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라이브중 멘트 ㄷㄷ
들어서 좋은게 대중음악 맞아요 알았어요
그런데 장르를 나눈 것은
그 장르가 생긴 역사가 있고 전통이 있고 색깔이 있어서
그게 좋아서 그 장르를 좋아하는 건데
그걸 트렌드란 이름으로 다 섞어서 뭉개트리면
듣는 사람한테 득이 없어요
하는 사람이야 막 섞어서 대중적인거 뽑아서 돈벌면 그만이지만...
듣는 사람은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거라구요
유튜브라이브중 멘트 ㄷㄷ
들어서 좋은게 대중음악 맞아요 알았어요
그런데 장르를 나눈 것은
그 장르가 생긴 역사가 있고 전통이 있고 색깔이 있어서
그게 좋아서 그 장르를 좋아하는 건데
그걸 트렌드란 이름으로 다 섞어서 뭉개트리면
듣는 사람한테 득이 없어요
하는 사람이야 막 섞어서 대중적인거 뽑아서 돈벌면 그만이지만...
듣는 사람은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거라구요
이런 말들이 점점 꼰대처럼 여겨지는게 참 안타까움
트렌드란 이름으로 다 섞어서 뭉개서 한탕 해먹고 쥐고 빠지고 명곡이 안 나옴
원썬형님 쇼미로 붐업되시고
돗자리 컨텐츠나 다양한 다른 컨텐츠들 시도하시는거보면
진짜로 국내힙합에대한 사랑이 대단하신거같습니다 멋지네요..
근데 쇼미에서 저러니까 좀 문제있는거지
어느정도 섞이고있는 게 현 상황 아닌가
ㄹㅇ 쌉명언이다
이거 맞음 ㄹㅇ
시원하네요
매력도 개성도 딱히 없는 그런...
맞말추
근데 쇼미에서 저러니까 좀 문제있는거지
어느정도 섞이고있는 게 현 상황 아닌가
ㄹㅇ 태버 reset 같은거 음원으로 나왔으면 내가 엄청 좋아하는 스타일인데
쇼미에서 이러니까 싫음
맞는 말씀
원썬형님 쇼미로 붐업되시고
돗자리 컨텐츠나 다양한 다른 컨텐츠들 시도하시는거보면
진짜로 국내힙합에대한 사랑이 대단하신거같습니다 멋지네요..
저는 이번 쇼미곡들 거의 다 정말 좋아했긴 한데, 한국가요라는 넓은 베이글에 힙합맛 크림치즈를 쫘악 펴바른 느낌이 강했어요.
아마 그 덕에 차트성적이 좋은것이겠죠? 그리고 힙합맛이 얇아진것이기도 하구요.
마지막화 인터뷰들이나 가사 방향들을 보면 힙합이 케이팝적 무드에 얼마나 확장호환될수있는지의 저변을 넓히려는 의도(그리고 아마도 힙합종주국인 미국을 추적할수밖에 없는 포지션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실험)가 있었던것같아보여요. 그런데 이게 결과적으로 K힙합이라는 독창적인 장르의 방향성을 성취했다기보단 '힙합맛 가요는 어떻게 만드는지'를 굴려본 샌드박스로 끝난걸로 아쉽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그렇다고해서 힙합이 공중분해되어서 가요로 흡수되어버릴 걱정까지는 안해도 될것같아요. 쇼미 음원들을 '부정적으로' 리뷰하는 컨텐츠들이 흥하는걸 봐서는 엘이분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만들고싶고 듣고싶어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그 어느때보다도 아주 많으니까요.
뭔가 쇼미를 보면서 생기는 소심한 불만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찾고 싶었는데 원썬형님이 속을 시원하게 긁어주셨네여. 비록 힙합은 어떤것이다-라는 뚜렷한 기준을 갖고 음악을 듣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클래식, 발라드, 락, 재즈 등에 대한 욕구를 나름의 장에서 해소하듯 쇼미에선 쇼미를 통해 해소하고픈, 대중들도 이걸 즐기고 있구나를 느끼면서 즐기고 싶은 소리가 있었는데 이번 시즌엔 정말 내가 이런 걸 즐기려고 왔나? 이걸 즐기고싶었으면 그냥 멜론 차트 들어가면 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는 곡들이 많았던 게 솔직한 심정이었어여
이런 말들이 점점 꼰대처럼 여겨지는게 참 안타까움
트렌드란 이름으로 다 섞어서 뭉개서 한탕 해먹고 쥐고 빠지고 명곡이 안 나옴
ㄹㅇ제발 이런말보고 꼰대취급 하지 않았으면 좋겠음 진짜 너무 판치니까 하는말인데..
원썬 리스펙!
말투나 말하는게 너무 꼰대스러웠지만
이건 ㅇㅈ
맞말했누
원썬 유튭 보는데 ㄹㅇ 힙잘알, 음잘알이에요 엠넷에서 이미지 ㅈ박아서 그렇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