 돈 욕심이 있다면 정산비율로 징징댈게 아니라 좋은 음악을 내놓고 따지는게 맞다고 말씀을 드리는거죠.

     

    좋은 음악을 내놓고, 대중적으로 성공도 해봤는데도

     

    정산비율이 안좋거나 정산을 안해준다면 이승기때처럼 여론이 나서서 편을 들어주겠죠.

     

    그러나 그렇지않다면 과연 이게 일반적인 연예계였다면 여론이 어땠을까요?

     

    어차피 다른 장르니까 달라야 한다고 보기에는 본질적으로 음악을 파는 사람들이라는 속성에 부합됩니다.

     

    정산비율이 문제라면 본인이 일단 뜨고나서 자기 얘기하는게 순서입니다.

     

    과연 씨잼이 저스트뮤직을 나갈때 스윙스가 재계약으로 제시한 정산비율도 4:6~6:4 였을까요?

     

    제가 예상하건대 그간의 타임라인을 쭉 지켜봐온 제 입장에서 추측하자면

     

    씨잼은 9에 육박하는 비율을 제시받았을거라 생각합니다.

     

    돈을 못버니까 일단 눈앞에 정산비율에 매몰되는거 이해합니다. 회사가 좀 만 더 양보해주면 돈 더 버는데. 이런 생각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제가보기에는 별로 좋은 의식의 흐름은 아닌거 같고요. 일단 좋은 음악도 내고, 뜨는게 순서라고 생각해서요.

     

    그렇게 했음에도 자기 가치 인정해주지 않는다면 그때가서 회사 욕하고 회사 나가도 여론은 다 편들어 줍니다.

  • 1 8.27 13:52
    @BBBBBora

    그러니까... 알케미 소속 아티스트들은 비율 가지고 한 마디도 안 했다니까요...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7 13:55
    @그로부터

    그래서 본문에서도 말씀드렸듯

     

    이해당사자가 아닌 사람들이 비프를 거는거에 대해 저는 이해 하기가 어려운거죠.

     

    사실 일반적인 의식의 흐름이 아니거든요. 왜 본인들이 기분이 나쁜건지 모르겠어요.

     

    저는 때문에 정산비율이나 계약조건이 디스전의 의의라고 생각하지 않고 다른 뭔가가 있긴 할거같다고 생각하는데

     

    어찌됐든 정산비율에 대해서도 커뮤니티에 여러 의견들이 돌아서 글을 적었고

     

    제 사촌형이 국내 정상급 배우 매니지먼트 회사에 임원으로 있어서

     

    이런류의 업계에 들은것도 많고, 어느정도 아는 내용이 있는거 같아 글을 적었습니다.

  • 8.27 14:03
    @BBBBBora

    저도 그 부분은 이해 안 가긴 합니다. 솔직히 템퍼링 아닌 이상 "난 정의롭잖아" 같은 라인 안 쓸 것 같은데 말이죠.

     

    그래요. 의견은 서로 다르지만 서로 진지하게 대화 나눌 수 있어 좋았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8.28 03:05

    그럼대형기획사 부당계약이 왜 문제가됨? ㅋㅋ 계약을 하는건 하는거고 비난의 여지가있느냐는 독립적이지. 사후적으로 갑위치 이용해서 꿈꾸는애들 미래를 저당잡는 결과가 될 수도 있는건데.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8 11:56
    @설마한

    그 대답은 충분히 본문과 댓글을 통해 설명 드린거 같습니다.

  • 8.29 14:07
    @BBBBBora

    아뇨 님은 그 정확한 정산도, 비율도 모르고 계약서도 뷴적 없는 입장이라 설명이 불가능하세여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8.29 14:11
    @설마한

    그래서 4:6~6:4의 비율이라면 이라는 가정을 한겁니다.

     

    저 비율이 아닐수도 있겠죠.

     

    만약 아니라는 팩트 갖고오시면 저도 정정해드리겠습니다.

  • 8.29 20:03
    @BBBBBora

    님이 님만의 가정을 전제해서 결론을 내고있는데 왜 그 가정이 틀렸다는 걸 남이 가지고와야 님 결론이 틀린게됨?? ㅋㅋㅋ 님은 그냥 님이 해석하고싶은 결론에 끼워맞추는 가정을 쓰고있고, 그 가정이 왜 전제로 기능한지에대한 그 어떤 논증도 없음. 당연히 틀린결론임.

  • title: Lil WayneBBBBBora글쓴이
    9.2 18:31
    @설마한

    현재의 커뮤니티 논란은 저 가정하에 논란이 생긴겁니다.

     

    때문에 그 가정하에 제가 글을 쓴거고요.

     

    애초에 그 가정이 맞지 않다면 이런 논의 자체를 하지 말았어야 합니다.

     

    제가 저만의 가정으로 누굴 판단한건 아니잖아요? 이 글은 논문도 아니고요.

     

    커뮤니티에서 나온 가정으로 커뮤니티에서 얘기한거기 때문에 결론이 맞아도, 틀려도 상관없습니다.

     

    힙합 학회 총회가 열리면 제가 근거 하나하나 크로스체킹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럼 학회에서 뵙는걸로 하시고 이만 줄이겠습니다.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1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일반 후기) 룩삼 젓딧 방송 풀로 안봤으면 그냥 자격없는거임26 KIIS 2025.11.08
화제의 글 일반 상딸 뒤지게 치네 ㅇㅇ5 ㄱ그래놀라 16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기괴하다 기괴해3 title: Kanye West (2)히팝뉴우비 11시간 전
일반 계약이란건 양자합의된 내용인데25 title: Lil WayneBBBBBora 2023.08.27
244862 일반 이번 비프 궁금한점7 title: ASTROWORLDcaterpiller 2023.08.27
244861 음악 스윙스는 리스크고 뭐고 디스 받아줘야지1 title: MF DOOM맙쉿 2023.08.27
244860 일반 스윙스 컨트롤 때 시달렸던 거 생각하면 디스 안 할 듯11 title: The Notorious B.I.G.coffee 2023.08.27
244859 일반 현 상황에 바라는 거 단 한 가지6 예림 2023.08.27
244858 일반 반응 안할것 같진않고 시간좀 걸릴듯해요 title: The Weeknd (Dawn FM)파하핳핳 2023.08.27
244857 음악 ???: bro i know u like to troll1 2024대통령칸예 2023.08.27
244856 일반 에효 돈까스도 다 뒤졌네3 title: Chance the Rapper (2)깐깐해웨스트 2023.08.27
244855 일반 힙O 돈까스5 title: Dropout Bear이pac 2023.08.27
244854 일반 현상황은 계약 비율과 무관하다고 봄2 title: Chance the Rapper (2)깐깐해웨스트 2023.08.27
244853 일반 스윙스가 국힙에 남성성을 다시 가져오겠담서요12 REALiZE 2023.08.27
244852 일반 누가 식케이 가사 스토리에 올리든 별로 관심없고5 title: Kanye West (Donda)체리보이의딸휴지 2023.08.27
244851 일반 식케이, 빅나티가 깔 때는 남 회사 일에 왜 지랄이지란 생각이었는데1 title: Quasimoto비뿌리 2023.08.27
244850 일반 재키 스우파 신곡에2 tlsgktmd 2023.08.27
244849 음악 다들 멋없네3 익두징 2023.08.27
244848 일반 식케이가 폭로전으로 안 가는 건 납득가능함5 yonker 2023.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