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자기만 보는 코어팬들 만드는것으로 선회한 저스디스가 공감이 많이되네요
그것때문에 욕을 많이먹던데요 결국 본인에게 도움될거라고 봅니다 실력이 없으면 문제인데 그것도아니라서
보면 장르팬들 입맛은 엄청 까탈스럽고 변덕은 심하고 진득한맛이 없고
열심히 좋아해주다가도 조금만 맘에안들면 트집잡고 욕하고
몇년후에는 돌변해서 내가 저 xx을 왜 좋아했지 이젠 별로다 지겹다 이런소리나하면서 한때 자기영웅을 바닥에 내꽂는걸 즐기던데 딴에는 장르팬이라는 사람들이 저러니 힙합이 유튜브 급식위주의 판으로 가속화될수밖에요
뒤로 빠져서 수장으로서 활약하는 사장님들만 꾸준히 음악과 관계없이 빨리는거같고
플레이어들이 음악에 신경쓰는것도 스트레스일텐데 커뮤눈팅하면서 일일이 반응하고 장르팬들 말에 휘둘릴 필요가 없어보이네요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래퍼들에게는 자기를 열심히 보는 개인팬덤이 남들보기 지랄맞더라도
그런팬들 만드는게 장기적으로 도움될거같습니다
한국 특유의 괴상한 아이돌문화랑 결합해서 팬덤문화가 기형화되서 욕을 쳐먹을수 밖에 없더라도요
그래도 래퍼들에게는 장르팬들보다는 나아보입니다
어제 aomg 거기음악 별로라고 하는글도 있던데 거기가 팝스러워서 힙합 커뮤에서는 인기가 별로없지만
실상 힙합유튜브쪽 여론은 거기가 잡고있어요 자기레이블을 브랜딩화해서 잘 파는 영리한 곳입니다
코로나시국에 일감이 끊긴 가운데도 공연이나 방송에서 꾸준히 활동하고 있구요 KHA에서도 영향이미치고있죠.
어느정도 이름을 알린 래퍼들이라면 더이상 엘이같은 힙합전용커뮤니티에 민감하게 신경쓰는게 의미없다는 얘기를 하고싶었습니다
이상 3년전에 국힙 입문해서 커뮤눈팅도해보고 글도 써본 감상입니다




확실히 장르팬들 높은 기준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는 유튜브 여론 잡는 게 돈도 많이 벌고 인기도 더 많겠지만,, 장르팬들 높은 기준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명반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게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멋있다고 생각도 되네요 ㅎㅎ 그렇게 노력해서 장르팬들에게 고평가 받는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이 멋있고요
확실히 장르팬들 높은 기준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는 유튜브 여론 잡는 게 돈도 많이 벌고 인기도 더 많겠지만,, 장르팬들 높은 기준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명반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게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멋있다고 생각도 되네요 ㅎㅎ 그렇게 노력해서 장르팬들에게 고평가 받는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이 멋있고요
오 맞말추 이제 더 이상 장르 자체의 마니아인 팬들을 만족시키기보다는 유튜브 위주의 라이트 리스너들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진 것 같긴 합니다만, 저도 마찬가지로 이 장르를 나름 진지하게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이 씬과 장르의 발전을 위한 예술적 노력을 기울이는 아티스트들이 굉장히 멋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물론 음악은 전자와 후자 모두 더할 나위 없이 좋은건 사실입니다 다만 어떤 걸 즐기냐의 차이인 것 같습니다
공감이 되긴하는데요 쇼미랑 유튜브 커지면서 장르팬들 숫자가 너무 미진하고 영향력이 예전만 못한것도 있고, 래퍼들한테 높은 기준 요구하면서 이러쿵 저러쿵 떠드는것보다 장르팬들 스스로도 좀 변해야된다고봅니다
확실히 저도 명반 만드려 노력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높은 기준으로 까이고, 대중적인 음악 만드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기준으로 평가되는 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건 그 래퍼들에 대한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높은 기준을 들이대게 되는 게 아닐까 싶네요.
래퍼들한테 너무 높은 기준을 요구하는 사람들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기준을 너무 낮춰 버리면 작성자 분께서 말하신 대로 힙합의 기형화가 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적어도 장르팬들이 원하는 모습의 힙합과는 멀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힙합이 아직 대중들에겐 너무 마이너한 장르라는 걸 장르팬들도 알고, 전보다 장르팬들의 영향력이 미진해진 것도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장르팬들이 좋아했던 힙합을 지키기 위해 더 높은 기준으로 대하게 되는 게 아닐까 싶네요. 진짜 힙합을 하려고 하는 소수 래퍼들이 장르팬들이 원하는 힙합을 지켜줄 거라는 기대를 걸게 되니까요. 안타까운 일인 것 같습니다..
매우 동의합니다.
맞아요
댓글 달기