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반

"신은 죽었다고 말한 니체는 죽었다"라는 라인의 의미

title: WutanorangWutan2022.02.21 00:17조회 수 7063추천수 8댓글 85

이 가사에 대해 의문을 가지셨던 분들에게 보내는 손심바의 대답

Screenshot_20220221-001415_Instagram.jpg

Screenshot_20220221-001421_Instagram.jpg

Screenshot_20220221-001424_Instagram.jpg

신고
댓글 85
  • title: 스월비스월비Best베스트
    15 2.21 01:15
  • TomGoesHeroBest베스트
    13 2.21 07:42

    씬은 죽었다고 말한 피타입은 살았다

  • tricktrickBest베스트
    11 2.21 06:23

    원래 부재 증명 불가능은 논리적으로 아무런 가치도 가지지 못합니다.

    러셀의 찻주전자,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내 차고 안의 용 같은 개념이 왜 나왔는지 알아 보시는 걸 권합니다.

  • 2 2.21 14:20

    그리고 만약 선포로 해석되는게 맞다면

    신본주의가 옳은가 그른가,

    심1바 본인은 다원주의 사회의 득을 얼마나 보았는가

     

    등의 담론은 저 라인의 옳고 그름과는 별개로,

    호불호와 개인의 신념에 따른 문제긴 하죠

     

    그래, 넌 그런 생각을 하는구나 하거나

    난 그런 방향을 지향하는 게 싫어 하거나

     

    이걸 옳고 그름으로 단정지으려면

    일개 래퍼의 크기가 아니라

    기독교의 방향이 옳고 그른지 수준의

    아주 큰 담론 먼저 해결을 봐야 할 테니까요.

     

    물론 여태까지 수백년간 사람들이 토론했고

    그럼에도 계속 같은 토론이 이어진다는 건

    아직도 결론이 안 지어졌단 뜻이니

    옳고 그름을 따지거나 새 방향성을 제시하는건

    조금 아득하게 크고 먼 문제같긴 합니다.

  • 3 2.21 13:56

    니체가 신본주의를 끝내고 인본주의를 시작했을 때 '신은 죽었다' 라고 말했으니 다시 신본주의로 돌아가기를 선포하며 '니체는 죽었다' 라는 라인을 쓴거면 납득이 가네요...

     

    니체가 워낙에 왜곡된 방식으로 퍼져있어서 사람들이 오해하기 좋은 구절인듯...?

  • 5 2.21 13:59

    전 그냥 기독교가 싫어서 저 라인을 안좋아합니다

    그리고 누구보다도 이성으로 대변되는 시대의 산물들을 좋아하고 이용하면서 이를 부정하고 신본주의로 돌아간다? 이해가 안되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신본주의는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인 쓰레기 사상이라고 생각해요

  • 1 2.21 18:59

    카톨릭 신앙을 믿고 있는 저로서는 신의 존재를 믿는 건 사실입니다. 그것은 개인적 경험등의 확증으로 아마 강화되었을 겁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걸 남에게 강요할 생각은 없구요.

     

    일단 철학적으로 볼 때, 다들 오해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 인본주의는 르네상스 시절부터 주창된 것으로 신본주의를 타파한 것은 니체가 아닙니다. 니체의 시기에 주변에 무신론적 흐름, 무질서함, 혼돈, 아노미등의 상황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었고 니체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 살아가야하는 이유와 무엇을 추구해야하는 가에 대해서 고민했습니다. 쇼펜하우어와 인식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입장은 비슷한 상황이지만 니체는 그러나 방향이 다릅니다. 니체는 신의 부재라는 상징을 통해서, 이성주의, 절대적 가치와 질서체계의 붕괴로 인한 혼돈적 상황을 묘사한 겁니다. 그러나 니체는 그럼에도 칸트와 일면 비슷한, 초인이라는 존재를 상정하고 파괴와 역경에의 발걸음을 피하지 않고 그저 걸어감을 통해서 오히려 더욱 거듭나는 인간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신의 모순을 안고서도 노력해서 결과에 도달하는 부분은 어찌보면 비기나 투팍, 여러 래퍼들과 같은 근현대 아티스트들과도 닮아있다고 봅니다. 니체가 신을 부정했다, 신본주의의 타파라고 주장하는 것은 오히려 기존의 무신론자들이 배경지식 없이 ㅋㅋ 니체로 반박가능함ㅋㅋ 너네 신 죽었음 ㅋㅋ 이런 식으로 대충 얘기를 꺼냈기 때문입니다. 니체의 저서는 물론 기존의 정신적 지표중 하나였던 종교의 영향력이 사라진 후의 세계에 대해서 그린 것입니다. 그러나 무신론자들의 대다수인 회의론자처럼 그냥 방향성없이 떠도는 것과 니체가 추구하듯 창조적 파괴를 통해 특정 목표를 가지고 앞으로 나아간다는 방향은 다릅니다. 쇼펜하우어로 대표되는 회의론자는 본질이 없다고 생각하며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삶을 유지해나갈 필요도 없죠. 니체의 초인은 반면 본질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오히려 실제로 신을 반박한 건 리처드 도킨스라고 볼 수 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슬쩍 슬쩍 종교집단의 무의식성, 한심함등에 대해서 언급합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에도 한계점은 그것이 종교집단에 대한 반박이자 종교집단의 한심함을 드러내보일지언정 신에 대한 반박이 정밀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 1 2.21 19:06

