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미더머니는 힙합의 대중화를 이룬 프로가 아닙니다
힙합의 인기를 정상에 올려둔 고마운 프로이긴 하지만,
이전에 없던 힙합을 가져와서 대중에게 소개한 프로는 아닙니다
이 부분은 모두가 제대로 알아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이런 평가가 나중에 후세의 기록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에요
+ 여러분들이 보시는 과거의 모습과 제가 바라보는 과거의 모습은
관점이 다르다보니 충돌이 빚어지는거 같아요~
감히 함부로 단정 지은 감이 있고, 이 부분은 다시 생각해봐야할 부분 같네요
우선은 모든 의견이 정답인걸로~
이 글에 매우 공감하고 그 당시에 대해서도 자세히 적고 싶은데 귀찮아서 간단하게만 적고 갑니다.
그 전 세대가 깔아둔 씨앗이(플레이어나 리스너 둘 다)쇼미 시작하는 기간 즈음에 딱 맞아 떨어지게 발현된
우연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착각하게 한 것 같은데, 이미 대중화가 됐기에 쇼미가 나온 거임.
드타, 리쌍 시대 형누님 분들은 제외하더라도 이후 학창시절에 아웃사이더 배치기 듣던 애들,
그 후로 빈지노, 스윙스, 산이, 일리네어, 자이언티 등이 만든 흐름 속에(대중음악도 힙합 영향 계속 받음)
수많은 어린 리스너들과 플레이어들이 생성됐음.
차트에 슈프림팀이나 프라이머리 곡이 올라가는 게 이상한 그림이 전혀 아니었던 것을 떠올려 봅시다.
아이돌 그룹들도 랩하기 시작했고.
쇼미는 그 흐름을 읽고 제작된 거임. 그 흐름을 쇼미가 만든게 아니라.
쇼미가 파이를 키운 건 맞지만 대중화는 이미 어느정도 돼 있었음.
왜 슈퍼밴드와 쇼미의 파급력이 차이나는지 다들 생각해 봐야 함.
.
이분 이렇게 말 많이하시는거 처음보네 ㄹㅇㅋㅋ
이 글에선 아무도 주장하지 않았지만 가끔 여론보면 '쇼미 없었으면 힙합 이렇게까지 못떴다'라는 말들도 종종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쇼미 프로그램 자체에서도 '한국힙합은 쇼미더머니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도 봐서 그랬어요.
쇼미와 힙합대중화에 대한 얘기가 나오길래 그냥 쇼미를 절대적인 존재로 여기는 반응도 자연스럽게 떠올라서 그랬습니다.
여튼 이 글에서는 아무도 주장하지 않은 말이긴 하니 쉐도우 복싱인 건 맞네요ㅎㅎ 글쓴 분과는 별개의 얘기를 한거 맞습니다.
퀄리티 유무를 떠나서 래퍼들이 순전히 랩으로만 일대일로 랩하고 힙합식 거친 가사로 차트에 올라온게 대중화가 아니다?
옛날 유행한 트랙들 그냥 감성적인 비트에 랩하는 정도잖음.
옛날에 "현진영 Go 진영 Go" 라는 랩으로만 이뤄진 히트곡이 있었어요
물론 그때는 힙합이 대중화 되어있지는 않았고, 그런 시도 중에 하나였죠
그리고 감성적인 비트에 랩하는 것도 힙합이잖아요~
간결하게 다시 말하자면 옛날 대중화한 힙합 음악과 지금의 쇼미로 인해 인기만 얻은 힙합 음악은 결이 다름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을 못하고 있을 정도로 확실하지도 않고 근거가 불분명한 주장을 하시고 있으신걸 본인 또한 알고 계신거같은데, 단정짓고 정의하는 말투로 글을 쓰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돌아서서 자기 생각에 의심이 갈 정도라면
"여러분 쇼미가 힙합의 대중화를 이뤘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
이렇게 시작을 해도 모자랄판에, 본인만 정답을 알고 있다는 식으로 써제끼고 근거도 안써놓고 역사의 평가 운운하고있으니 보는이에게도 글쓰신분에게도 비생산적인 시간소모의 장 뿐만이 되고있는거같네요ㅋ 매너있는 척 글 수정하고 대댓 달고 하셔도 우매함과 아집은 감춰지지 않습니다~
보다 대중적인 힙합 음악들도 있었고 대중 가요속에 힙합 요소가 녹아있던 것은 사실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그 노래들이 대중성을 표방했는가, 혹은 일반 대중들이 모두 알만큼의 인기가 있었나하는 차이는 봐야할 것 같아요. 당시 유명한 힙합노래들도 매니악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이 노래는 좀 호불호가 많이 갈릴 거라는 평을 하며 추천을 하거나 받곤 했죠. 쇼미가 힙합의 파이를 넓힌 것은 누구나 인정할 것 같고 그 파이를 체감하는 래퍼들 본인이 쇼미가 대중화시켰다고 여기고 그렇게 인터뷰하기 때문에 쇼미가 대중화시켰다는 인식이 형성되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힙합의 대중음악화도 일정 부분 사실이구요.
힙합의 대중화와 대중화된 힙합. 얼핏 말장난처럼 보이지만 엄연한 차이가 있다. 기준은 '음악적 무장해제'의 정도다. 전자는 힙합이라는 장르가 보유한 고유의 문법과 틀을 최대한 유지한 채 대중에게 다가서려는 노력을 말한다. 반면 후자는 대중에게 더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힙합이 지닌 특유의 정서나 맛을 전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기하는 것을 뜻한다.
개인적으로 산이 인터뷰 기사 중 공감가는 말이네요 참 어려운 문제인것 같습니다
"지금 핫한 건 힙합이 아니라 쇼미더머니"
이 구절 하나로 정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힙합보다는 쇼미더머니의 부흥이지만 쇼미더머니의 부흥의 여파로 방송에 타지 않은 힙합 곡도 차트에 오르락내리락 하니 결국 힙합이 대중화된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