    물론 심바님의 가사도 아예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어렸을 적엔 저도 니체가 오히려 노년엔 정신질환을 가지게 된 설에 대해 혹시 신에 대한 부정과는 달리 철학적인 상충이 생겨서 그런 것은 아닐까? 이렇게 생각했으니까요. 그러나 정신질환과 철학적 상충을 연결지을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엄밀히 말해 니체보다는 리처드 도킨스가 만약 철학적 상충으로 인해 혼란스러워하거나 노선을 바꿨을 때 그런 부분이 더 확실한 반박이라거나 논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니체가 신의 부재를 던진 거는 말하자면 현재 세계관에 대한 설명이자 자기가 하고 싶은 얘기에 대한 밑밥, 전제조건 세팅이에요. 본론은 그 뒤에 나오는 추구해야하는 삶에 대한 주장입니다.

댓글 달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일반 [공지] 회원 징계 (2025.10.23) & 이용규칙1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5.10.23
인디펜던트 뮤지션 프로모션 패키지 5.0 안내2 title: [회원구입불가]힙합엘이 2023.01.20
화제의 글 일반 키드밀리 인스타 업로드8 title: Free JazzLocal 16시간 전
화제의 글 일반 저스디스 피셜 앨범 발매4 title: Dropout Bear히파팬 2025.11.07
194700 음악 내가 싫다면 나를 땅에 묻던가 아니면 X지 같은 음악이나 듣던가10 구찌산자 2022.02.21
194699 음악 비프리 음반 들을때마다 드는 생각인데요1 title: IllmaticSZAOcean 2022.02.21
194698 음악 큰일났다 뇌가 절여져 버린듯9 GreenIdlgy 2022.02.21
194697 음악 이거 개웃기네요 ㅋㅋㅋㅋ3 title: [로고] Vismajor브린이갑이다 2022.02.21
194696 음악 프더비 1,2는 앨범 커버가 모든 걸 말해주는 듯6 pianma 2022.02.21
194695 일반 키드밀리 베이지0.5랑 클리셰 는 듣고있으면11 로뎃 2022.02.21
194694 일반 아티스트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메이저 래퍼 둘8 레디킴 2022.02.21
194693 일반 🎉레디 유튜브 채널 복귀🎉7 title: WutanorangWutan 2022.02.21
194692 음악 Kid Ash X G2 - 999 (Official Video)4 title: Kendrick Lamar (MMTBS)김루드 2022.02.21
194691 리뷰 (스압) 국힙 뉴비 일주일간 들은 앨범18 아몬드페페 2022.02.21
194690 음악 프더비2에 포티몽키 있었으면5 title: Frank Ocean - channel ORANGExxxsatur 2022.02.21
일반 "신은 죽었다고 말한 니체는 죽었다"라는 라인의 의미85 title: WutanorangWutan 2022.02.21
194688 음악 브라스 사운드 잘쓰는 프로듀서 있나요?4 claud8 2022.02.20
194687 음악 드럼없는 힙합노래?18 title: [로고] TDE호흡과실 2022.02.20
194686 인증/후기 여행와서 구매한 음반들1 title: Guy-Manuel de Homem-Christo (2)Jablo 2022.02.20
194685 음악 스카이민혁(skyminhyuk) - 날개(feat.알트) 산신령 2022.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